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섯, 균류

솔방울에서 자란 침투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apineus

by 모산재 2022. 10. 2.

 

썩은 소나무 가지에서, 바로 곁에는 솔방울에서 콩나물 크기에서 손톱 크기의 작은 황갈색 버섯들이 자라고 있다. 소나무여서 금방 솔미치광이버섯(미치광이버섯)이겠거니 생각했는데 침투미치광이버섯이란다. 몇 번씩 본 버섯...  그러고 보니 자루 밑부분이 희다. 게다가 흰 거미집막 흔적이 뚜렷하지 않은가? 

 

북한명은 '밤빛벗은갓버섯'이다. 침엽수 및 자작나무 등 활엽수 썩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2022. 09. 17. 치악산 둘레길

 

 

 

 

 

 

 

 

 

● 침투미치광이버섯 Gymnopilus sapineus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미치광이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7cm로 처음에는 원추형 또는 둥근산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진다. 표면은 건조하고 밋밋하며 오렌지황색-적황색이나 보통 중앙이 진하다. 가장자리는 날카롭고 고르며 막편이 매달린다. 살은 황백색-연한 적황색이다. 자루에서는 더 진한 녹슨색으로 된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바른주름살로 처음에는 연한 황색에서 진한 황색-적황색으로 되며 폭이 좁고 촘촘하다.

자루의 길이는 4~8cm, 굵기는 3~10mm로 상하가 같은 굵기이거나 또는 위쪽이 약간 가늘다. 표면은 하얀 거미집막 흔적이 있고 어릴 때는 유백색-연한 황색이나 나중에는 적색의 황색으로 되며 밑동이 암색을 띠기도 하며 털로 덮이기도 한다. 자루의 속은 빈다. 포자의 크기는 7~9×3.5~5㎛로 난상의 타원형이며 표면에 미세한 가시가 있거나 매끈하고 황토색이다. 포자문은 황토색이다.
<백두산의 버섯도감 1, 조덕현>

 

 

 

 

 

※ 끈적버섯과로 분류해 오던 것을 최근에는 포도버섯과(독청버섯과)로 재배치하고 있는 듯하다.

 

 

 

 

☞ 침투미치광이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59156 https://kheenn.tistory.com/15859720 https://kheenn.tistory.com/15859749

☞ 미치광이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59863

☞ 꽃잎미치광이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59565

☞ 갈황색미치광이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59762 https://kheenn.tistory.com/158597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