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백두산의 풀꽃나무

<백두산>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 Lysimachia europaea

by 모산재 2025. 7. 2.

 

까치수염이 줄기 끝에 하나의 꽃이 핀 듯한 모양이다. 앵초과 기생꽃속으로 다루어 왔지만 지금은 참좁살풀속으로 분류되고 있다. 흰 꽃잎이 7개인 데서 중국 이름은 '七瓣莲'(칠판련). 줄기 아래쪽 잎은 비늘처럼 되지 않으며 잎이 도란형으로 끝이 둔한 종류를 변종인 기생꽃(var. arctica)으로 구분한다.

 

가야산 정상, 강원도 태백산, 설악산, 오대산 등에 자생하며,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2025. 06. 01.  백두산 이도백하

 

 

 

 

 

 

●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 chickweed-wintergreen, arctic starflower, European starflower  ↘  목련강 딜레니아아강 앵초목 앵초과 기생꽃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자라고 높이 4~20cm, 전체에 털이 없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줄기 아래쪽 잎은 1~3개가 어긋나며 비늘처럼 작다. 줄기 위쪽에 5~10개의 잎이 모여나며, 잎자루는 짧거나 거의 없다. 잎몸은 난상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길이 2~4cm, 폭 1.0~2.5cm다.

꽃은 6~7월에 줄기 끝에서 1~2개가 피며, 꽃자루는 가늘고 길이 2~3cm다. 꽃부리는 5~9갈래로 갈라지며, 지름 1.5cm쯤이고 흰색 또는 연분홍색이다. 열매는 삭과, 둥글며 지름 2.5~3.0mm, 9월에 익는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위키피디어 등 국제적으로 까치수염, 좀가지풀, 참좁쌀풀과 같은 리시마키아속(참좁쌀풀속)으로 보고 최근 학명을 Lysimachia europaea로 기록하고 있다. 홑꽃이라는 점이 다르긴 하지만 꽃이나 잎의 형태가 까치수염과 유사한 점에서 수긍되기도 한다.  

 

 

※ 참고 자료 : wikipedia.org/Lysimachia_europaea  efloras.org/id=200017478  powo.science.kew.org/77100395-1  gbif.org/species/3169295

 

 

• 기생꽃(var. arctica) : 참기생꽃에 비해서 소형이며 줄기 아래쪽 잎은 비늘처럼 되지 않고 잎몸은 도란형으로 끝이 둔한 종류를 기생꽃으로 구분한다. 대암산 습원에서 자란다.

 

 

☞ 참기생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8743  https://kheenn.tistory.com/15859173  https://kheenn.tistory.com/15859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