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enniporia10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xinea 아까시흰구멍버섯은 유균과 성균의 모습이 많이 다르고, 성균도 다른 모습을 보인다. 남한산성 등산로변 나무에 발생한 울퉁불퉁하면서도 아름다운 성균의 모습이 눈길을 끌어 담아 보았다. 살아있는 아까시나무 줄기 밑동에 흔하게 착생하는 버섯으로 '아까시재목버섯'이라고도 한다. 아까시나무만이 아니라 참나무, 느티나무, 플라타너스 등 활엽수의 산나무 밑동에 1년 내내 무리지어 나는 목재부후균으로 거목을 쓰러뜨리기도 한다. 한국, 일본, 유럽, 코가서스, 북미 동부에 분포한다. 항암 성분인 렉틴 등이 있어 '장수버섯'이란 이름으로 약용하기도 한다. 2024. 09. 16. 남한산성 ●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xine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자실체는.. 2024. 10. 8. 코르크흰구멍버섯 Perenniporia ochroleuca 살은 단단한 코르크 같으며 갓 크기 1~2cm 정도로 작고 표면은 흰색에서 연한 황색을 거쳐 연한 갈색으로 변한다. 갓 윗면에 자리잡은 방사상의 얕은 주름살 모양의 돌기와 갓 아랫면에 촘촘하게 나 있는 동글동글한 관공이 이 버섯의 특징이다. 여름~가을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무리자어 발생한다. 동북아시아, 호주, 유럽, 남미, 아프리카 중남부 등에 분포한다.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독성 여부는 알려진 것이 없다. 2024. 08. 27. 서울 ● 코르크흰구멍버섯 Perenniporia ochroleuc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자루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균모는 반원형이면서 둥근 산 모양-말발굽형, 가로 폭 1~4cm, 두께 0.. 2024. 9. 12. 밀랍흰구멍버섯 Perenniporia minutissima 앞산 산책길에서 두 그루의 노린재나무 죽은 줄기에서 밀랍흰구멍버섯을 만난다. 제법 자라서 선반처럼 만들어진 갓인데 관공을 살피려고 붙잡으니 금방 부숴져 버린다. 깨지기 쉬운 조직이다. 갓 표면은 담갈색에서 적갈색으로 불규칙한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고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크림색이며 관공은 매우 작다. 노린재나무 등 주로 관목의 줄기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한다. 2024. 08. 19. 서울 ● 밀랍흰구멍버섯 Perenniporia minutissim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갓의 지름은 10cm 안팎으로 반원형 혹은 부채형이다. 갓 윗면은 짙은 갈색에서 녹슨 갈색을 띠며, 건조하면 크림색으로 변한다. 표면에는 불규칙한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2024. 9. 7. 밀랍흰구멍버섯 Perenniporia minutissima 어두워질 무렵 오솔길 등산로, 선 채로 고사한 노린재나무 밑부분에 익숙한 부착 버섯이 눈에 띈다. 이제 갓 형성된 유균 상태이지만 밀랍흰구멍버섯의 특징이 또렷이 보이고 있다. 갓 표면은 담갈색에서 적갈색으로 불규칙한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고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크림색이며 관공은 매우 작다. 노린재나무 등 주로 관목의 줄기에서 발생한다. 우리나라와 일본에 분포한다. 2024. 07. 13. 서울 ● 밀랍흰구멍버섯 Perenniporia minutissim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갓의 지름은 10cm 안팎으로 반원형 혹은 부채형이다. 갓 윗면은 짙은 갈색에서 녹슨 갈색을 띠며, 건조하면 크림색으로 변한다. 표면에는 불규칙한 사마귀 모양의 돌기가 있으며 때때로 뚜렷.. 2024. 7. 28. 코르크흰구멍버섯 Perenniporia ochroleuca 살은 단단한 코르크 같으며 갓 크기 1~2cm 정도로 작고 표면은 흰색에서 연한 황색을 거쳐 연한 갈색으로 변한다. 갓 윗면에 자리잡은 방사상의 얕은 주름살 모양의 돌기와 갓 아랫면에 촘촘하게 나 있는 동글동글한 관공이 이 버섯의 특징이다. 여름~가을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발생하며, 목재의 백색 부패를 일으킨다.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독성 여부는 알려진 것이 없다. 2023. 09. 17. 서울 ● 코르크흰구멍버섯 Perenniporia ochroleuc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자루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균모는 반원형이면서 둥근 산 모양-말발굽형, 가로 폭 1~4cm, 두께 0.5~2cm이다. 