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ctuca15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어린 풀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속(상추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씀비귀와 유사하나 잎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며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 등 동북아시아와 베트남에 분포한다. 2024. 06. 07. 대관령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Triangular Lettuc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상추속(왕고들빼기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60~130cm로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은 밑이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며, 노란색 머리 모양 꽃이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머리.. 2024. 6. 14. 변이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경기둘레길을 걷다 특이한 형태를 한 왕고들빼기를 만난다. 보니 줄기에 무슨 변이가 발생한 것인지 빨래방망이처럼 굵어진 상태가 되어 수백의 꽃봉오리들이 다닥다닥 달려 꽃다발이 된 모습이다. 기생한 벌레로 인한 것인지, 아니면 환경 물질에 의한 돌연변이인지... 2022. 09. 15. 연천 왕고들빼기 줄기가 방망이처럼 비대하게 변이된 왕고들빼기 ●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 Indian lettuce ↘ 국화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 한두해살이풀 높이가 1-2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서며 위부분에서 가지를 치고 털이 있거나 거의 없다. 로제트시기에 육질의 역원뿔모양 뿌리가 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피침형 또는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10-30cm.. 2022. 9. 30. 가시상추 Lactuca scariola 기시상추는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상추속(Lactuca)의 한두해살이풀로 유럽 원산의 귀화종이다. 국내에는 1980년에 처음으로 보고되었다. 이름처럼 꽃은 상추와 닮은 노란 꽃을 피우고 잎자루 없는 잎은 깃꼴로 갈라지고 맥을 따라 가시가 나 있다. 전국의 도로변을 따라 선형으로 분포하며, 경기 화성, 경북 군위, 대구 북구 검단동, 전북 부안, 충남 서산 일대에 널리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괴산 연풍 ● 가시상추 Lactuca scariola | prickly lettuce ↘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는 60∼130㎝이다. 줄기는 단단하고 곧게 선다. 윗부분에서 원뿔모양으로 갈라지며 아랫부분에 거친 털이 있다. 뿌리는 원기둥꼴이고,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길이는 10~20cm이고 긴.. 2016. 7. 14. 두메고들빼기 어린 풀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속(상추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씀비귀와 유사하나 잎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며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며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13. 05. 18. 오대산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상추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60~130cm로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은 밑이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며, 노란색 머리 모양 꽃이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머리 모양 꽃은 혀모양꽃으로만 이루어진다. 꽃싸개는 3~.. 2014. 5. 21.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씀비귀와 유사하나 잎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며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2012. 08. 08. 소백산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Triangular Lettuc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상추속(왕고들빼기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60~130cm로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은 밑이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며, 노란색 머리 모양 꽃이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머리 모양 꽃은 혀모양꽃으로만 .. 2012. 9. 21.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산씀바귀와 구별하기 두메고들빼기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깊은 산에서 자란다. 왕고들빼기(L. indica var. laciniata)와 산씀바귀(L. raddeana)에 비해 잎이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고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는 점으로 구별된다. 2011. 07. 08. 금대봉 두메고들빼기 잎 두메고들빼기 잎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국화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상추속)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날개.. 2012. 8. 2. 두메고들빼기의 줄기잎 Lactuca triangulata 태백산 정상부에서 만난 두메고들빼기, 꽃대 끝에 꽃망울이 달렸을 뿐 아직 꽃이 피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잎 모양을 보여 주고 있다. 두메고들빼기의 잎은 삼각형이거나 삼각상 심장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다. 줄기 아래쪽의 잎은 날개가 달린 긴 잎자루가 있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다. 줄기와 이어지는 부분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감싸고 있는데, 이런 점들이 산씀바귀와 다른 점이다.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상추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 잎.. 2012. 7. 30. 두메고들빼기 뿌리잎, 뿌리 Lactuca triangulata 왕고들빼기, 산씀바귀, 상추 등과 함께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두메고들빼기는 잎이 삼각형이거나 삼각상 심장형으로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산씀바귀와 특히 유사하나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는 점으로 구별된다. 2011. 