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모산재 2024. 5. 23. 18:51

 

비교적 늦은 시기인데도 임도 주변에는 졸방제비꽃이 흔하게 보인다. 흰 꽃도 있지만 자부색 꽃들이 더 흔해서 시각적으로 더 아름답게 느껴진다. 줄기는 곧추서며 여러 대가 밑에서 올라오는데 지상부의 줄기가 곧추서는 점에서 줄기가 비스듬히 눕는 낚시제비꽃과 구별된다. 꽃잎 안쪽을 제외한 식물체 전체에 털이 거의 없는 것을 민졸방제비꽃 (for.glaberrima)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 저지대와 산간 지역의 낙엽성 숲 가장자리 초지의 약간 축축하며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일본, 중국 몽골,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5. 18.  연천 고대산

 

 

 

 

 

 

 

● 졸방제비꽃 Viola acuminata | Long-stem Violet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20-40cm이고 줄기는 몇 대가 뭉쳐나며 털은 없거나 윗부분에 있다. 근경은 짧고 굵으며 황백색 또는 갈색의 뿌리가 난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삼각상 심장형이고 엽병이 있으며 길이 2.5-4cm, 폭 3-5mm로서 윗부분의 잎은 폭이 길이보다 짧고 끝이 점차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탁엽은 긴 타원형으로서 빗살같은 톱니가 있다.

5-6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5-10cm의 화경이 나와 백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옆을 향해 달리며 화경 윗부분에 선상의 포가 달리고 백색꽃의 입술모양꽃부리에 자주색 줄이 있다. 꽃받침조각은 녹색이며 길이 7-10mm이고 부속체는 짧고 반원형으로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오그라들며 톱니가 있다. 꽃잎은 길이 8-10mm로서 측판 안쪽에 수염털이 있으며 거는 길이 3-4mmm이다. 거(距)는 길이3-4mm이고 삭과는 타원형으로 길이 8-10mm이며 털이 없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말린 졸방제비꽃 잎을 주변강(走邊疆)이라 하며 약용한다. 열을 애리고 종기를 가라앉히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있다. 또 폐열해수(肺熱咳嗽), 창절(瘡癤)의 종독(腫毒)을 치료한다. 

 

 

※ 참고 : Viola acuminata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Viola acuminata Ledeb. (gbif.org)   

 

• 큰졸방제비꽃 Viola kusanoana : 줄기는 밑부분이 조금 눕고 잎이 둥근심장형이며 턱잎은 깃모양으로 깊게 갈라지고 곁꽃잎에 털이 없다. 북부지방과 울릉도, 일본에 분포한다.

• 왜졸방제비꽃(참졸방제비꽃) Viola sacchalinensis : 졸방제비꽃에 비해 키가 작고, 잎에 털이 없으며, 큰졸방제비꽃에 비해 턱잎은 중간까지 갈라지며, 곁꽃잎에 털이 있다. 북부지방 백두산, 낭림산 등에 자생하며, 사할린, 캄차카, 몽골, 일본, 중국 동북부 등에 분포한다. 

 

 

☞ 졸방제비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7036 

☞ 민졸방제비꽃 => https://kheenn.tistory.com/15857058    

☞ 큰졸방제비꽃 => 울릉도의 윤판나물아재비,큰두루미꽃,큰연영초,선갈퀴,주름제비란,큰졸방제비꽃,울릉제비꽃,헐떡이풀,섬남성 (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