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끈적버섯과17

풍선끈적버섯 Thaxterogaster purpurascens(Cortinarius purpurascens) 아파트단지 스트로브잣나무와 참나무가 있는 언덕에서 발생한 버섯이다. 갓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고 털이 없으며 처음 남색에서 진흙색 또는 갈색으로 된다. 자루 밑부분은 부풀어 덩이 줄기 모양이거나 혹은 주판알 모양을 이루고 연푸른 보라색 혹은 제비꽃 색이며 상처 시에는 진한 보라색으로 변색한다. 유사종 풍선끈적버섯아재비(C. pseudopurpurascens)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풍선끈적버섯은 2022년 게놈 분석에 따라 끈적버섯속에서 Thaxterogaster속으로 바뀌었다. 가을에 활엽수림과 혼효림의 숲속 땅에 무리지어 난다. 식용 버섯이다. 혼동될 수 있는 일부 적갈색의 끈적버섯 종들이 오렐라닌(orellanine)이라는 독소가 있어 신장과 간을 파괴하므로 매우 조심해야 한다. 20.. 2024. 2. 3.
다색끈적버섯 Cortinarius variicolor 소나무들이 늘어선 곳에서 만난 끈적버섯속 버섯. 갓 표면은 연한 갈색으로 보라색 끼가 거의 없는데 자루와 주름살에는 보라색 끼가 있어 풍선끈적버섯과 비슷한 느낌도 있으니 갈색 끼가 있어 다색끈적버섯 느낌도 있다. 자루 전체가 연한 보라색이고 밑동이 부푼 점, 자루 위쪽에 적갈색의 거미줄막 잔존물이 붙어 있는 점, 침엽수림에 발생한 점 등 다색끈적버섯의 특징이 강한 듯하다. 가을에 침엽수림내 땅 위에 난다. 우리나라와 일본, 유럽, 북미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3. 09. 29. 구리 ● 다색끈적버섯 Cortinarius variicolor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끈적버섯속 갓은 4∼10cm, 소형∼중형. 어릴 때는 반구형, 후에 둥근산형∼평평형이 된다. 습할 때는 점성이 있고, 중.. 2024. 1. 16.
풍선끈적버섯 Thaxterogaster purpurascens (Cortinarius purpurascens) 갓은 소형~중형으로 평반구형에서 편평형이 되고 표면은 섬유상인데 습할 때는 점성이 강하다. 갈색~황토 갈색, 주변부는 연한 색이고 보라색을 띤다. 끝붙은주름살은 촘촘하며 보라색에서 계피 갈색으로 바뀌고 만지면 진하게 변색된다. 대는 보라색으로 짧아 보이고 밑동이 부풀어 있다. 북한 이름은 '풍선버섯'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 동아시아와 유럽, 북미에 분포하며, 가을 활엽수림과 혼효림의 땅에 무리를 지어 난다. 식용 가능한 버섯으로 맛이 부드럽고 향이 좋다고 한다. 2023. 09. 18. 서울 ● 풍선끈적버섯 Cortinarius purpurascens | bruising webcap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끈적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1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고 중앙은 둔하게 돌출.. 2023. 11. 10.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junonius 포도버섯과(끈적버섯과, 배주름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으로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맹독성은 아니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되지만 많은 양을 먹으면 체질에 따라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한다. '웃음독벗은갓버섯'이라는 별칭처럼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데 즐겁거나 불안, 갑작스런 웃음, 환각, 인지 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최근 연구에서 이 버섯에서 폐암 세포와 전립선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 물질이 발견되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고사목 그루터기 주위 또는 살아 있는 나무 뿌리 주위에 뭉처서 발생한다. 2022. 09. 26. 서울 대모산 ●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junonius ↘ 주름버섯목 배주름버섯과 미치광이버섯.. 2022. 10. 10.
솔방울에서 자란 침투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apineus 썩은 소나무 가지에서, 바로 곁에는 솔방울에서 콩나물 크기에서 손톱 크기의 작은 황갈색 버섯들이 자라고 있다. 소나무여서 금방 솔미치광이버섯(미치광이버섯)이겠거니 생각했는데 침투미치광이버섯이란다. 몇 번씩 본 버섯... 그러고 보니 자루 밑부분이 희다. 게다가 흰 거미집막 흔적이 뚜렷하지 않은가? 북한명은 '밤빛벗은갓버섯'이다. 침엽수 및 자작나무 등 활엽수 썩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침투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apineus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7cm로 처음에는 원추형 또는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진다. 표면은 건조하고 밋밋하며 오렌지황색-적황색이나 보통 중앙이 진하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고르며 막편이 .. 2022. 10. 2.
