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미탑과6

이삭물수세미 Myriophyllum spicatum, 개미탑과의 물풀 검정말 만나려고 선유도공원을 찾았더니 이삭물수세미만 보인다. 이삭물수세미는 개미탑과의 여러해살이 물풀인데, 봄에 피는 말즘과 비슷하여 혼동하기도 한다. 이명으로 붕어마름이라고도 하지만 붕어마름과의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은 따로 존재한다. 우리 나라 중부 이남 수중.. 2010. 11. 10.
이삭물수세미 Myriophyllum spicatum, 개미탑과의 물풀 이삭물수세미는 개미탑과의 여러해살이 물풀로 중부 이남의 도랑이나 연못에서 자란다. 붕어마름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붕어마름과의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이 따로 존재하고 있으므로 혼동을 하지 않도록 이삭물수세미로 부르는 게 좋겠다. 물 위로 자라나는 이삭꽃차례가 말즘과 .. 2010. 11. 10.
물수세미 Myriophyllum verticillatum 중부 이북의 연못 등 습지에서 자라는 개미탑과의 여러해살이 수초이다. '앵무새깃'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영명은 '무수한 잎'이란 뜻의 'Myriad leaf'이다. ('myriad'는 '1만' 또는 '헤아릴 수 없이 많은'이란 의미를 가진 말이다. ) ↓ 서울대공원 ● 물수세미 Myriophyllum verticillatum / 도.. 2010. 6. 7.
개미탑 (Haloragis micrantha) 키가 한 뼘도 채 되지 않는 작은 풀이라 주의 깊게 보지 않으면 지나치기 십상이다. 양지쪽 습지에 자라는 풀이라고 하는데 이 녀석들은 산등성이 약간의 그늘이 있는 곳에 자라고 있다. 어쩌다 비라도 오면 물이 모여드는 곳이긴 하지만 평소엔 메마른 땅이다. 꽃은 워낙 작아서 맨 눈으로 관찰하기 .. 2008. 11. 2.
개미탑 Haloragis micrantha 고향의 야산 능선에서 꽃을 피운 개미탑을 처음으로 만난다. 개미탑과 게미탑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산과 들의 습한 양지쪽 풀밭이나 밭둑에서 자란다.    2006. 08. 01.  합천 가회  개미탑 꽃    개미탑 열매     개미탑 전초      ● 개미탑 Haloragis micrantha | smallflower-seaberry  /  도금양목 개미탑과 개미탑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0∼30cm 이다. 줄기 밑부분이 옆으로 기면서 가지가 갈라지는데, 네모지며 보통 적갈색을 띤다.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둥근 달걀 모양이고 톱니가 약간 있다. 길이 7∼15mm, 나비 5∼10mm이고 끝이 뾰족하며 잎자루는 짧다. 꽃은 황갈색이며 7∼8월에 원뿔형 총상꽃차례로 가지 끝에 많이 핀다. 꽃차례는 길이.. 2008. 2. 9.
물수세미(앵무새깃) Myriophyllum verticillatum ● 물수세미 Myriophyllum verticillatum / 도금양목 개미탑과 물수세미속 다년생 수초 땅속줄기는 진흙 속에서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끝이 물에 뜨며 길이가 50cm에 달한다. 잎은 4개씩 돌려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깃꼴로 잘게 갈라지고, 물 속에서는 갈라진 조각이 털처럼 가늘.. 2006.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