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ntharellus13

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barius 자실체 전체가 선명한 노란색으로 갓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며 물결치듯 오이 꽃 모양이어서 '오이꽃버섯', 상구 냄새가 나고 살구 열매 색깔이어서 '살구버섯'이라 불리기도 하는 버섯이다. 뒷면은 방사상으로 거짓주름이 잡혀 있는데 주름은 애기꾀꼬리버섯과 달리 맥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버섯대는 아래쪽으로 점차 가늘어지며 속은 차 있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의 땅에 무리지어 난다. 북미, 유라시아, 호주, 아프리카 남동부에 분포한다. 살구 냄새가 나는 식용 버섯으로 맛이 좋은 버섯으로 알려지고 있다. 외생균근이다.    2024. 08. 29.  경기 구리       ● 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barius | golden chanterelle, girolle  ↘  꾀꼬리버섯목 꾀꼬.. 2024. 9. 15.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꾀꼬리버섯과 비슷한 모양으로 갓 윗면을 비롯하여 주름살과 자루는 붉은빛이 도는 주황색인 점에서 구별된다. 턱수염버섯과에서 꾀꼬리버섯과로 이동되었다. 여름~가을 혼효림에서 무리지어 난다. 우리나라,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좋은 식용 버섯이다.    2024. 08. 07.  합천 오도산        ●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 red chanterelle  ↘  주름버섯강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갓 지름은 2.0-4.0cm로, 편평형에서 깔때기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색에서 등담홍색을 띠며, 평활하고,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잡혀 있다. 자실층은 내린형이며, 담홍색의 맥상 주름살이 나타난다. 대의 크기는 2.0-5.0×0.5-1.0cm이며, 원통형.. 2024. 8. 22.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영릉 산책로를 걷다 붉은꾀꼬리버섯을 처음으로 만난다. 꾀꼬리버섯과 비슷한 모양으로 갓 윗면을 비롯하여 주름살과 자루는 붉은빛이 도는 주황색인 점에서 구별된다. 턱수염버섯과에서 꾀꼬리버섯과로 이동되었다. 여름~가을 혼효림에서 무리지어 난다. 우리나라,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좋은 식용 버섯이다.    2024. 07. 25.  여주 영릉        ●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 red chanterelle  ↘  주름버섯강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갓 지름은 2.0-4.0cm로, 편평형에서 깔때기형이 된다. 갓 표면은 적색에서 등담홍색을 띠며, 평활하고,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잡혀 있다. 자실층은 내린형이며, 담홍색의 맥상 주름살이 나타난다. 대의.. 2024. 8. 12.
붉은벽돌빛꾀꼬리버섯(벽돌색꾀꼬리버섯) Cantharellus lateritius 꾀꼬리버섯(C. cibarius)과 아주 유사히지만 주름살이 없어 일부에서 '민주름꾀꼬리버섯' 또는 '꾀꼬리버섯아재비'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꾀고리버섯에 비해 다소 진한 색이나 '벽돌색'과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데 국립생물관과 조덕현은 '벽돌색'이란 관형어가 들어간 국명을 붙였다. 갓은 꽃송이처럼 굴곡이 심한 물결 모양을 이르며 종종 큰 포기 형태로 자라기도 한다.  향기로운 살구 냄새가 나며 맛이 좋은 식용 버섯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참나무 등 활엽수림 산길 주변 등에 무리를 지어 발생한다. 북미 북동부에 흔하게 분포하며, 일본, 대만, 인도 북동부에도 보고되고 있다.     2024. 07. 17.  서울       갓 가장자리가 심한 굴곡을 이루고 종종 커다란 포기 형태로 자라기도 한다. .. 2024. 7. 30.
애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minor 갓 지름 0.5~3cm의 소형 버섯이다. 갓은 황색~오렌지색으로 둥근 산 모양에서 평평해지고 깔때기 모양으로 변하며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으로 굴곡되어 있다. 거짓주름살이 대에 내리붙으며 엽맥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활엽수의 외생균근으로 여름철과 가을철에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9. 05-07. 서울 ● 애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minor | Small Chanterelle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균모는 지름 1.5~2cm, 둥근 산 모양을 거쳐 차차 편평한 모양이 되거나 때로는 불규칙한 모양에 가운데가 들어가기도 한다. 표면은 매끄러우며 황적색이다. 가장자리는 안으로 굽으나 후에 편평해진다. 살은 연한 황색이며, 거짓주름살은 자루에 내린 형태이고 균모와 .. 2023. 10. 5.
