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포도버섯과57

밤자갈버섯(포도색자갈버섯) Hebeloma vinosophyllum 포도버섯과 자갈버섯속의 독버섯으로 설사, 경련 등을 일으킨다. 숲에서 죽은 동물의 시체를 분해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다. 암모니아 버섯으로 질소가 많은 지역에서 질소 순환에 관여하는 생물자원으로 응용 가치가 있다. 혼합림 지역에서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2023. 07. 17. 서울 ● 밤자갈버섯속 Hebeloma vinosophyllu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자갈버섯속 갓은 반구형에서 편평형이 되고, 1.5~4cm 정도로 자란다. 갓 표면은 등황색에서 가장자리는 백색이며 갓 둘레는 어릴 때 내피막 조각이 붙어 있다. 주름살은 끝붙은형으로 약간 빽빽하고 적갈색을 띤다. 대는 원통형으로 등갈색을 띠며, 크기는 2~4×0.4~0.6cm이다. 담자포자는 타원형으로 표면은 돌기가 있고 적갈색을 띠며, 크기.. 2023. 7. 20.
밤자갈버섯(포도색자갈버섯) Hebeloma vinosophyllum 꼭 보름 전 갓 테두리가 꽃잎처럼 다소 물결 모양을 이룬 특이한 밤자갈버섯 한 송이를 만난 자리에서 몇 개의 버섯이 뭉쳐서 자라난 밤자갈 버섯을 만난다. 지난 번 버섯을 밤자갈버섯으로 확신하지 못했던 증거물이 나타남으로써 자연스럽게 의문은 해소되었다. 독버섯으로 설사, 경련 등을 일으킨다고 한다. 2023. 06. 27. 서울 2023. 07. 18. 서울 ● 밤자갈버섯 Hebeloma vinosophyllu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자갈버섯속 갓은 반구형에서 편평형이 되고, 1.5~4cm 정도로 자란다. 갓 표면은 등황색에서 가장자리는 백색이며 갓 둘레는 어릴 때 내피막 조각이 붙어 있다. 주름살은 끝붙은형으로 약간 빽빽하고 적갈색을 띤다. 대는 원통형으로 등갈색을 띠며, 크기는 2~4×0.4~0.6.. 2023. 7. 11.
진황색주름미치광이버섯('꽃잎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crociphyllus 미치광이버섯과 달리 죽은 활엽수 줄기에서 발생하고, 갈황색미치광이버섯과는 달리 턱받이가 없는 미치광이속의 버섯이다. 그 동안 한국야생버섯분류회에서는 '꽃잎미치광이버섯'이란 임시명으로 불려왔는데, 국가생물다양성정보공유체계에서 기재문 없이 진황색주름미치광이버섯이라는 국명을 이미 붙여 놓고 있다. 서울대학교 한반도진균자원은행 국내 표본으로는 가야산과 제주도의 것이 주로 기록되어 있다. GBIF에 따르면 특이하게도 한국과 거의 비슷한 경도에 있는 일본,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등 지역에서만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2023. 06. 27. 서울 같은 재목에서 70여일 뒤 발생한 버섯 ● 진황색주름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crociphyllus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갓 지름 3~7cm이고 .. 2023. 7. 11.
밤자갈버섯(포도색자갈버섯) Hebeloma vinosophyllum 6월 중순에 접어들었지만 아직은 버섯에 관한 한 휑한 숲속, 유난히 커다란 버섯 한 개체가 눈에 띈다. 손바닥만 한 버섯인데, 그야말로 '살색'에 가깝고 버섯 갓 테두리는 꽃잎처럼 약간 오글거리는 굴곡이 있다. 밑면 주름살을 보니 붉은 갈색빛이라 외대버섯 종류인가 싶은데, 고수 님은 자갈버섯속 버섯으로 밤자갈버섯과 가장 비슷하다 한다. 2주일 뒤에 같은 장소에서 발생한 버섯 몇 개체가 밤자갈버섯으로 확인되었다. 2023. 06. 12. 서울 대모산 ● 밤자갈버섯속 Hebelom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자갈버섯속 갓은 반구형에서 편평형이 되고, 1.5~4cm 정도로 자란다. 갓 표면은 등황색에서 가장자리는 백색이며 갓 둘레는 어릴 때 내피막 조각이 붙어 있다. 주름살은 끝붙은형으로 약간 빽빽하고 적갈색.. 2023. 6. 16.
