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도버섯과57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봄부터 늦가을까지 마을 주변 풀밭에서도 어쩌다 만날 수 있는 비늘버섯의 하나이다. 갓은 연한 황갈색인데 환경에 따라 색감이 차이가 많은 듯, 이 버섯은 좀 어두운 색깔이다. 섬유상의 비늘조각이 많이 있는데 갓 끝에는 내피막 일부가 붙어 있다. 자루에도 갈색의 섬유상 비늘조각과 솜털 모양의 내피막 흔적이 있다. 부후성 버섯으로 봄부터 늦가을까지 숲속, 풀밭, 길가 등의 땅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라하는데, 어떤 도감에서는 설사, 구토 등의 증상으로 중독된 예가 있는 독버섯이라고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2023. 10. 27.  서울       ●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2~6cm로 둥근 산 모.. 2024. 12. 12.
'밤버섯',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갓 모양이나 색깔이 밤톨 같아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영어 이름도 같은 뜻을 가진 'chestnut mushroom'이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3. 10. 24.  경기 구리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 2024. 12. 8.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영어 이름도 같은 뜻의 'chestnut mushroom'이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3. 10. 16.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ick cap, chestnut mushr.. 2024. 12. 2.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같은 뜻의 chestnut mushroom이란 영명도 있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4. 10. 27.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ick cap, chestnut mushro.. 2024. 11. 14.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같은 뜻의 chestnut mushroom이란 영명도 있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4. 10. 26.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ick cap, chestnut mushroo.. 2024. 11. 13.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봄부터 늦가을까지 마을 주변 풀밭에서도 어쩌다 만날 수 있는 비늘버섯의 하나이다. 갓은 연한 황갈색인데 환경에 따라 색감이 차이가 많은 듯, 이 버섯은 좀 어두운 색깔이다. 섬유상의 비늘조각이 많이 있는데 갓 끝에는 내피막 일부가 붙어 있다. 자루에도 갈색의 섬유상 비늘조각과 솜털 모양의 내피막 흔적이 있다. 부후성 버섯으로 봄부터 늦가을까지 숲속, 풀밭, 길가 등의 땅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라하는데, 어떤 도감에서는 설사, 구토 등의 증상으로 중독된 예가 있는 독버섯이라고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2024. 10. 16.  경기 구리      ●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2~6cm로 둥근 산.. 2024. 11. 3.
노란개암버섯(노란다발) Hypholoma fasciculare 포도버섯과 개암버섯속의 맹독성 버섯이다. 주름은 촘촘하며 처음 유황색에서 올리브 갈색, 암자갈색으로 변한다. 식용 버섯인 개암버섯과 혼동되기 쉬운 모습으로, 개암버섯은 가을에 밤나무 그루터기에 군생하며 갓은 적갈색을 띠는 점으로 구별된다.  참나무류의 목재부후균이며 봄부터 가을에 걸쳐 고목 그루터기에서 발생한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2024. 10. 11.  합천 삼가 백학산        2024. 10. 08.  서울    2024. 10. 13.  서울    2024. 10. 16.  경기 구리      ● 노란개암버섯 Hypholoma fasciculare | sulphur tuft, clustered woodlover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개암버섯속 갓은 2~6cm의 소형으로 .. 2024. 10. 30.
검은비늘버섯(chestnut mushroom), 유균 영어 이름이 'chestnut mushroom', 맛보다는 잘 구운 군밤알을 연상시키는 듯한 검은비늘버섯 유균을 만난다. 금빛으로 화려한 성균에 비해 검은빛이구나 싶을 정도로 어두운 적갈색을 띤다. '비늘이 검은 버섯'이 아니라 '검은빛을 띤 비늘버섯'임을 알 수 있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일본, 중국 남서부,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며, 이 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생체 활성 화합물은 약용으로서의 가능성도 크다.     2024. 10. 09.  서울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 chestnut mushroo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5~10cm로 .. 2024. 10. 29.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의 버섯으로, 갓은 황갈색으로 표면은 습하고 점성이 있으며 갓 전면에 삼각형의 흰 비늘조각들이 있고 점차 갈황색으로 변한다. 영어 이름은 'chestnut mushroom'인데 맛보다는 까 놓은 군밤 같은 모양을 표현한 이름인 듯하다. 북한 이름은 '기름비늘갓버섯'이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일본, 중국 남서부,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며, 이 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생체 활성 화합물은 약용으로서의 가능성도 크다.     2024. 10. 09.  서울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 chestnut mushroo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 2024. 10. 28.
