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블완24 박하 Mentha canadensis(Mentha arvensis var. piperascens) 습한 개울가에 잘 자라는 박하가 높은 산성의 길에서 무리를 지어 꽃을 피웠다. 풀이 우거져 습기가 많은 탓이다. 꿀풀과 박하속의 여러해살이풀로 꿀풀과의 대부분의 종들이 꽃부리가 입술 모양으로 좌우대칭을 이루는 데 비해 박하는 꽃부리가 4개의 갈래조각으로 거의 동일하게 갈려 방사대칭을 이루는 점에서 또렷이 구별된다. 고도가 낮은 지역 숲의 개울가, 초지 등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과 줄기는 약으로 쓴다. 우리나라 전역에 나며, 세계적으로는 중국, 몽골, 일본, 러시아,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 2024. 10. 30. 남한산성 ● 박하 Mentha canadensis | Canada mint, Bakha (East Asian wild mint) ↘ 목련강 국화아강 꿀풀목 꿀풀과 .. 2024. 11. 15. 요철눈물버섯 Psathyrella delineata 등산로로 들어서자마자 썩어가는 재목에 무리로 발생한 버섯을 만난다. 다람쥐눈물버섯이다 싶어 다시 보니 큰 것은 갓 지름이 8~9cm에 이를 정도로 크고 갓 표면의 주름골이 또렷이 발달한 것이 요철눈물버섯으로 보인다. 어린 버섯은 다람쥐눈물버섯과 아주 비슷한데 점차 갓 표면이 깊게 주름지고 크기도 더 커진다. 습할 때는 적갈색, 건조할 때는 황갈색~황토색을 띤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썩은 나무나 그루터기, 또는 주변의 땅 위에 홀로 또는 무리지어 난다. 2024. 10. 30. 남한산성 ● 요철눈물버섯 Psathyrella delineata | wrinkled-cap psathyrella ↘ 주름버섯목 눈물버섯과 눈물버섯속갓은 3~10cm정도로 어릴 때는 반원모양에.. 2024. 11. 15.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갓 표면은 다갈색~적갈색으로 주변부는 연한 색이며, 흰 섬유상 비늘조각이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고 황백색에서 황갈색을 거쳐 자갈색이 된다. 북한에서는 '밤버섯'이라고 하며 같은 뜻의 chestnut mushroom이란 영명도 있다. 조덕현은 노란다발과 함께 '다발버섯속'으로 분류하여 '개암다발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의 고목 그루터기 또는 땅에 묻힌 나무 등에 무리지어 난다. 북반구 난·온대 이북에 분포한다. 일본,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널리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간주되나 치명적인 독버섯으로 비슷한 노란개암버섯과 혼동할 위험이 있다. 2024. 10. 27. 서울 ● 개암버섯 Hypholoma lateritium | brick cap, chestnut mushro.. 2024. 11. 14. 들주발버섯 Aleuria aurantia 골짜기 습한 길 위에 들주발버섯이 무리지어 발생하였다. 주발형 또는 접시형으로 크기는 2~6cm이며 자실체의 안쪽은 주황색에서 적갈색이고 바깥쪽은 옅은 주황색에 가루 같은 미세한 털로 덮여 있다. 가장자리는 종종 물결형이고 대는 없으며 살은 잘 부숴진다. 여름~가을 주로 숲 속 길 또는 토양 위에서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나 특별한 맛은 없으며 이용되지 않고 있다. 2024. 10. 26. 서울 ● 들주발버섯 Aleuria aurantia | orange peel fungus ↘ 주발버섯강 주발버섯목 털접시버섯과 들주발버섯속 자실체의 지름은 2~5cm이며 주발 모양 또는 접시 모양이다. 주발의 안쪽은 밝은 주홍색 또는 주황색이고 바깥 면은 연.. 2024. 11. 13. 외풀 Lindernia crustacea 예전에는 남부 지역이 아니면 보기 힘들었던 외풀이 서울의 볕 잘 드는 풀밭 언덕에 지천으로 자라고 있다. 열매가 참외와 비슷하여 외풀이라고 한다. 잎이 긴 논둑외풀에 비해 잎은 난형이며, 꽃은 연한 자주색이고, 꽃받침은 끝이 5갈래로 얕게 갈라지는 점으로 구분된다. 현삼과 외풀속의 한해살이풀이다. 전라남도, 제주도 등 남부지방의 논이나 물가에서 자란다. 전 세계 열대, 아열대, 난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나도고추풀', '풀고추'라고도 한다. 2024. 10. 27. 