본문 바로가기

Vicia18

벌완두 Vicia amurensis, 꽃과 열매 철원 김화 생창리 DMZ 생태평화공원 제 1코스 십자탑 탐방로를 걸으며 만난 벌완두이다. 철조망을 피할 수 없는 장면들이 분단 현실의 이픔을 일깨워 준다. 갈퀴나물(Vicia amoena)에 비해 전체적으로 작은 편으로 작은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은 둔각으로 갈라진다. (갈퀴나물은 턱잎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고, 작은잎의 측맥이 예각으로 갈라진다.) 넓은잎갈퀴(Vicia japonica)에 비해 잎이 황록색이고 꽃받침열편이 짧고 뚜렷하지 않다. 우리나라 중부 이북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동북부, 러시아 우수리, 헤이룽강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 이름은 '흑룡강야완두(黑龙江野豌豆)'이다.    2023. 10. 30.  철원 김화      ● 벌완두 Vicia amurensis | amur vetc.. 2024. 12. 15.
큰네잎갈퀴 Vicia ramuliflora 큰네잎갈퀴는 네잎갈퀴나물(Vicia nipponica)과 같은 것으로 여겨왔던 것으로 최근에야 독립된 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 둘은 소엽이 2~3쌍인 점이나 잎겨드랑이에서 홍자색의 꽃이 달리는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같은 종으로 여겨진 듯하다.하지만 네잎갈퀴나물은 큰네잎갈퀴에 비해 잎이나 꽃이 작으며 줄기가 길다. 큰네잎갈퀴는 곧게 서는 편이고 줄기 끝에서 꽃이 달리는 데 비해, 네잎갈퀴나물은 줄기가 눕고 줄기 전체 잎겨드랑이에서 꽃이 달리는 편이다.    2017. 06. 05.  설악산     ● 큰네잎갈퀴(중국명 : 北野豌豆) Vicia ramuliflora  ↘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40-100cm. 뿌리는 덩어리처럼 커지고 거의 목질이며 직경은 1-2cm로 겉껍질은 흑갈색 또는 .. 2017. 6. 15.
추자도 각시갈퀴나물 Vicia dasycarpa 한겨울 추자도에서 만난 나비나물속. 남추자도 해안 볕이 드는 따뜻한 경작지 구석에서 무리를 지어 자라고 있고, 북추자도 해안에서는 차가운 바람 속에서도 꽃을 피우고 있다. 털이 많은 벳지와 달리 식물체 전체에 털이 별로 없고 작은잎이 10쌍 정도인 것으로 보아 유럽 원산의 각시갈퀴나물로 보인다. 2017. 01. 13. 추자도 ● 각시갈퀴나물 Vicia dasycarpa ↘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 한두해살이풀 줄기는 가늘고 덩굴성이며 길이 60-200㎝로 소엽이 변한 덩굴손에 의해 다른 식물에 기어오르고, 털이 없거나 드믄드믄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 잎차례이며 우상복엽은 10쌍 내외의 소엽으로 이루어지며 끝에 3-5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고, 소엽은 선형으로 길이 2-3㎝, 나비 4-7㎜이다. 탁엽은.. 2017. 3. 12.
벌완두, 꽃과 열매 Vicia amurensis / 갈퀴나물, 넓은잎갈퀴, 벌완두 구별하기 우리나라 중부 이북 산지의 양지에 자라는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작은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은 둔각으로 갈라지는 점이 특징으로 턱잎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고 작은잎의 측맥이 예각으로 갈라지는 갈퀴나물과 구별된다. 넓은잎갈퀴와도 비슷하지만 잎이 황록색이고 꽃받침열편이 짧고 뚜렷하지 않은 점이 다르다. 대관령 ● 벌완두 Vicia amurensis | Amur vetch ↘ 콩목 콩과 나비나물속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길이 1m. 근경은 옆으로 뻗음. 잎은 어긋나기하며 5-8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짝수깃모양겹잎으로서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길이 15~33mm, 나비2-6mm로서 타원형 또는 긴타원모양이고 탁엽은 톱니가 있거나 2개로 갈라진다. 꽃은 6-8월에 피.. 2016. 9. 16.
노랑갈퀴 Vicia chosenensis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로 황색 꽃이 핀다. 중부 이북의 깊은 산 기슭에 자라는 한국 특산 식물이며 '조선갈퀴나물', '노랑말굴레풀'이라고도 한다. 설악산 백담사 계곡 ● 노랑갈퀴 Vicia chosenensis | Yellow-flower vetch ↘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80c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고 전체에 털이 없다. 건장한 뿌리가 깊이 들어간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1회우상복엽으로서 끝에 덩굴손의 흔적이 있다. 소엽은 긴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3~7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탁엽은 끝이 길게 뾰족해진다. 총상꽃차례는 잎겨드랑이에서 발달히며 화경이 길고 꽃은 6월에 피며 길이 12mm 정도로서 자줏빛이 도는 황색이고 꽃자루가 밑.. 2016. 5. 27.