표면은 백색-황백색, 점차 황다색-.. 2023. 11. 4. 코르크흰구멍버섯 Perenniporia ochroleuca 갓 크기가 1~2cm 정도로 작은 코르크흰구멍버섯을 만난다. 단단한 코르크 같은 조직을 가진 버섯은 흰색에서 연한 황색으로 변했는데 시간이 더 지나면 연한 갈색으로 변할 것이다. 갓 윗면에 자리잡은 방사상의 얕은 주름살 모양의 돌기와 갓 아랫면에 촘촘하게 나 있는 동글동글한 관공이 이 버섯의 특징이다. 여름~가을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발생하며, 목재의 백색 부패를 일으킨다. 식용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독성 여부는 알려진 것이 없다. 2023. 08. 20. 서울 ● 코르크흰구멍버섯 Perenniporia ochroleuc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자루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균모는 반원형이면서 둥근 산 모양-말발굽형, 가로 폭 1~4cm, 두께 0.5~2cm.. 2023. 8. 29. 코르크흰구멍버섯 Perenniporia ochroleuca 갓 지름 1~4㎝의 소형 버섯으로 반원형으로 단단한 코르크 같은 조직을 가졌다. 흰색에서 연한 황색을 거쳐 연한 갈색으로 변하고 방사상의 얕은 주름살 모양의 돌기가 있다. 갓 아랫면은 동글동글한 관공이 촘촘하다. 여름~가을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그루터기에 발생하며, 목재의 백색 부패를 일으킨다. 식용인지 독성인지 알려진 것이 없다. 2023. 08. 17. 서울 2023. 08. 02. 서울 ● 코르크흰구멍버섯 Perenniporia ochroleuc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자실체는 자루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균모는 반원형이면서 둥근 산 모양-말발굽형, 가로 폭 1~4cm, 두께 0.5~2cm이다. 표면은 백색-황백색, 점차 황다색-옅은 갈색을 띤다. 방사상으로 얕은 주름.. 2023. 8. 21.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xinea 살아있는 아까시나무 줄기 밑동에 흔하게 착생하는 버섯으로 '아까시재목버섯'이라고도 한다. 항암 성분인 렉틴 등이 있어 '장수버섯'이란 이름으로 약용하기도 한다. 아까시나무만이 아니라 참나무, 느티나무, 플라타너스 등 활엽수의 산나무에 1년 내내 군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갓 지름은 20㎝에 이를 정도로 크고 표면은 회갈색~적갈색으로 주변은 황색, 동심상의 고리 무늬가 있기도 하며 표면은 매끄럽다. 2023. 08. 15. 서울 갓 위에 또 다른 자실체가 여럿 중첩해서 발생하는 독특한 모습 ●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xinea(Fomitella fraxine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자실체는 노른자색의 혹 모양으로 나무줄기의 밑동에 군생하며 수.. 2023. 8. 19. 느티나무에서 자란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 아까시나무 줄기 아랫부분에 흔하게 착생하는 버섯으로 '아까시재목버섯'이라고 많이 부른다. 항암 성분인 렉틴 등이 있어 약용 버섯으로 '장수버섯'이란 이름으로 유통되기도 한다. 아까시나무만이 아니라 참나무, 느티나무, 플라타너스 등 활엽수의 산나무에 1년 내내 군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균모의 지름은 20㎝에 이를 정도로 크고 두께는 0.5-1.5㎝로 표면은 회갈색, 적갈색, 흑갈색이며 주변은 황색, 동심상의 고리 무늬가 있기도 하며 표면은 매끄럽다. 2022. 09. 17. 원주 ●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xinea(Fomitella fraxine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흰구멍버섯속 자실체는 노른자색의 혹 모양으로 나무줄기의 밑동에 군생하며 수평으로 균.. 2022. 10. 1. 신갈나무의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xinea 아까시나무 줄기 아랫부분에 흔하게 착생하는 버섯으로 '아까시재목버섯'이라고 많이 부른다. 항암 성분인 렉틴 등이 있어 약용 버섯으로 '장수버섯'이란 이름으로 유통되기도 한다. 아까시나무만이 아니라 참나무 등 활엽수의 산나무에 1년 내내 군생하는 목재부후균으로 백색부후를 일으킨다. 특히 신갈나무 밑둥 삼재에 심각한 부후를 일으켜 거센 바람이 불 때 크게 자란 나무들을 쓰러지게 하는 버섯으로 보인다. 균모의 지름은 5-20㎝이고 두께는 0.5-1.5㎝로 표면은 회갈색, 적갈색, 흑갈색이며 주변은 황색, 동심상의 고리 무늬가 있기도 하며 표면은 매끄럽다. 2022. 08. 22. 서울 대모산 2022. 08. 24. 서울 대모산 ● 아까시흰구멍버섯 Perenniporia fra.. 2022. 8.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