서울 ● 외풀 Lindernia crustacea | Malaysian false pimpernel, Brittle false pimpernel ↘ 목련강 국화아강 현삼목 현삼과 밭둑외풀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누워 사.. 2024. 11. 12. 참부채버섯 Sarcomyxa serotina(Panellus serotinus) 부채버섯과 같은 애주름버섯과 부채버섯속 버섯이지만 손톱만 한 부채버섯에 비해 훨씬 커서 갓 지름 10cm쯤이다. 반원형-콩팥 모양의 갓 표면은 탁한 황갈색-황록색이며 가는 털로 덮여 있고 표피 아래에 젤라틴층이 있어서 잘 벗겨진다. 자루는 갓 한쪽으로 붙으며 굵고 짧다. 봄이나 가을에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고사목이나 그루터기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한국, 일본,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2024. 10. 23. 경기 구리 ● 참부채버섯 Sarcomyxa serotina | olive oysterling, late fall oyster, late oyster mushroom ↘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부채버섯속 자실체의 갓은 반원형~콩팥형이며, 조직은 부드럽고 연한 육질형이다.. 2024. 11. 11.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작년 가을에 났던 리기다소나무 옆 땅에서 올해도 해면버섯 두 개체가 쌍둥이처럼 발생하였다. 갓 표면 고리무늬는 뚜렷하지 않으며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갈색빛을 띠는 황색에서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 변하며 살은 마르면 해면질로 되어 쉽게 부서진다. 버섯대는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여름~가을 침엽수 그루터기, 생목의 줄기나 뿌리에 난다. 전 세계 온대 지역 침엽수림대에 분포한다. 성숙한 버섯은 거칠고 질겨 식용으로 부적합할 뿐만 아니라 어린 버섯도 독성 가능성이 있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2024. 10. 20 - 27. 서울 노균 ● 해면버섯 Phaeolus schweinitzii | velvet-top fungus, dyer's polypore, dyer's .. 2024. 11. 10.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수형과 줄기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의 떨기나무-소교목이다. 전체적으로 서어나무에 비해 작고 줄기가 많으며 잎이 작고 끝이 뾰족하지 않다. 개서어나무에 비해 열매이삭과 열매싸개가 작다. 종자 번식도 하지만 뿌리를 내리는 힘이 강해 꺾꽂이 번식을 많이 한다. 서해안과 남해안 및 강원도 일부 내륙 지역에 자생한다. 중국, 일본 혼슈 이남에 분포한다. 공원 등에 조경수로 이용하며 목재는 농기구재로 쓴다. 2024. 10. 19. 영흥도 십리포 ●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 Korean hornbeam ↘ 목련강 조록나무아강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서어나무속 관목-소교목 높이 3~10m 정도로 자라는 낙엽 활엽 떨기나무 또는 작은큰키나무이다. 어린가지는 적갈색을 띤다. 어긋나게 달리.. 2024. 11. 8.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영흥도 바닷가 언덕에 붉은 열매가 보석처럼 달렸다. 봄에 피는 연한 노란색의 작은 꽃에 비해 가을의 열매는 이처럼 훨씬 화려하다. 열매는 쓴맛이 나며, 10여 개의 종자가 들어 있는데 겉이 끈적끈적하고 연노란색이다. 같은 속의 다른 종들과는 달리 암수딴그루이며 줄기에 가시가 없고 수꽃과 암꽃이 짧은 가지에 몇 개가 모여서 핀다. 예전엔 '까마귀밥여름나무'로 불렸는데 어느 새 '여름'이 빠진 까마귀밥나무로 국명이 간단해졌다. 범의귀과로 분류되던 것이 까치밥나무과로 분리 재배치된 것도 달라진 점이다. 우리나라 전역 산기슭 또는 골짜기에 자라며,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2024. 10. 19. 영흥도 ●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 목련.. 2024. 11. 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