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솔버섯속3 깔때기큰솔버섯(주름넓은큰솔버섯) Megacollybia clitocyboidea (추정) 지금까지 한 종으로 기록되었던 큰솔버섯은 유럽종으로 유럽 외 다른 대륙에 존재하지 않으며 한국의 자생종은 깔때기큰솔버섯과 검은날큰솔버섯 2종으로 밝혀지고 있다. 다만 조덕현은 북미에 자생하는 막대넓은애기버섯이라는 큰솔버섯속을 한 종 더 기록하고 있다. 아래의 버섯은 검은날큰솔버섯과는 지금까지 만났던 큰솔버섯속과 결이 다른 버섯으로 깔때기큰솔버섯으로 추정된다. (갓 끝이 위로 날리는 점, 갓 가장자리가 물결상인 점 등) 2023. 09. 01. 서울 ● 주름넓은큰솔버섯 Megacollybia clitocyboidea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큰솔버섯속 갓의 크기는 3~10cm이고 암회색이며 표면에는 작은 부스럼이 있다. 주름은 성긴편이며 날끝은 매끄럽지 않다. 자루의 크기는 4.5~11.. 2023. 9. 17. 검은날큰솔버섯 Megacollybia marginata 어두운 갈색 갓에 방사상 섬유 무늬 줄이 나타나는 독특한 버섯이다. 지금까지 넓은큰솔버섯(M. platyphylla)한 종으로 기록되었으나, 이는 유럽종으로 유롭 외네는 기록이 없으며 국내 자생종은 깔때기큰솔버섯(M. clitocyboidea)과 검은날큰솔버섯 2종임이 밝혀졌다. 이 버섯은 주름살 끝이 검은빛을 띠는 경우가 많은 검은날큰솔버섯으로 보인다.(깔때기큰솔버섯은 갓 표면에 작은 부스럼이 있다) 낙엽버섯과 큰솔버섯속 버섯으로 여름~가을에 활엽수의 부식토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자란다. 독버섯이다. 2022. 09. 07. 서울 대모산 ● 검은날큰솔버섯 Megacollybia marginata ↘ 주름버섯목 낙엽버섯과 큰솔버섯속 갓의 크기는 3.5~9cm이고, 갓의 모양은 .. 2022. 9. 21. 검은날큰솔버섯 Megacollybia marginata 암갈색의 갓에 가운데에서 방사상으로 펼쳐진 선명한 선의 무늬가 특징적인 버섯이다. 송이버섯과 솔버섯속의 버섯으로 넓은큰솔버섯(M. platyphylla)으로 불려져 왔지만, 이는 유럽종으로 다른 2종임이 밝혀졌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2종은 각각 주름넓은큰솔버섯=깔때기큰솔버섯(M. clitocyboidea), 검은날큰솔버섯(M. marginata)으로 등록되었다. 전자는 갓이 암회색이며 표면에는 작은 부스럼이 있고 날끝은 매끄럽지 않다. 후자는 갓의 색깔은 회색, 회갈색, 흑갈색으로 방사상의 섬유 무늬를 띠고 주름살 끝이 검은빛을 띠는 경우가 많다. 여름~가을에 활엽수의 고사목 주변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독버섯이다. 2018. 09. 14. 서울 대모산 ● 검은날큰솔버섯 .. 2018. 9.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