노란턱돌버섯 Descolea flavoannulata 갓 표면은 황갈색, 중앙은 갈색이고 주름살은 약간 성기고 황갈색이다. 대는 갓과 비슷한 색이며 턱받이의 아래 부분은 약간 짙은 색의 섬유소로 덮여 있다. 식용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가을 침엽수림 및 활엽수림의 땅에 나며 비교적 흔한 종이다. 한국, 일본, 중국, 러시아 극동지역으로 분포지가 제한되어 있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노란턱돌버섯 Descolea flavoannulata ↘ 주름버섯목 소똥버섯과 돌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5~8cm로 처음에는 거의 구형에서 둥근 산 모양으로 되지만 중앙이 약간 높은 편평형이 된다. 표면은 끈적기가 없고 방사상의 주름이 있다. 꿀색을 띤 황토색, 암황갈색, 황색의 솜 찌꺼기 피막이 산재한다. 살은 흰색-연한 황갈색이다. 주름살은 바른 주름살.. 2022. 10. 1.
삿갓땀버섯 Inocybe asterospora 갓 지름 3cm 이하의 작은 갈색 버섯으로 중앙은 배꼽 모양으로 돌출하고 색깔이 진하며, 실 모양의 섬모 또는 가는 인편으로 덮이고 방사상으로 찢어진다. 북한명은 '별포자땀독버섯'이다. 독버섯이다. 땀버섯과 땀버섯속으로 끈적버섯과로 분류하기도 한다. 여름~가을에 숲 속이나 정원 땅 위에 자란다. 2022. 09. 14. 서울 대모산 ● 삿갓땀버섯 Inocybe asterospora ↘ 주름버섯목 땀버섯과 땀버섯속 버섯갓은 지름 2.5~6.5㎝로 처음에 종 모양 또는 둥근 산 모양이다가 나중에 편평해지면서 파이지만 가운데는 봉긋해지며 방사상으로 갈라지고 가장자리는 뒤집힌다. 갓 표면은 건조한 편이며 어두운 갈색으로 섬유가 있고 가는 비늘조각이 덮고 있다. 주름살은 끝붙은주름살로 연한 갈색이다. 버섯대는 길.. 2022. 9. 28.
미치광이버섯(솔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liquiritiae 소나무 고목에 군생하는 포도버섯과(독청버섯과 또는 끈적버섯과로 보기도...)의 작은 버섯으로 늦봄부터 가을에 걸쳐 발생하며 담갈색이나 짙은 갈색을 띤다. 자루 표면은 섬유상으로 갓과 같은 색이고 속은 비어 있다. 독버섯으로 신경계통을 자극하여 환각 현상을 나타낸다. 가을에 침엽수 썩은 나무 위에 군생 또는 속생하는 목재부후균이다. 2022. 09. 14. 서울 대모산 ● 솔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liquiritiae ↘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포도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1.5-4cm로 원추상의 종 모양에서 둥근산 모양을 거쳐 거의 편평형으로 된다. 표면은 매끄럽고 등갈황색 또는 등갈색이며 가장자리에 약간 줄무늬 선을 나타낸다. 살은 균모와 같은 색이고 쓴맛이 조금 있다. 주름살은 황.. 2022. 9. 27.
풍선끈적버섯 Cortinarius purpurascens 갓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고 털이 없으며 처음 남색에서 진흙색 또는 갈색으로 된다. 자루 밑부분은 부풀어 덩이 줄기 모양이거나 혹은 주판알 모양을 이루고 연푸른 보라색 혹은 제비꽃 색이며 상처 시에는 진한 보라색으로 변색한다. 가을에 활엽수림과 혼효림의 숲속 땅에 무리지어 난다. 식용 버섯이다. 2022. 09. 09. 대모산 기슭 소공원 유묘 ● 풍선끈적버섯 Cortinarius purpurascens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끈적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1cm로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되고 중앙은 둔하게 돌출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고 털이 없으며 처음 남색에서 진흙색 또는 갈색으로 된다. 가장자리는 처음에 아래로 감기며 자줏빛이며 오래되어도 변색하지 않는다. 살은 두.. 2022. 9. 23.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junonius(Gymnopilus spectabilis) 포도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으로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맹독성은 아니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되지만 많은 양을 먹으면 체질에 따라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한다. '웃음독벗은갓버섯'이라는 별칭처럼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데 즐겁거나 불안, 갑작스런 웃음, 환각, 인지 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최근 연구에서 이 버섯에서 폐암 세포와 전립선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물질이 발견되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고사목 그루터기 주위 또는 살아 있는 나무 뿌리 주위에 뭉처서 발생한다. 2022. 09. 07. 서울 대모산 일주일 뒤 변화한 모습 ●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pectabilis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2022. 9. 20.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pectabilis 포도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으로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 독버섯이다. 맹독성은 아니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되지만 많은 양을 먹으면 체질에 따라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한다. '웃음독벗은갓버섯'이라는 별칭처럼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데 즐겁거나 불안한 상태, 갑작스런 웃음, 환각, 인지 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최근 연구에서 이 버섯에서 폐암 세포와 전립선암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새로운 항암물질이 발견되었다. 여름~가을 활엽수림의 고사목 그루터기 주위 또는 살아 있는 나무 뿌리 주위에 뭉처서 발생한다. 2022. 09. 06. 서울 대모산 ●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pectabilis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 2022. 9. 18.
