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풀꽃

한반도 특산 식물, 애기송이풀 Pedicularis ishidoyana

by 모산재 2016. 4. 19.


꽃을 보아도, 잎을 보아도, 작지 않은데 어째서 애기송이풀일까?


다른 송이풀에 비해 갈래갈래 갈라진 잎도 한 자까지 길게 자라고, 숯불처럼 붉게 피는 꽃도 꽃자루 6cm, 꽃부리 길이 3cm에 이를 정도로 시원스레 큼직하고 화사하다. 다만 다른 송이풀과 달리 줄기가 없이 펼쳐진 잎 가운데에 꽃송이가 피어 있는 모습에서 엄마의 치마폭에 앉은 귀여운 애기의 모습을 연상할 수 있을 뿐이다.


애기송이풀은 오직 한반도에서만 자라는 희귀 특산식물이다. 일제 강점기인 1937년 개성 천마산에서 발견돼 '천마송이풀'로 불리기도 했던 송이풀은 남한에서는 명지산 정도에만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로 알려져 있었으나, 근년에 경기 연천과 포천, 강원 횡성, 충북 제천과 괴산, 경북 영양 울진과 경주, 경남 거제 등 남부지방에까지 자생지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자생지가 제한되어 있고 개체수도 그리 많지 않아 2012년 환경부 멸종위기종 2급으로 지정되었지만 보호 조치는 부실한 편이다. 주로 저지대 계곡주변에 자라고 찾는 사람들이 많아 보호가 시급해 보인다.
































애기송이풀 Pedicularis ishidoyana / 현삼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없고 전체에 잔털이 다소 있다. 잎은 뿌리 끝에서 뭉쳐나고 1회 깃꼴겹잎이며 작은잎은 타원형 또는 피침형으로 다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0~15㎝이고 전체 길이는 25~30㎝이다.

 

꽃은 5~6월에 연한 홍자색으로 피고 뿌리 끝에서 우산꼴로 몇 개의 꽃대가 나와 그 끝에 1개씩 달리며 꽃대의 길이는 6㎝ 내외이다. 꽃받침은 종형으로 겉에 5맥과 더불어 잔털이 있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도피침형 또는 선형이다. 화관은 통상 입술 모양으로 대롱 부분은 가늘고 길며 위입술꽃잎은 활처럼 앞으로 굽고 끝이 약간 파진 듯하며 아래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지고 모두 끝이 둥글며 도란형이고 가장자리에 털이 군데군데 나 있다. 수술은 2개가 길게 자라고 과실은 삭과이다.






애기송이풀 학명과 국명에 대하여


애기송이풀은 일본인 식물학자 이시도야 츠토무(石戶谷 勉)가 개성 천마산에서 처음 채집하였고, 이 표본을 근거로 하여 일본인 식물학자 오위(大井次三郞) 등이 1937년에 신종으로 발표하였다. 신종을 발표할 때 사용하였던 기준표본은 도쿄대학 식물표본관에 보관되어 있다. 개성의 천마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에 천마송이풀이라는 우리말 이름도 갖고 있다.


개성에서 이 식물을 채집해 일본에 보낸 이시도야는 모리(森 爲三), 우에끼(植木秀幹)와 함께 나카이(中井猛之進)의 3대 제자였으며, 조선총독부 산림국 중앙임업시험장에서 특용식물을 연구하다가 경성제대 의학부 약리학교실(서울대학교 약학대학의 전신) 교수로 옮겨 약용식물을 연구하였다. 250여 종의 한약재를 담은 ‘중국 동북지방의 약초(北支那の藥草)’ 등의 저서를 남겼다. 또한, 우리나라 최초의 식물분류학자로 일컬어지는 정태현 박사와 함께 식물을 연구하기도 했다. 북한산의 산개나리를 처음 발견하였으며, ‘이시도야제비꽃’에 그의 이름이 남아 있다.



애기송이풀이라는 우리말 이름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1949년 정태현 박사 등이 펴낸 ‘조선식물명집’에는 천마송이풀로 기록되었으며, 1956년 정태현박사의 ‘한국식물도감’부터 애기송이풀이라는 이름이 등장한다. 따라서 우선권 원칙을 준수한다면(우리말 이름에 대한 우선권 원칙이 정립되지는 않았음) 천마송이풀이라 불러야 한다.


게다가 1956년의 애기송이풀이라는 이름과 연계된 학명 ‘P. songdoensis T. H. Hyun’은 현재 ‘P. ishydoyana Koidz. & Ohwi’의 다른 학명으로 취급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고 있으니 더욱 그렇다. 1999년 북한에서 출판된 ‘증보판 조선식물지’ 6권에는 천마송이풀과 애기송이풀이 따로 등재되어 있는데, ‘P. ishydoyana Koidz. & Ohwi’라는 학명의 우리말 이름은 천마송이풀로 되어 있다.


- <애기송이풀 한국의 멸종위기식물 (21) 개성에서 거제도까지 사는 특산식물 / 현진오>에서 부분 인용함. (출처 : http://www.sciencetimes.co.kr/?p=120338&cat=29&post_type=news&paged=122 )


'우리 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0) 2016.04.26
들바람꽃 꽃과 어린 열매 Anemone amurensis  (0) 2016.04.23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0) 2016.04.19
덩굴별꽃 어린풀   (0) 2016.04.19
애기송이풀 Pedicularis ishidoyana  (0) 2016.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