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 저무는 백두산 발치 어두운 숲속에서 담은 협죽도과 꽃고비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차례의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것을 가지꽃고비( subsp. laxiflorum), 꽃이 흰색인 것을 흰꽃고비( (P. kiushianum f. albiflorum)로 구분하기도 한다. 중국 이름은 '尖裂花荵'(첨열화인)
우리나라 북부지방(평북 함경도) 높은 산지 초지에 자생한다. 일본 규슈, 중국 북부, 중앙아시아, 러시아 시베리아 등에 분포한다.
2025. 06. 01. 백두산 이도백하
● 꽃고비 Polemonium caeruleum var. acutiflorum ↘ 목련강 국화아강 가지목 꽃고비과 꽃고비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60-90cm, 윗부분에 샘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며, 작은 잎 13-125장으로 된 깃꼴겹잎, 줄기 밑부분에 난 것은 잎자루가 길지만 위로 갈수록 짧다. 잎몸은 길이 8-25cm이다. 작은잎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 길이 1.5-4.0cm, 너비 0.5-1.5cm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은 줄기 윗부분에서 원추상으로 달리며, 자주색, 보라색, 흰색이다. 꽃자루와 꽃받침에 샘털이 난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5갈래로 갈라진다. 화관은 길이 10-15mm이며, 5갈래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다. 암술대는 끝이 3갈래이다. 열매는 넓은 타원형의 삭과이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생물다양성>
○ 꽃고비의 학명을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Polemonium caeruleum subsp. kiushianum으로,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Polemonium caeruleum var. acutiflorum으로 다르게 기록하고 있다. 꽃고비의 형태가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달라 학명도 Polemonium caeruleum을 기본종으로 하여 여러 가지로 기록되고 있다. 중국식물지에서는 화관 열편이 둥글고 털이 없는 것을 기본종 Polemonium caeruleum(花荵)으로, 화관 열편이 날카롭고 섬모가 있는 것을 변종 var. acutiflorum(尖裂花荵)으로 기록하고 있다.
○ 꽃고비의 전초, 뿌리와 근경을 각혈, 토혈, 변형, 위궤양출혈, 월경과다, 기침, 전간, 정신병, 불면증에 쓴다.
※ 참고 자료 : efloras.org/id=210001692 efloras.org/id=210001691 powo.science.kew.org/689965-1 gbif.org/species/6709570
☞ =>
'백두산의 풀꽃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두산> 동의나물 Caltha palustris (0) | 2025.07.04 |
---|---|
<백두산> 나도범의귀 Mitella nuda (0) | 2025.07.03 |
<백두산> 산분꽃나무 Viburnum burejaeticum (0) | 2025.07.02 |
<백두산> 참기생꽃 Trientalis europaea => Lysimachia europaea (0) | 2025.07.02 |
<백두산> 자주종덩굴 Clematis ochotensis(Clematis alpina var. ochotensis)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