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barius 자실체 전체가 선명한 노란색으로 갓 가장자리가 얕게 갈라지며 물결치듯 오이 꽃 모양이어서 '오이꽃버섯'이라 불리기도 하는 버섯이다. 뒷면은 방사상으로 거짓주름이 잡혀 있는데 주름은 애기꾀꼬리버섯과 달리 맥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버섯대는 아래쪽으로 점차 가늘어지며 속은 차 있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의 땅에 무리지어 난다. 살구 냄새가 나는 식용 버섯으로 맛이 좋은 버섯으로 알려지고 있다. 외생균근이다.    2023. 08. 30 .  서울    2023. 09. 04.  서울      ● 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barius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균모는 지름 3~8cm에 노란색이다. 균모는 가운데가 조금 오목하고 불규칙한 원형이다.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 2023. 9. 9.
샛노란 애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minor 경북 영양 일월산에서 멀지 않은 흥림산 골짜기에서 만난 애기꾀꼬리버섯. 갓 머리 2mm쯤의 유균들에서부터 최대 15mm까지 아주 작은 버섯들이 무리를 지어 머리를 내밀고 있다. 철원에서 만난 애기꾀꼬리버섯과는 달리 갓 표면까지 전체가 샛노랗다. 꾀꼬리버섯에 비하여 아주 작고 주름살이 맥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다르다. 여름~가을에 숲속의 땅에 무리지어 나며 공생생활을 한다. 맛이 부드러운 식용 버섯으로 항암 성분이 있다. 외생균근을 형성하는 버섯이다. 2023. 08. 26. 영양 일월 ● 애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minor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균모는 지름 1.5~2cm, 둥근 산 모양을 거쳐 차차 편평한 모양이 되거나 때로는 불규칙한 모양에 가운데가 들어가기도.. 2023. 9. 3.
애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minor 능선의 오솔길을 따라 애기꾀꼬리버섯들이 군데군데 무리지어 나고 있다 갓 크기는 대개 지름 15mm 정도이다. 맨 땅에 많이 나며 꾀꼬리버섯에 비하여 아주 작고 주름살이 맥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다르다. 여름~가을에 숲속의 땅에 무리지어 나며 공생생활을 한다. 맛이 부드러운 식용 버섯으로 항암 성분이 있다. 외생균근을 형성하는 버섯이다. 2023. 08. 25. 철원 갈말 애기꾀꼬리버섯과 함께 발생한 것으로 주름살이 맥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점이 꾀꼬리버섯(C. cibarius)의 특징인데 크기는 작다. ● 애기꾀꼬리버섯 Cantharellus minor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균모는 지름 1.5~2cm, 둥근 산 모양을 거쳐 차차 편평한 모양이 되거나 때로는 불규칙한 모양에 가.. 2023. 9. 2.
'자수정꾀꼬리버섯'(임시명) Cantharellus amethysteus 꾀꼬리버섯 비슷한 종류가 다양한 듯해서 이 카페의 목록을 쭉 검색하며 대강 공부를 한번 해 본 것인데, 이게 웬일~. 바로 다음 날 나선 산행에서 작은 군락을 이루며 낙엽 속에서 여기저기 얼굴을 내밀고 있는 꾀꼬리버섯들을 만난다. 어, 그런데 보랏빛 꾀꼬리버섯이다. 처음 만나는 꾀꼬리버섯인데도 아주 낯익은 듯한 녀석들이다. 가까스로 기억을 되살려 보니 '자수정꾀꼬리버섯'(임시명) Cantharellus amethysteus이렷다~~. 영명은 종명을 따라 amethyst chanterelle. 이름 그대로 자수정 꾀고리버섯이다. 모양과 크기는 꾀꼬리버섯과 다를 바가 없어 보이는데 다만 갓이 보랏빛으로 단풍 든 듯한 모습이다. 구글 검색을 해보니 꾀꼬리버섯의 자수정 색깔의 변종(Cantharellus cib.. 2023. 8. 22.