진노랑비늘버섯 Flammula alnicola(Pholiota alnicola) 갓 표면은 노란빛이 도는 황색으로 점성이 있으며, 가장자리에는 흰 인편이 붙어 있다. 주름살은 황색~짙은 갈색이고 빽빽하며 대에 완전붙은형이다. 자루는 원통형으로 황색이나 밑부분은 짙은 갈색을 띠며, 턱받이는 자루 위쪽에 위치하지만 쉽게 탈락한다.  가을에 오리나무, 버드나무, 자작나무 등 활엽수 그루터기에 홀로 또는 뭉쳐서 난다. 동아시아와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하나 권할 만하지는 않다.     2024. 09. 22.  경기 구리      ● 진노랑비늘버섯 Pholiota alnicola | Alder scalycap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의 지름은 2~6(10)cm로 처음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펴진다. 표면은 밋밋하고 약간 끈적기가 있다. 어릴 때는 레몬색.. 2024. 10. 13.
노란갓비늘버섯 Pholiota spumosa 리기다소나무 숲속, 땅에 묻혀 썩은 나무 줄기와 그 주변 땅에서 흩어져서 난 버섯이다. 갓 가운데는 황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노란색이며 가장자리에 연한 갈색막질 파편이 붙어 있고 자루에 갈색 세로줄이 보이는 등 노란갓비늘버섯의 특징이 나타난다. 오렌지비늘버섯(P. lucifera)과 유사하나, 비늘이 다소 희미한 편이다. 띠비늘버섯(P. multicingulata)과도 유사하나 갓이 더 어두운 갈색이다.  북한 이름은 '노란기름비늘갓버섯'이다. 가을철 산과 들의 땅에 반쯤 묻혀 있는 침엽수의 죽은 나무에 뭉쳐서 자란다. 유럽과 북미에 널리 분포하고 러시아,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하다.    2024. 09. 14.  서울        2024. 07. 28.  서울     ● 노란갓비늘버섯 Phol.. 2024. 10. 3.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junonius 활엽수 밑동에 최대 갓 지름 15cm에 이를 정도로 크고 우람하게 자라는 미치광이버섯속의 갈황색 대형 버섯이다. 단독형으로 자라기도 하고 두터운 육질로 원통형의 가지를 치며 성장하기도 한다. 표면에 옅은 섬유상 세로줄이 있으며 위쪽에 황색 막질의 턱받이가 있다. 끈적버섯과, 포도버섯과 등을 거쳐 막질버섯과(배주름버섯과)로 이동되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고사목 그루터기 주위 또는 살아 있는 나무 뿌리 주위에 뭉처서 발생한다. 전 세계 온대지역에 분포한다.(타이완을 제외한 중국에는 기록이 없는 듯하다.) 환각 중독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2024. 09. 09-10.  서울     2024. 09. 15.  서울   2024. 08. 30.  서울   2024. 10. 02.  경기 구리     .. 2024. 9. 27.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어둠이 내리는 하산길에 재목 더미에 무리지어 난 짙은 갈색 갓의 버섯들을 만난다. 살펴보니 띠비늘버섯이지 싶은데 가을이 아닌, 장마철에 때이르게 발생한 것이 놀랍다.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버섯, 갓 표면은 갈색으로 섬유상의 인편이 있으며 가운데는 어두운 갈색 가장자리는 연한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띠 모양을 이룰 때가 많다. 주름살은 붙은형으로 크림색~연한 갈색으로 촘촘한 편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남서부, 호주와 뉴질랜드 남부와 칠레 등 남반구 태평양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죽은 나무 그루터기나 재목, 가지, 땅에 묻힌 나무에 다발로 나거나 무리지어 난다.    2024. 07. 21.  서울      ●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갓.. 2024. 8. 5.
노란개암버섯(노란다발) Hypholoma fasciculare 설마 했는데 쪼그려 앉아 주름살을 보니 노란다발, 노란개암버섯이다. 어둠이 내리는 숲속에서 갓 색깔이 잘 분별되지 않는 까닭이다. 포도버섯과 개암버섯속의 맹독성 버섯이다. 주름은 촘촘하며 처음 유황색에서 올리브 갈색, 암자갈색으로 변한다. 맛 좋은 식용 버섯인 개암버섯과 혼동되기 쉬운 모습으로, 개암버섯은 가을에 밤나무 그루터기에 군생하며 갓은 적갈색을 띠는 점으로 구별된다.  참나무류의 목재부후균이며 이른 봄부터 늦가을에 걸쳐 고목 그루터기에서 발생한다.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2024. 06. 08.  오대산      ● 노란개암버섯 Hypholoma fasciculare | sulphur tuft, clustered woodlover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개암버섯속 갓은 2~6cm의.. 2024. 6. 20.
'비늘버섯아재비' Pholiota sp. 비늘버섯과 아주 유사한 모습으로 비늘버섯이 나무 그루터기에 발생하는 데 비하여 이 버섯은 풀밭이나 이끼밭 등의 땅에 발생한다. 에서 '비늘버섯아재비'라 붙인 신칭으로 우선 기록해 둔다.    2024. 05. 12.  경기 구리     2023. 10. 24.  경기 구리     ● 솔   ↘  목높이      ※ 참고 :     ☞ 더 보기 => 2024.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