미치광이버섯(솔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liquiritiae 며칠 간헐적으로 비가 내리고 나더니 대모산 곳곳에 쌓여 있는 소나무 더미에서 미치광이버섯이 꽃처럼 피어나고 있다. 크지 않은 작은 버섯은 늦봄부터 가을에 걸쳐 발생하며 담갈색이나 짙은 갈색을 띠고 있다. 소나무에 잘 발생하여 흔히 '솔미치광이버섯'이라 부른다. 다른 미치광이버섯과 함께 독버섯으로 신경계통을 자극하여 환각 현상을 나타낸다. 버섯을 섭취하게 되면 수십 분 내에 증상이 발생하고 대개 4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사라진다. 정신 불안, 갑작스런 웃음, 착란 등 환각 증상을 보이며, 다량을 복용한 경우 혼수, 경련, 사망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2023. 06. 12. 서울 대모산       ● 미치광이버섯(솔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liquiritiae  ↘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포.. 2023. 6. 16.
금빛비늘버섯 Pholiota aurivella 갓 표면은 끈적기가 있으며 마르면 광택이 나고 황금색에서 녹슨 황색으로 된다. 탈락성인 갈색의 삼각형 인편이 동심원으로 덮이고 중앙부에 몰려 있다. 인편이 눈물방울 모양인 '눈물방울형'도 있다. 봄~가을 활엽수 고목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2. 10. 29. 서울 ● 금빛비늘버섯 Pholiota aurivella ↘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는 섬유상 육질이며 지름이 6~12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형으로 되며 중앙부는 둔하게 돌출한다. 표면은 습기가 있고 끈적거리며 마르면 광택이 나고 황금색에서 녹슨 황색으로 된다. 탈락성인 삼각형의 인편이 동심원의 테로 덮이고 중앙부에 몰려 있으나 가장자리로 가면서 점점 적어진다. 가장자리는 처음에 아래로 감기며 섬유상 피막의 잔사가.. 2022. 11. 1.
개암버섯(개암다발버섯) Hypholoma lateritium (Naematoloma sub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인편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맹독성 버섯인 노란개암버섯(노란다발버섯)과 비슷하나 색깔이 갈색이나 밤색으로 더 짙고 쓴맛이 없다. 북한명은 '밤버섯'이다. 늦가을 참나무와 밤나무 등 그루터기나 넘어진 나무에서 뭉쳐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2. 10. 25.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개암버섯속 갓은 30~80mm로 반구형이나 차차 평반구형 내지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밝은 다갈색 내지 적갈색이며, 습하면 점성이 있고, 갓 둘레는 옅은 색이며, 백색의 섬유상 피막이 있다. 조직은 황백색이다. 주름살은 완전붙은형으로 약간 빽빽하고, 처음에는 황.. 2022. 10. 31.
개암다발버섯(개암버섯) Hypholoma (Naematoloma sub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인편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맹독성 버섯인 노란개암버섯(노란다발버섯)과 비슷하나 색깔이 갈색이나 밤색으로 더 짙고 쓴맛이 없다. 북한명은 '밤버섯'이다. 늦가을 참나무와 밤나무 등 그루터기나 넘어진 나무에서 뭉쳐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2. 10. 24.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개암버섯속 갓은 30~80mm로 반구형이나 차차 평반구형 내지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밝은 다갈색 내지 적갈색이며, 습하면 점성이 있고, 갓 둘레는 옅은 색이며, 백색의 섬유상 피막이 있다. 조직은 황백색이다. 주름살은 완전붙은형으로 약간 빽빽하고, 처음에는 황.. 2022. 10. 30.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포도버섯과(독청버섯과) 비늘버섯속의 버섯으로, 갓 표면은 습하며 점성이 있고 황갈색이며 갓 둘레는 담황색이고 갓 전면에 삼각형의 백색 비늘조각들이 있으며 점차 갈황색으로 변한다. 북한에서는 '기름비늘갓버섯'이라 부른다고 한다. 식용 버섯으로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2022. 10. 23. 서오릉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갓은 지름 3~8cm로 어릴 때는 둥근 모양이나 차차 편평하게 펴진다. 갓 표면은 습하며 점성이 있고 황갈색이며, 갓 둘레는 담황색이고 갓 전면에 삼각형의 백색 비늘조각들이 있으며 점차 갈황색이 된다. 가장자리는 처음에는 안쪽으로 말리며 실 모양의 갓막이 있다. .. 2022. 10. 28.