07. 07. 태백산 금대봉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Triangular Lettuce ↘ 국화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 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 2012. 7. 30.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는 왕고들빼기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산씀비귀와 유사하나 잎이 줄기를 감싸는 점이 다르다. 잎은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며 깃꼴로 깊은 결각이 생기기도 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 등 종북아시아와 베트남에 분포한다. 2011. 09. 25. 지리산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Triangular Lettuce ↘ 목련강 국화목 국화과 상추속(왕고들빼기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높이 60~130cm로 곧추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삼각형 또는 삼각상 심장형이다. 잎은 밑이 날개처럼 되어 잎자루로 넓게 이어져서 불룩하게 되거나 줄기를 감싼다. 꽃은 7~8월에 피며, 노란색 머리 모양 꽃이 모여 원추꽃차례를 이룬다. 머리 모양.. 2011. 11. 15. 한라산 고산지대에 자라는 한라고들빼기 Crepidiastrum hallaisanense 한라고들빼기는 한라산 정상 주변 화산암 암석지대에서 자라는 제주도 고유종 국화과 한해살이풀이다. 줄기가 곧게 서는 다른 고들빼기류와는 달리 줄기가 땅바닥으로 기는 점이 뚜렷한 특징이다. 왕고들빼기속(Lactuca)으로 분류해왔으나 최근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에서는 고들빼기속(Crepidiastrum)으로 배치하고 있다. 민들레잎을 연상시키는 잎은 깃꼴로 땅바닥에 넓게 퍼지며, 그 위로 여러 개의 줄기가 사방으로 깔린다. 좀씀바귀를 닮은 노란 꽃은 관상화가 없고 설상화로만 구성된다. 뿌리는 가늘다. ● 한라고들빼기 Lactuca hallaisanensis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 한해살이풀 줄기는 밑동에서 여러 개가 갈라져 땅에 깔리고 전체에 털이 없다. 뿌리는 가늘다. 잎은 피침형 또는 긴 달걀모양으로.. 2011. 10. 15. 두메고들빼기(울릉도) Lactuca triangulata 나리분지에서 만난 두메고들빼기, 아직 꽃이 피지 않은 모습이다. 산씀바귀와 달리 날개가 있는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고 있으며 잎은 삼각형이고 갈라지지 않는다. 2007. 07. 24. 울릉도 나리분지 꽃맹아리가 움직거리고 있다.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초롱꽃목 국화과 산씀바귀속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가 있으며 끝은 뾰족하고 밑은 다소 심장밑 모양이다. 잎은 얇은데, 앞면은 가는 털이 흩어져 나고 뒷면은 백색을 띤다.잎자루는 잎몸과 길이가 비슷하고 날개가 있는데, 잎자루 밑은 귀 모양으로 줄기를 싸고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다. 꽃은 7∼8월에 노란색으.. 2007. 12. 14.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 var. laciniata 씨앗 왕고둘빼기 꽃이 지고 열매를 맺었다. 납작한 달걀모양의 검은 종자는 뾰족한 부리가 있고 흰 갓털(관모)에 촘촘히 싸여 있다. 왕고들빼기는 상추, 산씀바귀, 가시상추 등과 같은 상추속(Lactuca)이다. ●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 Indian lettuce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한두해살이풀 높이 1∼2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잎은 꽃이 필 때 스러진다. 줄기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의 바소꼴로 길이 10~30cm로서 밑부분이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앞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분백색이고 깃처럼 갈라진다. 갈래조각에 톱니가 있다. 상처에서 흰 유액(乳液)이 나온다. 꽃은 7∼10월에 피고 많은 두화(頭花)가 원추꽃차례에 달리며 노란색이다. 두화는 지름 2.. 2006. 12. 3. 용설채 Lactuca indica var. dracoglossa 용설채는 중국 남부 원산으로 잎이 용의 혀처럼 생겼다고 하여 '용설채'라는 이름이 붙었다.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의 변종(var. dracoglossa)으로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과 잎이 크게 갈라지는 것, 잎의 가운데 맥을 따라 보랏빛 점이 있는 것이 있다. ● 용설채 Lactuca indica var. dracoglossa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1∼2m로,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무렵 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잎 모양은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길이 20∼40cm, 나비 7∼15cm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없다. 7∼9월에 지름 약 2cm의 노란 꽃이 줄기 끝에서 나온 가지에 원추꽃차례로 여러 개 핀다. 총포는 원통 모양이고 총포조각은 자줏빛을 띠.. 2006. 10. 30.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두메고들빼기는 다른 고들빼기와 마찬가지로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고 있는데, 이는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지 않는 산씀바귀와 다른 점이다. 잎 모양은 뿌리잎에 가까우면 3각형, 줄기잎은 긴 타원 모양을 하고 있는데, 깊은 결각을 가진 깃꼴 잎도 있어 모양이 다소 다양한 편이다. 꽃잎의 수는 산씀바귀가 8장 내외인 데 비해서 12장 이상으로 많은 편이다. 2006. 07. 25. 금대봉 뿌리에 가까운 줄기잎은 대개 삼각상이다. 윗부분의 줄기잎은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 2006. 8. 26. 용설채 Lactuca indica var. dracoglossa 잎이 용의 혀처럼 생겼다고 하여 '용설채(龍舌菜)'라는 이름이 붙었다. 중국 남부 원산으로 왕고들빼기(Lactuca indica)의 변종(var. dracoglossa)이며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과 잎이 크게 갈라지는 것, 잎의 가운데맥을 따라 보랏빛 점이 있는 것이 있다. 가축의 사료로 쓰기 위해 재배하기도 한다. ● 용설채 Lactuca indica var. dracoglossa | Dragon's Tongue / 초롱꽃목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1∼2m로, 뿌리에 달린 잎은 꽃이 필 무렵 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어긋난다. 잎 모양은 갈라지거나 갈라지지 않으며 길이 20∼40cm, 나비 7∼15cm이다. 끝이 뾰족하고 잎자루가 없다. 7∼9월에 지름 약 2cm의 노란 꽃이 줄기 끝에서 .. 2006. 7.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