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속 동물

두꺼비(Bufo bufo gargarizans | toad) 이야기

모산재 2010. 6. 7. 23:26

 

 

뚜껍아 뚜껍아 헌집 주께 새집 다고.

뚜껍아 뚜껍아 헌집 주께 새집 다고.

깐치(까치)집을 지까(지을까) 소리개집을 지까.

독사집을 지까 꼭꼭 눌러라.

 

 

옛날 아이들은 가장 즐겼던 놀이 중의 하나가 마당이나 개울 가 모래더미에서 두꺼비집을 짓고 두꺼비 노래를 부르는 것이었다. '떡두꺼비 같은 아들'이라는 말도 있듯이 두꺼비는 아이들의 세계와 친밀한 연관을 가지고 있는 존재이다. 두꺼비는 우직하면서도 신령스러운 힘을 가지고 있는 존재로, 인간을 돕고 은혜를 갚는 존재로 묘사될 정도로 우리 민족에게 친근한 동물.

 

콩쥐팥쥐전이라는 고전소설에서 그러하였듯이 두꺼비와 관련된 보은설화들이 전국 곳곳에서 전해져 오고 있다. 매일처럼 밥을 주던 가난한 집 처녀가 천 년 묵은 지네의 제물로 바쳐지자 주인을 위해 지네와 맞서 싸워 비장한 죽음에 이르는 두꺼비의 이야기, 지네장터 설화는 널리 알려진 것이다.

 

 

어린시절 시골집 마당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었던 친숙한 두꺼비가 요즘에는 만나보기가 어려워졌다. 개발바람과 함께 서식지가 많이 파괴된 탓이다.

 

 

 

 

↓ 서울대공원 수조 속 두꺼비

 

 

 

 

 

 

두꺼비는 개구리목 두꺼비과의 양서류이다. 어릴 때는 물에서 아가미호흡을 하고 자라서는 뭍에서 허파 호흡을 하여 물과 뭍 양쪽에서 다 서식한다고 하여 양서류(兩棲柳)라 한다. 그러나 물을 좋아하는 개구리와는 달리 두꺼비는 대개 육상생활을 한다. 평지의 숲이나 덤불 등 습한 장소에 서식하며 번식기 이외에는 물에 들어가지 않는다. 야행성으로 구석에 숨어 있다가 지렁이와 같은 작은 동물이나 곤충을 잡아 먹는다. 겨울이나 건조기에는 굴 속에서 보낸다.

머리가 몸에 비하여 크며 몸길이는 6∼12㎝, 몸 생김새는 대체로 통통하고 굵다. 뒷다리가 짧고 발가락 사이의 물갈퀴는 제대로 발달되지 않았으며 개구리와 거의 흡사한 외형을 가지고 있으나, 등 피부는 두껍고 오돌토돌한 돌기가 많이 나 있으며 보통 갈색의 얼룩이 있다. 몸의 옆쪽에는 검은색의 세로줄이 있다. 배는 전체적으로 연한 누런빛을 띤 갈색이지만 회색빛이 감도는 것도 있으며, 어두운 갈색 작은 무늬가 흩어져 있다. 암컷은 수컷에 비하여 몸길이가 길고 다리가 짧으며, 피부 융기가 조밀하고 무늬가 좀더 확장되어 있다.

두꺼비는 3월 중순 무렵부터 알을 낳기 시작하는데, 산란기에는 서식지에서 산란지까지 몇 백 미터에서 몇 킬로미터의 거리를 크게 무리지어 이동한다. 하천이나 늪, 연못 등에서 무리지어 울음소리를 내면서 물 속에 끈 모양의 긴 알덩어리를 낳는다. 암컷 한 마리가 1∼2만 개까지 산란한다. 며칠 지나면 올챙이로 부화되며 1~3개월 만에 다 자란다.

 

 

 

 

 

 

 

 

두꺼비는 위험에 처했을 경우 피부로 독을 퍼뜨리며 사지를 오므리고 머리를 숙여 독이 있는 귀샘을 적의 코 앞에 내민다. 독을 분비하는 샘은 등 위의 오톨도톨한 작은 혹 속에 들어 있는데 가장 집중되어 있는 곳은 눈 뒤쪽의 귀밑샘이다. 주위의 동물이 방해하면 독을 분비하거나, 분출하여 동물들의 눈이나, 점액질 피부에 염증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두꺼비의 독을 전혀 두려워하지 않는 천적이 있다. 능구렁이와 유혈목이와 같은 뱀은 두꺼비의 독에 면역이 있어 두꺼비를 잡아먹는다. 때까치나 육식 어종 등도 두꺼비를 잡아 먹는다고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쥐도 두꺼비를 공격한다고 하는데 독이 든 귀샘 부분은 건드리지 않고 두꺼비를 뒤집어 배를 물어뜯어 죽인 뒤 살을 뜯어 먹는다고 한다. 두꺼비 어린 개체는 물방개나 물장군 등에게도 잡아먹힌다

 

거꾸로 두꺼비가 뱀을 잡아먹는 일도 없지 않은 모양이다. 중국 충칭에서 뱀을 잡아먹는 모습을 찍은 사진이 보도되기도 하였고, 호주에서도  12cm 몸집의 암컷 두꺼비가 천적인 킬백 스네이크를 먹어치우는 모습이 담긴 사진이 돌기도 하였다.

 

중국에서는 건조시킨 두꺼비 독을 여러 가지 만성 질병 치료에 이용했으나, 현재는 독성분 중에 있는 중요 물질들을 대부분 인공합성하여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두꺼비는 사마귀 같은 것은 일으키지 않는다.

 

두꺼비속은 오스트랄라시아(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및 그 부근의 여러 섬들)와 아프리카 남동의 마다가스카르를 뺀 전 세계에 300종 이상이 분포하고 있다. 두꺼비 중에 서부아프리카보모두꺼비는 특이하게도 알을 낳는 것이 아니라 새끼를 낳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