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ederia5 계요등 Paederia foetida, 열매 계요등은 꼭두서니과의 덩굴식물로 겨울에는 줄기의 윗부분이 말라죽어 초본식물로 생각하기 쉽지만 나무로 분류된다. 이는 사위질빵이나 댕댕이덩굴이 덩굴나무로 분류되는 것과 같다. 꽃은 여름에 잎겨드랑이에 원추형으로 모여 피는데, 겉은 희고 안쪽은 붉은 보라색을 띠는 앙증스런 통꽃이 지고나면 광택이 있는 노란 열매가 조랑조랑 달린다. 식물체에서 '닭 분뇨' 냄새와 비슷한 악취가 난다는 뜻에서 '계뇨등(鷄尿藤)'이라 불리다 계요등으로 변화하였다. 계요등은 맹아력이 강하여 마디마다 새싹이 돋아난다. 남서해안 지역에 자라던 것이 지금은 중부지방에까지 서식지가 넓어지고 있다.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미국 남부, 오세아니아 등에도 분포한다. 2024. 11. 06. 진주, 사천 ● 계요.. 2024. 11. 20. '구렁내덩굴', 계요등(Paederia foetida) 어린풀 산 가장자리 작은 고개를 넘어서자 바로 묵은 들로 이어지는 곳에서 익숙지 않은 덩굴 풀들이 자라난 것을 보고 잠시 아득해진다. 큰 것은 손바닥만 한 달걀형의 잎이 마주나기 한 모습... 박주가리도 아닌 것이 무엇일까... 몇 분이나 머리 속 저장고를 뒤지다 겨우 계요등(鷄尿藤)이라는 이름을 찾아낸다. 잎을 만져보니 닭오줌 냄새인지는 알 수 없는 누린내 비슷한 역한 냄새가 풍긴다. '구렁내덩굴' 아닌가! 꽃을 피운 모습에만 익숙해져 있었던 데다 남서해안에 서식하던 계요등을 서울 야산에서 만났으니 너무 뜻밖이다.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또 한번 느낀다. 일본, 대만, 중국, 필리핀, 베트남 등 아시아 난대 지역에 분포하는 꼭두서니과의 남방계 식물이다. 2024. 06. 25. 서울 ● 계요등.. 2024. 6. 30. 계요등 Paederia scandens => Paederia foetida 한여름, 긴 덩굴에 무성한 잎 위로 점점이 피는 하얀 꽃, 꽃대롱 속에 붉은 빛을 머금고 있는 계요등 꽃은 앙증스럽게 아름답다. 하지만 이 풀꽃은 몸 전체에서 고약한 냄새를 풍긴다. 식물체에서 닭오줌 같은 독특한 냄새가 나는 덩굴이라 하여 '계뇨등(鷄尿藤)'이라 불리던 것이 계요등으로 굳어졌으며, 그냥 '구렁내덩굴'이라고도 부른다. 꼭두서니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이다. 남부지방의 산기슭 양지바른 곳이나 바닷가 풀밭에서 자라는데, 특히 바닷바람을 매우 좋아하여 남해안과 서해 섬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10. 07. 22. 청산도 ● 계요등(鷄尿藤) 계요등 Paederia foetida | skunkvine ↘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 계요등속 줄기 윗부분은 겨울에 죽으며,.. 2010. 8. 26. 구렁내덩굴, 계요등 꽃 닭오줌 냄새가 나는 덩굴풀이라 하여 '계뇨등'이라 부르는데, '구렁내덩굴'이라고도 한다. 남부지방 산기슭 양지바른 곳이나 바닷가 풀밭에서 자란다. 2006. 09. 16 아차산 계요등 열매 ● 계요등(鷄尿藤) Paederia scandens /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의 낙엽 덩굴성 여러해살이풀길이 5∼7m이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나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처럼 생긴 바소꼴이며 길이 5∼12cm, 나비 1∼7cm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거나 수평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뒷면에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잎자루는 길이 1∼6cm이다.꽃은 7∼9월에 피는데, 흰색 바탕에 자줏빛 점이 있으며 안쪽은 자줏빛이고 지름 4∼.. 2006. 10. 3. 계요등(Paederia scandens) 열매 제주도를 여행하다 보면, 나무가 있는 곳이면 어디서나 이 녀석들이 타고 올라서 열매를 주렁주렁 늘어뜨리고 있는 장면을 보게 된다. 닭오줌(계뇨) 냄새를 풍기는 덩굴(등)이라 해서 이름이 지어졌다는데, 조류인 닭이 오줌을 따로 눌 리는 없고 닭똥 냄새로 보는 것이 바를 것이다. 덩굴나무로 분류하기도 하는 모양인데, 겨울이면 땅 위의 줄기가 다 말라 버리는 것을 보면 풀이 아닐까... 2006. 01. 제주도 ● 계요등 Paederia scandens / 꼭두서니목 꼭두서니과 계요등속의 낙엽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구렁내덩굴·계각등이라고도 한다. 산기슭 양지바른 곳이나 바닷가 풀밭에서 자란다. 길이 5∼7m이다. 어린 가지에 잔털이 나고 독특한 냄새가 난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 2006. 1.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