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정보 자료48

개별꽃속(Pseudostellaria) 자생종, 검색표 ● 개별꽃속(Pseudostellaria) 자생종 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Miq.) Pax 큰개별꽃 Pseudostellaria palibiniana (Takeda) Ohwi 비슬개별꽃 Pseudostellaria heterophylla x palibiniana K.Choi & J.H.Pak 덩굴개별꽃 Pseudostellaria davidii (Franch.) Pax 보현개별꽃 Pseudostellaria davidii x palibiniana K.Choi & J.H.Pak 참개별꽃 Pseudostellaria .. 2012. 6. 10.
족도리풀(Asarum) 자생종, 검색표 ● 족도리풀(Asarum) 자생종 : 국가표준식물목록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영종족도리풀(이명) Asarum sieboldii var. mandshuricum f. viride Y.N.Lee => 만주족도리풀 뿔족도리풀(이명) Asarum sieboldii var. cornutum Y.N.Lee 서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만주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Maxim.) Kitag. 금오족도리풀 Asarum patens (K.Yamaki) B.U.Oh : 화주 돌기 길이가 길어 결실기에 화통 밖으로 돌출 자주족도리풀 Asarum koreanum (J.. 2012. 3. 10.
지리산의 특산식물, 희귀식물, 고산식물 목록 ■ 지리산의 특산식물 지리산고사리, 개비자나무, 구상나물, 푸른구상나무, 검구상나무, 떡버들, 호랑버들, 좀고채목, 왕개서어나무, 제주큰물통이, 검팽나무, 지리산개별꽃, 가는장구채, 지리점나도나물, 누른종덩굴, 할미밀망, 할미꽃, 미색바꽃, 지리바꽃, 매미꽃, 모데미풀, 꽃.. 2011. 11. 6.
복수초의 분류 ※ 복수초의 분류 ■ 국가표준식물목록구축시스템의 추천명 복수초는 지역에 따라 개화 시기를 비롯하여 잎, 줄기들의 형질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두산백과사전에서는 단순히 꽃이 피는 개수의 기준으로 한 꽃대에 꽃이 하나씩 피는 복수초와 2개씩 피는 개복수초, 꽃이 3개 피는 .. 2011. 3. 28.
으아리속(Clematis) 자생종 ● 으아리속(Clematis) 자생종 병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DC. 흰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f. albiflora Y.N.Lee 자주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Hemsl. 참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DC. 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Rupr.) Ohwi 외대으아리 Clematis brachyura Maxim. 조령으아리 Clematis brachyura var. hexas.. 2010. 12. 27.
곰취속(Ligularia) 검색표 ○ 곰취속(Ligularia) 검색표 1. 두화는 줄기 끝에 1개 달린다. -------------------------------------------------- 화살곰취 1. 두화는 여러 개가 총상 또는 산방상으로 달린다. 2. 설상화가 5개 이하이다. 3. 잎은 긴 타원형, 설상화는 3-5개이다.------------------------------------ 개담배 3. 잎은 삼각상 심장형, 설.. 2010. 8. 11.
주름잎속(Mazus) 동정 ● 주름잎속(Mazus) 자생종과 재배종 주름잎 Mazus pumilus (Burm.f.) Steenis : 한두해살이풀 선주름잎 Mazus stachydifolius (Turcz.) Maxim. : 한두해살이풀 누운주름잎 Mazus miquelii Makino : 여러해살이풀 땅주름잎 Mazus reptans N.E.Br. 갯주름잎 Mazus radicans Cheeseman • 주름잎(M. pumilus ) : 곧게 서고 기부에서 가지가 뻗지 않으므로 누운주름잎과 구별된다. 선주름잎과 달리 식물체에 털이 없고 꽃부리는 연한 자색이며 가장자리가 희고 중앙열편에 2개의 황색줄과 더불어 굵은 털이 있다. 꽃자루는 꽃받침보다 길다. 높이 5~20cm • 선주름잎(M. stachydifolius) : 뿌리잎은.. 2010. 2. 28.
'구와-'란 접두어가 붙은 풀꽃들 우리 풀꽃들 이름에는 '구와-라는 접두어가 붙은 말이 유난히 많다. 구와말, 구와꼬리풀, 구와취, 구와가막사리, 구와쑥... 그럼에도 허구한 날 풀꽃들과 씨름하는 사람들도 대부분 '구와-'가 무슨 의미인지, 왜 그런 접두어가 붙었는지 이유도 모르고 있을 것이다. '구와'는 '국화'의 북한.. 2009. 9. 8.
