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원산의 콩과의 한두해살이 귀화식물로 목초 또는 녹비용으로 재배되던 것이 야생화하였다. 중국에서는 '천람목숙(天蓝苜蓿)'이라고 한다.
개자리(Medicago polymorpha)에 비해 열매 꼬투리에 가시가 없고 콩팥 모양으로 말리며, 씨가 1개씩 들어 있다.
제주도 신산리 포구
● 잔개자리 Medicago lupulina | hop clover, black medic ↘ 콩목 콩과 개자리속의 두해살이풀
높이 20∼40cm로서 밑에서 가지가 갈라져 비스듬히 서며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3개의 작은잎으로 된 겹잎이며 잎자루가 있다. 작은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이거나 원형이며 끝은 수평하고 톱니가 있다.
꽃은 5∼7월에 피고 노란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자란 꽃줄기에 달린다. 꼬투리는 신장 모양으로 반 바퀴 정도 말리는데 겉에 가시가 없고 검게 성숙하며 종자가 1개씩 들어 있다.
<개자리속>
• 개자리(M. polymorpha) : 잔개자리에 비해 전체에 털이 없고 꽃이 듬성하게 달리고 열매에 가시가 있다. 꽃 2-8개의 두상화서. 꽃이 크다.
• 좀개자리(M. minima) : 잎에 털이 많고, 열매가 둥글며 보다 작다. 꽃 6-15개 두상화서
• 노랑개자리(M. ruthenica) : 두해살이풀인 잔개자리에 비해 여러해살이풀로 열매는 말리지 않고 긴 타원형이다.
• 자주개자리 = 알팔파(M. sativa) : 꽃이 자주색이다. 열매에 가시가 없고 부드러운 털이 있다.
<토끼풀속>
• 노랑토끼풀(Trifolium campestre) : 애기노랑토끼풀에 비해 작은잎은 보다 크고, 꽃차례에 꽃이 많이 달리며, 꽃자루가 꽃받침 통부보다 짧고, 기판이 넓은 난형이다.
• 애기노랑토끼풀(Trifolium dubium) : 1992년 서울 한강철교 고수부지에서 처음으로 발견. 토끼풀속으로 꽃이 노랗다. 머리모양꽃차례는 노랑토끼풀에 적고 기판에 희미한 줄무늬가 있다.
'제주도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6) 종달리 갯바위의 신당, 생개납 돈짓당 (0) | 2012.04.08 |
---|---|
제주도 (5) 성산 일출봉, 섭지코지 붉은오름과 선돌바위 (0) | 2012.04.06 |
제주도 (4) 따라비오름, 수많은 오름을 조망하는 오름의 여왕 (0) | 2012.04.05 |
제주도 (3) 표선 해변에서 본 한라산 일몰, 표선 야경 (0) | 2012.04.04 |
제주도 (2) 제주올레 제1코스 두산봉(말미오름, 알오름) 트레킹 (0) | 2012.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