가는살갈퀴 Vicia angustifolia 울릉도 비탈진 밭 언덕에서 만난 가는살갈퀴, 아름다운 나비 모양의 붉은보랏빛 꽃을 피웠다.가는살갈퀴는 살갈퀴(var. segetilis)의 기본종으로 살갈퀴에 비해 작은잎이 좁고 끝이 오목하지 않으며 꽃이 약간 작은 것이 특징이다. 울릉도와 제주도에 분포하는데, 해넘이살이풀로 가을에 발아하여 풀섶에 작은 다발로 월동하고 이듬해 봄에 자라나 일찍 꽃을 피운다. 종소명 앙구스티폴리아(angustifolia)는 '좁은(angusti-)' '잎(folium)'을 가졌다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2016. 05. 14.  울릉도     ● 가는살갈퀴 Vicia angustifolia | Narrowleaf vetch  ↘  콩목 콩과 나비나물속 두해살이풀2년초로 줄기는 기부에서 많이 분지하며 네모지고.. 2016. 5. 19.
선등갈퀴 Vicia heptajuga (?) 광릉갈퀴? 함백산에서 만난 나비나물속 종은 광릉갈퀴와 아주 비슷하면서도 좀 다른 느낌이다. 짝수깃꼴겹잎 등 잎의 형태나 꽃의 모양 등이 광릉갈퀴의 모습과 다르지 않다. 그런데 줄기가 무더기로 자라고 화경이 꽃차례보다 짧아서 잎겨드랑이에 꽃이 붙어 있는 듯한 모습이 지금까지 보았던 긴 화경 끝에 꽃차례가 달리는 광릉갈퀴와는 달라 보인다. 광릉갈퀴와 비슷하다는 선등갈퀴로 볼 수 있을까? 그런데 국생정 기재문을 보면 광릉갈퀴와 선등갈퀴의 기재문은 거의 베껴 쓴 듯이 비슷하다. 그래서 선등갈퀴의 실체가 확인되고 있지 않고 (나까이에 의한) 광릉갈퀴의 오동정으로 봐야 하는 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중국식물지에도 선등갈퀴는 없다. (=> 나중에 확인하니 국립수목원의 표준식물목록과 도감 모두에서 선등갈퀴는 사라졌다. 아마도 실.. 2015. 9. 8.
긴잎나비나물 Vicia unijuga var. angustifolia 긴잎나비나물은 나비나물과 비슷하지만 잎이 훨씬 좁고 길다. 유사식물로 광양나비나물(var. venusta)이 있는데, 줄기와 꽃이삭에 털이 없고 꽃이 남자색이다. ↓ 신구대식물원 ● 긴잎나비나물 Vicia unijuga for. angustifolia | Narrow two-leaf vetch ↘ 콩목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100cm이다. 줄기는 모여 나고 능선이 있어 네모지며 털이 거의 없다. 잎은 어긋나기하고 1쌍의 소엽으로 되며 소엽은 선형으로 길이 1.5~5.5cm, 나비 4~15mm이고 끝은 길게 뾰족하며 밑은 둔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탁엽은 2개로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에 총상꽃차례로 달리며 꽃은 한쪽으로 치우쳐서 난다. 꽃받침.. 2012. 10. 15.
노랑갈퀴 Vicia chosenensis 노랑갈퀴는 한국특산식물로 태백산 이북의 깊은 산 기슭에 자생하는 한국 특산의 콩과 식물이다.  덩굴손이 없고 2~4쌍의 짝수깃꼴겹잎과 꽃차례 모양은 광릉갈퀴와 아주 닮았지만 꽃의 색깔이 황색이라는 점이 뚜렷이 다른 특징이다.    ↓ 2012. 06. 02.  민둥산                   ● 노랑갈퀴 Vicia chosenensis  ↘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가지를 치고 높이 80㎝에 달하며 건장한 뿌리가 깊이 들어가고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2~4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짝수깃꼴겹잎이며 끝에 덩굴손의 흔적이 있다. 작은잎은 긴달걀꼴로 길이 3~7㎝이고 끝은 뾰족하며 밑은 둥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측맥이 많고 턱잎은 줄모양 송곳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은 .. 2012. 7. 6.
노랑갈퀴(Vicia chosenensis), 산새콩(Lathyrus vaniotii) 민둥산에서 만난 노랑갈퀴와 산새콩, 늦은 계절 꽃이 지고 열매조차도 보이지 않는 모습이다. 두 종은 모두 콩과의 한국 특산식물이다. ● 노랑갈퀴 Vicia chosenensis / 콩과 나비나물속 노랑갈퀴는 콩과 나비나물속으로, 경상북도에서 백두대간을 따라 함경도까지 분포하는 한국 특산식물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6월에 노란색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길게 나와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밑으로 처지며 달린다. 꼬투리는 선상 타원형이고 2∼4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 산새콩 Lathyrus vaniotii / 콩과 연리초속 산새콩은 콩과 연리초속으로, 강원도 이북의 산지 그늘진 솦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3~5쌍의 잔잎으로 되어 있다. 꽃은 흰빛이.. 2011. 12. 13.
