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비12

회양목을 해치는 회양목명나방(Glyphodes perspectalis) 여름밤, 열어 놓은 창으로 나방 한 마리가 날아 들어 방 안의 벽에 앉았다. 흰색 날개의 테두리에는 흑갈색 무늬가 뚜렷한데, 명나방 종류로 보인다. 확인해 보니 과연 명나방류로 한국산 명나방류 중에서 가장 큰 종이라 한다. 날개길이 약 28mm이다. 앞·뒷날개는 흰색 바탕에 바깥쪽 테두리에 흑갈색 .. 2010. 10. 14.
멧팔랑나비 ▶ 운길산 수종사 부근 멧팔랑나비 Erynnis montanus 나비목[鱗시 ')" onmouseout=Chartip_off()>翅목 ')" onmouseout=Chartip_off()>目] 팔랑나비과의 곤충 앞날개 길이 약 23mm이다. 날개의 앞면은 암적갈색으로 앞날개 바깥 반에는 회백색의 점줄이나 물결무늬 띠가 4줄 있으며 암컷은 희다. 뒷날개는 바깥 반에 작은 노랑 .. 2008. 5. 11.
남방부전나비, 큰주홍부전나비, 큰줄흰나비, 산제비나비, 검정꼬리박각시 아차산생태계공원에서 만난 나비들 : 남방부전나비, 큰주홍부전나비, 대만흰나비, 큰줄흰나비, 네발나비, 산제비나비, 검정꼬리박각시 2007. 09. 15 토요일 남방부전나비 노랑나비 큰주홍부전나비 수컷 큰주홍부전나비 암컷 대만흰나비 큰줄흰나비 네발나비(남방씨알붐나비) 산제비나비 검정꼬리박각.. 2007. 9. 27.
검은테떠들석팔랑나비 2007. 07. 17 남한산 검은테떠들썩팔랑나비 Ochlodes ochracea 나비목 팔랑나비과의 곤충 분포지역 :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아무르 등지 서식장소 : 양지바른 숲가장자리 ·계류가의 풀밭 크기 : 날개길이 약 2.5 cm 날개길이는 약 2.5 cm이다. 수컷의 날개 겉면은 짙은 등황색으로 날개맥은 검고 바깥가장.. 2007. 8. 6.
미나리냉이와 나비 2007. 5. 15.
늦가을 볕 속에 마지막 숨고르는 나비(미동정) 11월에 접어든 아차산 생태계공원, 박주가리 잎에 앉아 부쩍 희미해진 늦가을 볕을 쬐며 숨고르기 하고 있는 나비, 이제 화려한 날들을 묻고 떠나야 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듯하다. 박주가리잎 뒷면에 나비들이 알을 낳고, 부화한 애벌레는 박주가리잎을 갉아 먹으며 우화한다는데, 수구초심, 이 나.. 2006. 11. 21.
갈퀴나물꽃에 앉은 눈이 아름다운 꼬마 나비, 줄점팔랑나비 06. 10. 02 어둠이 내리는 탄천에서 야생화 탐사를 마치고 돌아오는 길, 갈퀴나물꽃을 살피다가 까만 눈이 아름다운 이 녀석의 귀여운 매력에 푹 빠져버렸다. 그런데, 얘가 누군지를 알아야지. <야사모>에 올렸더니 '수풀떠들썩팔랑나비'가 아닐까 라는 의견이 댓글로 올랐다. 정감 뚝뚝 흐르는 이름.. 2006. 10. 30.
벌개미취와 구름표범나비 벌개미취와 나비 구름표범나비 Nephargynnis anadyomene 나비목[鱗翅目] 네발나비과의 곤충 펼친 날개길이 약 7cm로 등황갈색이며, 검은무늬가 줄지어 있다. 앞날개 뒷면은 담황색에 검은 무늬가 있고, 뒷날개에 구름 모양의 회록색 무늬가 있다. 연 1회 발생하는데 따뜻한 곳에서는 5월 초에 나타났다가 여름.. 2006. 9. 16.
꽃범의꼬리와 긴꼬리제비나비 꽃범의꼬리와 제비나비 긴꼬리제비나비인지 남방제비나비인지 하도 비슷하게 생긴 종이라서 나로서는 구별이 안 된다. 아차산 공원 꽃들에 제법 많이 보이긴 하지만, 아이들이 포충망으로 잡고 있어서 안타까웠다. 그렇게 흔한 종은 아닐 텐데... 날개가 크고 아름답다. 2006. 9. 15.
암먹부전나비일까? 7월 21일 남한산성, 성벽 따라 도는 길에서. 날개 윗부분은 검정색인데 날개 아랫부분은 흰바탕에 검은 점 무늬 2006. 7. 28.
흰나비의 사랑 7월 20일 해질무렵 흰나비의 날개짓과 비상, 그리고 그 흔적... 그리고 풀섶, 흰나비의 사랑 2006. 7. 28.
톱풀과 표범나비 7. 20 저녁 무렵 대모산 묏등 언덕에서 잠시도 가만히 있지를 않은 성미라 나비라는 녀석을 카메라에 담기가 쉽지 않았는데, 이 녀석은 카메라를 의식하는지 힐끔힐끔 곁눈질하는 듯 서서히 제자리에서 한바퀴를 돌아보이는 포즈를 취해 주었다. 360도 회전하는 동작을 고스란히 담았다. 이 자세로부터 .. 2006. 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