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ymus7 개밀 Elymus tsukushiensis, 속털개밀 Elymus ciliaris 일반적으로 흔하게 만나는 개밀속(Agropyron)으로 개밀과 속털개밀이 있다. 개밀은 전체 꽃차례가 휘어져 늘어지고 작은이삭이 화축과 벌어지며 포영에 털이 없고 호영의 까락이 곧은 데 비하여, 속털개밀은 꽃차례가 곧게 서는 편이고 작은이삭이 화축에 붙어 있으며 포영에 털이 있고 포영의 가락이 마르면 뒤로 휘어지는 특성이 있는 점으로 구별된다. 2024. 07. 04. 서울 ● 개밀 Elymus tsukushiensi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사초목 벼과 갯보리속 줄기는 여러 개가 모여나고, 높이 40~100cm이며, 마디는 4~6개 있고 잎집 밖으로 나온다. 잎집은 밋밋하다. 잎몸은 길이 20~30cm이고, 너비 5~10mm이다. 잎혀는 길이 1mm 이내이고, 끝이 편평하다. 전.. 2024. 7. 9. 속털개밀 Elymus ciliaris(Agropyron ciliare) 속털개밀은 개밀과 같은 환경에서 섞여 자라는 경우가 많다. 개밀은 화서 끝이 땅쪽으로 휘어지고 소수가 축에서 비스듬히 벌어지고 내영과 호영의 길이가 같다. 속털개밀은 화서가 비스듬히 서거나 곧추 서고 영과가 짧으며 호영 가장자리에는 긴 가는털이 있으며 끝은 까락이 있다. 마르면 까락이 꺾인다. 우리나라 전역 길가나 산지 근처의 풀밭에 자라며 중국, 러시아 극동 지역 등에 분포한다. 여러 변종이 있는데, 가는개밀(f. hackelianum)은 호영 가장자리에 짧은 털이 있는 점으로 긴 털이 있는 속털개밀과 구별된다. 아래는 속털개밀로 보인다. 2024. 06. 23. 서울 ● 속털개밀 Elymus ciliaris | slender wheatgrass ↘ 백합강 사초목 벼과 갯보리속 .. 2024. 6. 28. 구주개밀 Agropyron repens(Elymus repens) 태백산 정상부 주변에서 만난 벼과의 풀. 까락이 아주 짧고 길쭉한 열매가 촘촘하게 달려 있고 전초의 높이는 두 자쯤 되어 보인다. 구주개밀! 유럽 원산의 사료 식물로서 끈질긴 생명력으로 빠르게 번식하는 풀이라고 한다. '유럽 개밀'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구주개밀이 아닐까 생각된다. 워낙 많은 사람들이 오르는 산이라 외래종 목초가 이곳 정상부에까지 자생하게 된 모양이다. 개밀속(Agropyron)이 아닌 갯보리속(Elymus)으로도 보기도 한다. 가는보리풀과 생태 면도 유사하나 포영이 두 개씩 있어서 구분이 된다. 다년초로 황백색의 뿌리줄기는 매우 길어서 완전히 뽑아내지 않으면 뿌리줄기 조각이 다시 새롭게 자란다고 한다. 2011. 07. 07. 태백산 ● 구주개밀 Ag.. 2012. 7. 30. 갯그령 Elymus mollis 중부 이북 바닷가 모래땅에 자라는 갯보리속(Elymus)의 여러해살이 염생식물이다. 땅속줄기는 길게 뻗고 작은이삭은 갯보리와는 달리 까락이 없으며 꽃차례 전체에 털이 있다. ↓ 2009. 07. 24. 백령도 ● 갯그령 Elymus mollis | American dune grass ↘ 벼목 벼과 갯보리속의 여러해살이풀잎은 분록색이며 길이 20-40㎝, 폭 7-12mm로서 털이 없고 표면은 맥이 튀어올라 거칠지만 뒷면은 밋밋하며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고 엽설은 길이 1㎜로서 막질이다. 높이 50-100cm이며 굵고 밋밋하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꽃은 7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0-25㎝로서 거의 흰빛이 돌고 백색 털이 있으며 곧게 서고 소축은 연모가 있다. 소수(小.. 2009. 8. 16. 갯그령 Elymus mollis 중부 이북 지역 바닷가 모래땅에 자란다. 갯보리에는 20mm 정도의 긴 까락이 두드러져 쉽게 구별된다. ↓ 2009. 07. 23. 백령도 ● 갯그령 Elymus mollis / 화본목 벼과 갯보리속 여러해살이풀높이 50-100cm이며 굵고 밋밋하다. 잎은 분록색이며 길이 20-40㎝, 폭 7-12mm로서 털이 없고 표면은 맥이 튀어올라 거칠지만 뒷면은 밋밋하며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고 잎혀는 길이 1㎜로서 막질이다. 근경은 옆으로 길게 뻗는다. 꽃은 7월에 피며 원뿔모양꽃차례는 길이 10-25㎝로서 거의 흰빛이 돌고 백색 털이 있으며 곧게 서고 낱꽃축은 연모가 있다. 작은이삭은 2개씩 달리고 길이 1-2.5cm로서 3-5개의 꽃으로 된다. 포영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예첨두이며 3-.. 2009. 8. 16. 개보리 Elymus sibiricus 갯보리에 비해 포영이 짧으며, 호영의 절반에서 2/3 정도이므로 구별된다. 벼과 갯보리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북부지방에 자라며 온대지방에 널리 분포한다. 방목지 목초로 기르는데 콩과의 풀과 섞어 심을 수 있으며 엔실리지용으로도 적당하다. 2007. 07. 14 대덕산 ● 개보리 Elymus sibiricus | Siberian Wild Rye, Rescue-grass, Prairie-grass / 화본목 벼과 갯보리속의 여러해살이풀높이 60∼100cm이다. 줄기가 빽빽이 나고 벋는줄기가 없다. 잎은 바소꼴이지만 약간 납작하고 길이 8∼20cm, 나비 약 1cm이다. 잎혀는 막질이고 길이 약 1mm이다. 꽃은 원추꽃차례로 6∼8월에 핀다. 꽃이삭은 녹색이고 길이 8∼15cm로 아래로 .. 2007. 7. 29. 산갯보리 Elymus dahuricus var. villosulus 처음에는 '개보리'(Elymus sibiricus)로 생각했으나 개보리는 까락이 자라 뒤로 젖혀지며 화서가 늘어진다고 하니 부합하지 않는다.(참고로 개보리는 북부지방 높은 산록에서 자라며 목초로 이용한다고 한다.) 재검토해보니 화서가 직립하는 '갯보리'(Elymus dahuricus)와 부합하는데, 바닷가에서 자란다고 하는 갯보리가 어째서 대덕산 고산지에서 자라는지... 그래서 자료를 더 찾아보니 마디에 털이 있는 갯보리의 변종 '산갯보리'(var. villosulus)가 있다. 털을 관찰해보지 못했으니 확인할 수 없는데, 마침 채집지가 바로 태백산 국립수목원 산갯보리 표본 자료를 발견하였고, 이미지가 거의 같다. 그래서 산갯보리로 잠정 동정해 둔다. 대덕산 산갯보리(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표.. 2006. 8. 2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