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귀비과22 개양귀비(우미인초) Papaver rhoeas 유럽 원산으로 양귀비와 비슷한 꽃이 피기 때문에 개양귀비라고 한다. 중국에서는 우미인초라고 하는데, 초패왕 항우의 애첩 우미인이 유방의 군대에 포위되어 목숨을 끊은 뒤 무덤에 핀 꽃이라고 하여 유래한 이름이다. ● 개양귀비 Papaver rhoeas / 양귀비목 양귀비과 양귀비속의 두해살이풀 높이 30∼80cm이다. 전체에 털이 나고 줄기는 곧게 선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줄 모양 바소꼴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보통 붉은색이지만 품종에 따라 여러 빛깔이 있으며 5∼6월에 피는데, 가지 끝에 1개씩 달린다. 꽃이 피기 전에는 꽃망울이 밑을 향해 있으나 필 때는 위를 향한다. 꽃받침잎은 2개로 녹색이고 가장자리는 흰색이며 겉에 털이 난다. 꽃잎은 4개가 서로.. 2007. 5. 27. '숲속의 양귀비', 피나물 Hylomecon vernale 가지를 자르면 피를 연상하게 하는 붉은 즙액이 흘러나와 피나물이라고 부른다. 노랑매미꽃이라고도 한다. 지리산에 자생하는 매미꽃은 꽃이 피는 줄기에는 잎이 없고 꽃이 여러 송이 달리는 점이 다르다. 속명 Hylomecon는 그리스어 hylo(숲)과 mecon(양귀비)의 합성어이니, " 숲속의 양귀비"임을 나타내는 말이다. ● 피나물 Hylomecon vernale ㅣ Vernal celandine / 양귀비목 양귀비과 피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30cm 정도 자라며, 근생엽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다. 자르면 황적색의 유액이 나오고 다세포로 된 곱슬털이 있다. 근경은 짧으며 굵고 옆으로 자라며 많은 뿌리가 있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5~7개 갈라진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넓은 달걀모양이며 작은잎자루가 있고.. 2007. 5. 22. 금영화(캘리포니아양귀비) Eschscholtzia californica 캘리포니아양귀비라고도 하는 금영화는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 금영화 Eschscholtzia californica | California Poppy / 양귀비과의 한해살이풀 높이 30∼50cm이며 전체가 회청색을 띤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깃꼴로 갈라진다. 작은잎은 다시 갈라져 맨 나중의 조각잎은 .. 2006. 7. 14. 피나물(노랑매미꽃) Hylomecon vernale 가지를 자르면 피를 연상하게 하는 붉은 즙액이 흘러나와 피나물이라고 부른다. 매미꽃과 비슷하여 노랑매미꽃이라고도 불리는데, 매미꽃은 꽃줄기에는 잎이 달리지 않고 줄기 끝에 여러 송이의 꽃이 피는 점에서 다르다. 속명 Hylomecon는 그리스어로 hylo(숲)과 mecon(양귀비)의 합성어로 ".. 2006. 5. 16. 피나물, 또는 노랑매미꽃 피나물 Hylomecon vernale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 여름매미꽃·하청화·노랑매미꽃이라고도 한다. 숲속에서 자란다.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과 꽃줄기가 나와서 자라고 자르면 노란빛을 띤 붉은색 유액이 나온다. 잎은 깃꼴겹잎이고 작은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 2006. 4. 24.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2006. 04. 09 한낮. 양재천 2006. 04. 08 늦은 오후. 양재천 ●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 키는 50㎝ 정도이며 줄기나 가지에 상처를 내면 노란색의 즙이 나오는데 애기똥과 비슷하다고 하여 애기똥풀이라고 부른다. 습기 있고 양지바른 길가나 밭가에서 흔히 자.. 2006. 4. 14. 애기똥풀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집 근처, 길가나 언덕의 풀밭에서 잘 자라는 양귀비과의 두해살이풀. 줄기에 상처를 내면 애기똥같은 노란 액즙이 나와 애기똥풀이라 하는데, 까치다리라는 이름도 있다. 꽃은 5∼10월에 걸쳐 황색으로 지천으로 피어난다. 철 지난 11월 초 양재천 양지바른 언덕에 놀고 있는 녀석들을 잡.. 2005. 11. 2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