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barius 아파트 단지와 산으로 이어지는 소공원 정원에 작은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다. 아쉽게도 부후가 시작된 듯 싱싱함을 잃어가고 있다. 여름~가을에 활엽수림 또는 침엽수림의 땅에 무리지어 난다. 살구 냄새가 나는 식용 버섯으로 맛이 좋은 버섯으로 알려지고 있다. 외생균근이다. 2023. 07. 17. 서울 2023. 08. 11. 서울 ● 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barius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균모는 지름 3~8cm에 노란색이다. 균모는 가운데가 조금 오목하고 불규칙한 원형이다. 가장자리는 얕게 갈라지며 물결 모양이고 표면은 매끄럽다. 살은 두껍고 연한 황색이다. 아랫면에는 주름살(거짓주름살)이 가지를 쳐서 맥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균모를 포함한 자루의 길이는 3~8cm, .. 2023. 7. 17.
붉은벽돌빛꾀꼬리버섯(벽돌색꾀꼬리버섯) Cantharellus lateritius 급한 등산로를 올라 낮은 산등성이 능선길로 접어드는 비탈길 주변에는 노란 꾀꼬리버섯들이 꽃처럼 피었다. 이 꾀꼬리버섯은 주름살이 보이지 않아 일부에서 '민주름꾀꼬리버섯' 또는 '꾀꼬리버섯아재비'로 불리기도 하였지만 정명은 아니다. 갓은 꽃송이처럼 굴곡이 심한 물결 모양을 이룬다.  향기로운 살구 냄새가 나며 맛이 좋은 식용 버섯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참나무 등 활엽수림의 땅에 무리를 지어난다.    2023. 07. 10. 서울         ● 붉은벽돌빛꾀꼬리버섯 Cantharellus lateritius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균모는 지름 3~10cm, 둥근 산 모양이다가 편평해지며 흔히 중앙이 들어간다. 가장자리는 안으로 말리고, 물결형 또는 엽편 모양이 된다. 색은 연한 황-.. 2023. 7. 12.
황금꾀꼬리버섯 Cantharellus luteocomus 황금꾀꼬리버섯은 '황금나팔꾀꼬리버섯'이라고도 하는 꾀꼬리버섯과의 버섯이다. 애기꾀꼬리버섯이나 호박꾀꼬리버섯과는 달리 주름살이 보이지 않고 갓 가장자리가 물결상이고 불규칙한 톱날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오이꽃버섯과도 유사하다. 갈색털뿔나팔버섯(Craterellus lutescens)과 색깔만 다를 뿐 모든 특징이 같아서 같은 종으로 본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소나무 숲 아래 무리를 지어 자라며 때로는 균륜(菌輪 Fairy Ring)을 형성한다. 2015. 09. 26. 합천 가회 ● 황금꾀꼬리버섯 Cantharellus luteocomus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갓은 지름 1~2.5㎝로 오목한 평반구형에서 얕은 깔때기형이 된다. 갓 표면은 백색~담황색 또는 담적등색을 띠며, 거칠고 종종.. 2015. 10. 12.
황금꾀꼬리버섯 Cantharellus luteocomus = 갈색털꾀꼬리버섯 Craterellus lutescens 황금꾀꼬리버섯은 '황금나팔꾀꼬리버섯'이라고도 하는 꾀꼬리버섯과의 버섯이다. 애기꾀꼬리버섯이나 호박꾀꼬리버섯과는 달리 주름살이 보이지 않고 갓 가장자리가 물결상이고 불규칙한 톱날 같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오이꽃버섯과도 유사하다. 갈색털뿔나팔버섯(Craterellus lutescens)과 색깔만 다를 뿐 모든 특징이 같아서 같은 종으로 본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소나무 숲 아래 무리를 지어 자라며 때로는 균륜(菌輪 Fairy Ring)을 형성한다. 무릉계곡 ● 황금꾀꼬리버섯 Cantharellus luteocomus / 꾀꼬리버섯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갓은 지름 1~2.5㎝로 오목한 평반구형에서 얕은 깔때기형이 된다. 갓 표면은 백색~담황색 또는 담적등색을 띠며, 거칠고 종종 주름살이 있으며, 가장자리.. 2015.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