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tegium japonicum2 민바랭이새 Microstegium japonicum 민바랭이새는 나도바랭이새(M. vimineum)에 비해 가늘지만 잎이 넓고, 화서의 가지는 2~6개로 많고 끝이 드리우고 관절편 양 끝에만 털이 있으며 한 마디에 달린 두 작은이삭은 모두 자루가 있고 수술은 두 개인 점으로 구별된다. 남부 지역, 주로 제주도에서 자란다. 2017. 10. 29. 안면도 ● 민바랭이새 Microstegium japonicum | East Asian glabrate browntop ↗ 화본목 벼과 나도바랭이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20-70cm이고 마디에 털이 없으며 가냘프고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7㎝,나비 7-10㎜이며 가장자리는 작은 톱니처럼 꺼칠꺼칠하고 양면에 털이 없거나 짧은 연모가 있고 때로.. 2017. 11. 16. 민바랭이새 Microstegium japonicum 고향 뒷산에서 만난 민바랭이새. 네이처(국생정 식물도감)에서는 남부지방, 주로 제주도에 자생하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내 고향 뒷동산에서 만난다. 임도 그늘 한쪽에는 나도바랭이새가 무리를 이루어 자라고 있는데, 다른 한쪽에 나도바랭이새에 비해 식물체가 작고 이삭도 아주 가느다란 나도바랭이새가 무리를 지어 살고 있다. 민바랭이새는 나도바랭이새에 비해 가늘지만 화서의 가지는 2~6개로 많고 끝이 드리우고 관절편 양 끝에만 털이 있으며 수술은 2개이다. 2015. 09. 26. 경남 합천 가회 ● 민바랭이새 Microstegium japonicum ↘ 화본목 벼과 나도바랭이속의 한해살이풀높이 20-70cm이고 마디에 털이 없으며 가냘프고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잎.. 2015. 10.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