보리볏짚버섯 Cyclocybe erebia(Agrocybe erebia) 갓 표면은 회갈색~갈색으로 둥근 산 모양을 이루고 내린주름살이며, 자루 표면은 섬유상이고 아래로 갈수록 갈색이 짙어지고 윗부분에 막질의 턱받이가 있다.  포도버섯과(독청버섯과) 볏짚버섯속 버섯으로 식용 가능하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노지, 정원 등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2014년 DNA 연구 결과 볏짚버섯속(Agrocybe)과의 연관성이 밀접하지 않은 것이 밝혀져 원볏짚버섯속(Cyclocybe)으로 바뀌었다.    2022. 10. 08.  서울 수서    오래되면 갓 가장자리가 치켜 올라간다.     ● 보리볏짚버섯 Agrocybe erebia  ↘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볏짚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7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하게 펴지며 중앙이 돌출한다. 오래되면 균모의 가장.. 2022. 10. 20.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10여 그루 소나무 정원, 철쭉이 심어진 땅에는 보리볏짚버섯과 함께 땅비늘버섯이 옹기종기 자라고 있다. 두 버섯이 모두 갈색이고 소형 버섯으로 크기도 모양도 비슷한데 땅비늘버섯은 갓과 자루에 인편이 발달하고 보리볏짚버섯은 매끈하다는 점에 주의하면 쉽게 구별된다. 포도버섯과(독청버섯과) 비늘버섯속의 식용 버섯이다. 봄~가을에 숲 속, 밭, 길가 등의 땅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2022. 10. 06. 서울 수서 ●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는 지름이 2~6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은 약간 볼록하다. 표면은 건조성이나 습기가 있을 때 끈적기가 있고 크림색, 계피색, 백갈색, 암갈색 등이며 계피색의 섬유상 인편.. 2022. 10. 19.
보리볏짚버섯 Agrocybe erebia,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십여 그루 소나무와 그 아래 철쭉으로 정원을 꾸민 길을 걷다 갈색 버섯이 몇 군데서 무리를 이루고 옹기종기 자라고 있는 모습을 발견한다. 한눈에 땅비늘버섯이다 싶어서 폰카메라로 사진을 담았는데, 확인차 카페에 문의하다 보리볏집버섯과 함께 혼생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색깔도 크기도 아주 비슷하여 무심히 생각했던 것이 아차 싶었다. 포도버섯과(독청버섯과) 볏짚버섯속의 버섯으로 식용 가능하다. 여름~가을 활엽수림, 노지, 정원 등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2022. 10. 06. 서울 수서 ○ 보리볏집버섯 - 갓이 매끈하고 가운데 색깔이 진하다. ○ 땅비늘버섯 - 갓 색깔이 고르고 작은 인편이 촘촘히 분포되어 있다. 오른쪽에 보리볏짚버섯 2개체가 있다. ○ 보리볏짚버섯 ○ 땅비늘버섯 주름살 - 자.. 2022. 10. 19.
금빛비늘버섯 Pholiota aurivella (눈물방울형 Pholiota cerifera) 갓 표면은 끈적기가 있으며 마르면 광택이 나고 황금색에서 녹슨 황색으로 된다. 탈락성인 갈색의 삼각형 인편이 동심원으로 덮이고 중앙부에 몰려 있다. 인편이 눈물방울 모양인 '눈물방울형'도 있다. 봄~가을 활엽수 고목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2. 10. 04. 서울 ● 금빛비늘버섯 Pholiota aurivella ↘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는 섬유상 육질이며 지름이 6~12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형으로 되며 중앙부는 둔하게 돌출한다. 표면은 습기가 있고 끈적거리며 마르면 광택이 나고 황금색에서 녹슨 황색으로 된다. 탈락성인 삼각형의 인편이 동심원의 테로 덮이고 중앙부에 몰려 있으나 가장자리로 가면서 점점 적어진다. 가장자리는 처음에 아래로 감기며 섬유상 피막의 잔사가.. 2022. 10. 17.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성게가시갓버섯을 만나고 10여m 거리에 있는 소나무 정원 아래 철쭉이 심어진 땅 정원석 귀퉁이에서 다발로 자라는 갈색 갓의 버섯을 만난다. 버섯 밑면과 자루를 살펴보니 비늘버섯의 특징이 뚜렷하다. 그런데 땅에서 자라는 비늘버섯이니 '땅비늘버섯'이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확인해 보니 과연 그렇다. 포도버섯과(독청버섯과) 비늘버섯속의 식용 버섯이다. 봄~가을에 숲 속, 밭, 길가 등의 땅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2022. 10. 01. 서울 수서 궁마을 소나무 정원 ●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는 지름이 2~6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며 중앙은 약간 볼록하다. 표면은 건조성이나 습기가 있을 때 끈적기가 있고 크림색, 계.. 2022. 10. 11.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junonius 포도버섯과(끈적버섯과, 배주름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으로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맹독성은 아니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되지만 많은 양을 먹으면 체질에 따라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한다. '웃음독벗은갓버섯'이라는 별칭처럼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데 즐겁거나 불안, 갑작스런 웃음, 환각, 인지 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최근 연구에서 이 버섯에서 폐암 세포와 전립선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 물질이 발견되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고사목 그루터기 주위 또는 살아 있는 나무 뿌리 주위에 뭉처서 발생한다. 2022. 09. 26. 서울 대모산 ●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junonius ↘ 주름버섯목 배주름버섯과 미치광이버섯.. 2022.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