녹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aeruginosus 청도 이호우 시조 시인의 생가 부근, 기념 공원에서 만난 붉은갈색의 버섯, 색깔과는 달리 '녹색'미치광이버섯이란다. 살(자실체)이 녹색이라니 잘라 보거나 포자문을 받아 보았으면 획인할 수 있었을 터인데 그러지 못했다. 포도버섯과(끈적버섯과)의 독버섯으로 '풀빛벗은갓버섯'이라고도 하며, 맛은 대단히 쓰고 먹은 다음 중독을 일으킨다고 한다. 봄~가을에 고목이나 살아 있는 나무 밑둥 껍질에 무리지어 자라거니 뭉쳐 나며 목재를 부후시킨다. 청도 유천마을 ● 녹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aeruginosus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10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거의 편평형으로 된다. 표면은 녹색, 황색 자갈색 등인데 매끄럽거나 나중에 많은 인편이 생기고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2022. 9. 11.
침투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apineus = 밤빛벗은갓버섯 Gymnopilus penetrans 미치광이버섯속의 독버섯이다. 자료에 따라 주름버섯과, 끈적버섯과, 포도버섯과로 다르게 분류하고 있고 학명도 각각 다르다. Phaeolepiota penetrans 주름버섯목 > 주름버섯과 > 미치광이버섯속 :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Gymnopilus sapineus 주름버섯목 > 포도버섯과 > 미치광이버섯속 : 국가 생물다양성 공유체계 Gymnopilus penetrans 끈적버섯과 > 미치광이버섯속 : 한국산 버섯DB 버섯사전 여름부터 가을까지 침엽수 썩은 곳과 땅에 무리로 나거나 묶음 모양으로 난다. 2018. 09. 14. 서울 대모산 균모는 지름 2-4.5㎝로 종형에서 볼록한 형이다가 거의 편평하게 되며 가장자리는 물결 형이다. 밝은 적오랜지색 또는 황금색, 황색, 황갈색이다가 오래되면 퇴.. 2018. 9. 22.
갈황색미치광이버섯(웃음독벗은갓버섯) Gymnopilus spectabilis 독버섯으로 맹독성은 아니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 치유되지만 많은 양을 먹으면 체질에 따라 위험해질 수 있다고 한다. '웃음독벗은갓버섯'이라는 별칭처럼 신경 계통에 자극을 주어 환각 증상을 일으키는데 즐겁거나 불안한 상태, 갑작스런 웃음, 환각, 인지 장애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남한산성 ● 갈황색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pectabilis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갓은 지름 5~1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성장하면서 가운데가 볼록한 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건성이면서 황갈색이며, 미세한 섬유상 무늬가 있다. 조직은 연한 황색 또는 황토색이며, 육질형이고 쓴 맛이 있다. 주름살은 완전붙은주름살형이며, 빽빽하고, 색깔은 처음에는 황색이다가 포자가 성숙하면 적갈색으로 된.. 2016. 9. 24.
보라색 버섯, 푸른끈적버섯 Cortinarius salor 갓 가운데는 갈색이지만 진한 청보라색이 강렬한 버섯, 같은 자주방망이버섯속인 민자주방망이버섯(가지버섯:Lepista nuda)와 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Lepista sordida) 중 하나일까 생각했는데, 쓴적버섯과 끈적버섯속의 푸른끈적버섯이란다. 제왕산 ● 푸른끈적버섯 Cortinarius salor ↘ 주름버섯목 끈적버섯과끈적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2.5-5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하게 된다. 표면은 청자색인데 가운데는 갈색이며 점액 물질로 덮여 있다. 살은 연한 자색이고 연하다. 주름살은 바른 또는 올린 주름살로 연한 자색에서 육계색으로 되며 폭은 5-6cm로 성기다. 자루의 길이는 4-7cm이고 굵기는 5-19mm로 곤봉 상이며 표면은 점액 물질로 덮여 있고 연한 자색인데 하부는 나중에 탁한.. 2016.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