갈퀴나물 Vicia amoena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능선이 있어 네모진 줄기가 튼실하고 땅속 줄기가 벋으면서 번식한다. 대모산 ● 갈퀴나물 Vicia amoena /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덩굴성으로 길이 80-180cm이며 능선이 있어 네모지고 잎 뒷면과 더불어 잔털이 있거나 없다. 땅속줄기가 뻗으면서 번식한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10-16개의 소엽으로 된 짝수깃모양겹잎이며 극히 짧은 엽병이 있고 엽축끝에는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있다.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예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15-30mm, 폭 4-10mm로서 끝에 돌기가 약간 있고 양면면에 털이 성글게 있거나 없고 측맥 끝에 돌출로 생긴 작고 낮은 톱니가 있다. 탁엽은 3각상 부채형으로 윗머리에 1-2개의 톱니.. 2009. 6. 21.
얼치기완두와 새완두 비교 갈퀴나물과 닮은 형태를 가진 것으로 가장 작은 풀이 얼치기완두와 새완두이다. 콩과 나비나물속 덩굴성 두해살이풀로 길가 언덕 풀밭에 자라는 두 풀은 전초의 형태나 잎 모양이 비슷해 구별이 쉽지 않지만, 아래에서 보듯 꽃과 덩굴손의 모양에 주목하면 금방 구별할 수 있다. ● 얼치기완두 Vicia tetrasperma 얼치기완두의 꽃 잎겨드랑이에서 난 작은 꽃줄기 끝에 한쌍이 달리는데 입술 꽃잎에 보랏빛 줄무늬가 화려하다. 얼치기완두의 덩굴손 갈래지지 않고 잎끝에 하나가 달렸을 뿐이다. 줄기는 길이 30-60cm, 아래쪽에 가지를 많이 치며 어릴 때 털이 약간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6-12장이고 끝은 덩굴손으로 된다. 작은잎은 좁은 타원형으로 길이 12-17mm, 폭 2-4mm이며, 양끝.. 2009. 6. 2.
네잎갈퀴나물(네잎꽃갈퀴) Vicia nipponica '네잎꽃갈퀴'라 불리기도 하는 네잎갈퀴나물은 콩과 나비나물속 여러해살이풀로 작은잎이 2~3쌍(4개, 혹은 6개)으로 잎 끝은 덩굴손이 없고 작은 돌기로 되어 있다. 원줄기는 곧게 자란다. 이름이 비슷한 '네잎갈퀴'는 꼭두서니과 갈퀴덩굴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2007. 09. 08.  전남 영광              ● 네잎갈퀴나물 Vicia nipponica  /  장미목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80cm로 뿌리가 굵고 원대는 곧게 자라며 능선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2∼3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짝수 깃꼴겹잎이다. 잎 끝은 덩굴손이 없고 흔적이 작은 돌기로 되어 있다. 작은잎은 타원형에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5cm, 나비 1.5∼3cm로 양끝이 좁아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2009. 1. 31.
갈퀴나물 Vicia amoena '녹두루미라고'도 하는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들에서 자란다. 벌완두와 비슷하나 잎의 측맥이 주맥과 예각을 이루는 점에서 지각에 가까운 벌완두와 구별된다. 양재천 대모산 ● 갈퀴나물 Vicia amoena /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 땅속줄기를 벋으면서 자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80~180cm 정도로 자란다. 줄기를 따라 이어진 선이 있어 줄기는 길이 1∼2m로 능선(稜線)이 있어 네모지며 가늘고 길게 덩굴진다. 잎은 어긋나며 거의 잎자루가 없다. 작은잎은 5∼7쌍이 마주 붙거나 어긋나게 붙으며 끝은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이 된다. 6∼9월에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서 붉은 자주색의 꽃이 나오고, 꽃자루가 길며 많이 핀다. 화관은 길이 12mm 정도로 나비 .. 2006. 6. 29.
선등갈퀴 Vicia heptajuga 금대봉에서 만난 갈퀴나물류, 처음에는 광릉갈퀴로 생각했는데 나중에야 아주 비슷한 종으로 선등갈퀴라는 것이 존재하는 걸 알게 되었다. 짝수깃꼴겹잎 등 잎 모양이나 꽃의 모양 등 특성이 매우 닮았는데, 기재문의 내용도 거의 같아서 둘의 차이를 알기가 어렵다. 그러나 실물을 보면 꽃줄기(화경)의 길이가 크게 차이 나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광릉갈퀴는 화경이 꽃이삭보다 훨씬 길어서 꽃이 길게 늘어져 달린 듯한 모습이고 선등갈퀴는 화경이 꽃차례보다 짧아서 잎겨드랑이에 꽃이 달린 듯한 모습이다. 금대봉 ● 선등갈퀴 Vicia heptajuga / 콩과 나비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80∼100cm로 줄기는 곧추 서고 약간 능각이 있으며 때로 분지하고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4~6쌍의 짝수깃꼴겹잎으로 덩.. 2006. 6.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