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왕둥굴레 Polygonatum robustum

모산재 2012. 6. 15. 09:40

 

왕둥굴레는 한국 특산종 둥굴레로 꽃이 1~2개씩 달리는 둥굴레와 달리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난 하나의 꽃자루에 보통 2∼5송이의 꽃이 흰빛을 띤 녹색으로 핀다.

 

 

 

↓ 단

 

 

 

 

 

 

 

 

 

 

 

 

 

뿌리줄기는 굵고 길게 가로 뻗으며 약간의 마디가 있고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곧게 서고 모나며 높이 75c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짧으며 타원형 또는 달걀 모양이고 양 끝이 뭉뚝하다. 뒷면이 분처럼 희고 가는 센털이 분포하며, 길이 15cm, 폭 7cm 내외이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고 꽃자루는 2∼5개로 갈라진다. 꽃은 통처럼 생긴 종 모양이며 끝이 6개로 갈라지고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으로 녹색이며, 6개의 수술이 숨어 있다. 씨방은 3실이며 암술대는 단일이고 줄 모양이다. 열매는 장과(漿)로 공 모양이며 검게 익는다.

 

 

 

 

※ 왕둥굴레, 큰둥굴레, 산둥굴레

 

이 3종은 식물체 모양이 비슷해서 구별이 쉽지 않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큰둥굴레는 왕둥굴레의 이명으로 처리되어 있다.

 

국생정 기재문에서는 잎 뒷면에 유리조각 같은 돌기가 있고 꽃의 길이가 2∼2.5cm인 것을 산둥굴레(var. thunbergii), 잎 뒷면 맥 위에 잔 돌기가 많고 꽃이 1∼4개씩 달리는 것을 큰둥굴레(var. maximowiczii), 잎은 길이 16cm, 나비 5cm 정도이고 꽃이 4개씩 달리는 것을 맥도둥굴레(P. koreanum), 전체가 크고 잎 뒷면에 털이 있으며 꽃이 2∼5개씩 달리는 것을 왕둥굴레(P. robustum)라 구별하고 있다. 

 

그런데 산둥굴레는 꽃이 1~2개씩 달리는 것으로 왕둘굴레와는 구별된다.

 

 

 

※ 국가표준식물목록 상의 자생 둥굴레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Miq.) Ohwi (이명 : 제주둥굴레, 맥도둥굴레)

풍도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무늬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f. variegatum Y.N.Lee

왕둥굴레 Polygonatum robustum (Korsh.) Nakai (이명 : 큰둥굴레)

산둥굴레 Polygonatum thunbergii Morr. & Decne.

진황정 Polygonatum falcatum A.Gray

용둥굴레 Polygonatum involucratum (Franch. & Sav.) Maxim.

안면용둥굴레 Polygonatum xdesoulavyi Kom.

목포용둥굴레 Polygonatum cryptanthum H.Lév. & Vaniot

종둥굴레 Polygonatum acuminatifolium Kom.

퉁둥굴레 Polygonatum inflatum Kom.

각시둥굴레 Polygonatum humile Fisch. ex Maxim.

죽대 Polygonatum lasianthum Maxim.

선둥굴레 Polygonatum grandicaule Y.S.Kim et al.

늦둥굴레 Polygonatum infundiflorum Y.S.Kim et al.

암수둥굴레 Polygonatum stenanthum Nakai

층층둥굴레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재배종> 층층갈고리둥굴레 Polygonatum sibiricum F.Delaroc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