잔대속 자생종, 검색표 ● 잔대속 자생 34종 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Regel) H.Hara 흰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for. albiflora Y.N.Lee 가는잎잔대 Adenophora triphylla for. linearis (Hayata) Kitam. 고산잔대 Adenophora triphylla var. gakusanensis Kitam. 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Fisch. 가는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var. angustifo.. 2009. 8. 1.
식물의 꽃차례(inflorescence) 식물의 꽃차례(inflorescence) ○ 꽃대에 꽃이 피는 모양이나 배열된 모습을 꽃차례 또는 화서(花序)라고 하는데, 크게 단꽃차례와 복꽃차례로 나눈다. ○ 단꽃차례는 다시 총수꽃차례(總穗花序)와 취산꽃차례(聚繖花序)로 나뉜다. ⑴ 총수꽃차례 꽃대 밑에서 끝을 향하면서 꽃이 피며, 꽃대.. 2009. 7. 30.
꽃의 구조 꽃의 구조 ※ http://www.nature.go.kr/에서 인용 2009. 4. 13.
괭이눈속(Chrysosplenium)의 분류, 검색표 괭이눈속(Chrysosplenium)의 분류에 대하여 김영동 교수(한림대 생명과학부) 야사모 기고 글 2002 /03 /28 괭이눈은 우선 잎이 마주나는 무리와 어긋나는 무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잎이 어긋나는 무리로는 산괭이눈, 애기괭이눈이 있습니다. 이 중 산괭이눈은 전국의 낮은 산기슭, 계곡초입의 양지바른 곳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애기괭이눈 역시 약간 깊은 산에 가면 산중턱쯤의 계곡의 물가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애기괭이눈과 산괭이눈 두 종을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이창복 도감의 그림과 기재문을 참고 하시면 문제가 없습니다. 잎이 마주나는 무리에는 가지괭이눈, 선괭이눈, 털괭이눈 종류가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에 괭이눈(도감에 Chrysosplenium grayanum으로 나와 있는 것.. 2009. 4. 13.
한국산 바람꽃 5속 ● 한국산 바람꽃 5속 : 국가표준식물목록 바람꽃 Anemone narcissiflora L. 바이칼바람꽃 Anemone glabrata (Maxim.) Juz. 홀아비바람꽃 Anemone koraiensis Nakai 외대바람꽃 Anemone nikoensis Maxim. 쌍동바람꽃 Anemone rossii S.Moore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Steph. & Willd. 들바람꽃 Anemone amurensis (Korsh.) Kom. 숲바람꽃 Anemone umbrosa C.A.Mey. 국화바람꽃 Anemone pseudoaltaica H. Hara 꿩의바람꽃 Anemone raddeana Regel 세바람꽃 Anemone stolonifera Max.. 2009. 3. 15.
초오아속(투구꽃아속)의 분류 * 야사모에 실렸던 글을 인용했습니다 초오아속(투구꽃아속)의 분류 -박종욱교수님 연구실 Name : 임채은 안녕하십니까? 저는 서울대학교 식물분류학연구실에서 박종욱 교수님지도하에 초오속 식물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대학원생 임채은입니다. 야사모 운영자님이신 차동주님께서 보내신 메일을 통해 많은 분들께서 투구꽃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초오속 식물을 분류하는데 있어 중요한 형질들을 대상으로 분류키를 작성하였습니다. 주로 한반도에 분포하는 분류군들을 대상으로 작성하였으며, 아직도 본 아속식물의 분류에 대한 연구가 진행중에 있으므로, 미흡한 부분이 있음에 양해의 말씀을 드립니다. 국명은 일반적으로 많이 불려지는 이름 하나를 선택하여 적었습니다. 초오속 (Genus Aconitum).. 2008. 10. 4.
365일 탄생화와 꽃말 [펌] 생일에 따른 365가지 꽃말(양력 생일 기준) : @1월 탄생화 : : 1일 : 스노드롭(Snow Drop) : 희망 : 2일 : 노랑수선화(Narcissus Jonquilla) : 사랑에 답하여 : 3일 : 사프란(Spring Crocus) : 후회 없는 청춘 : 4일 : 히아신스(Hyacinth) : 차분한 사랑 : 5일 : 노루귀(Hepatica) : 인내 : 6일 : 흰제비꽃(Violet) : 순진무구한 사랑 : 7.. 2006.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