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rsia4 겨풀 Leersia sayanuka 늘 그 존재가 궁금했던 겨풀을 왕들의 계곡에서 만난다. 잎이나 전초 형태가 나도바랭이새 종류와 아주 비슷한데 가지가 많은 꽃차례를 보고 민바랭이새인가 싶었다. 그런데 이삭에 까락이 전혀 없고 열매의 형태도 볍씨 비슷해서 나도바랭이속과는 아주 다른 모습이다. 자주 찾는 카페에 도움을 요청하니 그토록 보고 싶었던 겨풀이란다. 종종 보았던 나도겨풀과는 꽃밥이 3개, 가지의 1/3 이상 윗부분에 작은이삭이 달린다는 점으로 구별된다. 또한 호영 용골부에 빗살모양의 가시털이 흔적으로 있다는 점에서 가시털이 긴 좀겨풀과 구별되며 흔하지 않다. 벼과 겨풀속 여러해살이풀로 물가에서 흔히 무리지어 자란다.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10. 02. 경기 구리 ● 겨풀 L.. 2024. 10. 27.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나도겨풀은 연못이나 저수지, 강가의 얕은 물가에서 무리 지어 자라는 벼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겨풀(L. oryzoides var. japonica)에 비해 꽃차례가 곧추서고 가지 밑부분에 작은이삭이 달리며 수술은 6개이므로 구분된다. ↓ 2009. 09. 28. 선유도 공원 ●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 벼목 벼과 겨풀속 여러해살이풀 짧은 뿌리줄기에서 긴 기는줄기가 나와 옆으로 벋는다. 줄기의 마디에서 수염뿌리가 나오고 많은 가지가 나와 위로 솟는다. 높이는 30∼50cm이다. 마디에 아래쪽을 향한 짧고 딱딱한 털이 빽빽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좁은 바소꼴로 편평하며 길이가 5∼15cm, 폭이 5∼8mm이고 털이 없다. 잎혀는 길이가 2∼2.5mm이다.꽃은 .. 2009. 10. 26.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연못과 저수지, 강가의 얕은 물에 무리 지어 벼과 겨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습지식물이다. 겨풀에 비해 꽃차례가 곧추서고 가지의 밑부분에 작은이삭이 달리며 수술은 6개이므로 구분된다. ↓ 2009. 07. 22. 백령도 ●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 벼과 겨풀속의 여러해살이풀물 위로 나온 줄기는 높이 30-50cm이며 곧게 서고 마디마다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편평하고 길이 5~15cm, 폭 5~8mm로서 털이 없으며 연질이고 연한 녹색이며 엽설은 길이 2~2.5mm이다. 근경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물위로 나온다. 꽃은 8~9월에 피고 화서는 총상으로 몇 개의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는 1개씩 달리고 비스듬히 퍼지며 거의 밑부분에.. 2009. 8. 15.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연못과 저수지, 강가의 얕은 물에 무리 지어 벼과 겨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습지식물이다. 겨풀에 비해 꽃차례가 곧추서고 가지의 밑부분에 작은이삭이 달리며 수술은 6개이므로 구분된다. ↓ 2009. 06. 30. 세미원 ● 나도겨풀 Leersia japonica / 벼과 겨풀속의 여러해살이풀물 위로 나온 줄기는 높이 30-50cm이며 곧게 서고 마디마다 짧은 털이 밀생한다. 잎은 호생하며 편평하고 길이 5~15cm, 폭 5~8mm로서 털이 없으며 연질이고 연한 녹색이며 엽설은 길이 2~2.5mm이다. 근경에서 몇 개의 줄기가 옆으로 뻗다가 윗부분이 물위로 나온다. 꽃은 8~9월에 피고 화서는 총상으로 몇 개의 가지가 갈라지며 가지는 1개씩 달리고 비스듬히 퍼지며 거의 밑부분에.. 2009. 7.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