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erberis10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섬매발톱나무는 한라산 고유종으로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중간형이다. 매발톱나무에 비해 가시가 더 크고 잎과 열매가 작으며, 매자나무에 비해 생육 속도가 느린 편이다.    2022. 05. 19.  한라산        ●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 Jejudo barberry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높이가 2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가 크며 3출하고 길이 1-2cm이다. 잎은 새가지에서는 어긋나기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이며 거꿀피침모양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3cm로서 예리하고 모상(毛狀)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 2022. 6. 6.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진달래밭대피소에 가까워지자 섬매발톱나무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대부분 꽃봉오리 상태인데 햇볕이 잘 드는 곳에는 꽃잎이 벌어진 모습도 보인다. 섬매발톱나무는 한라산 고유종으로 매자나무와 매발톱나무의 중간형이다. 매발톱나무에 비해 가시가 더 크고 잎과 열매가 작으며, 매자나무에 비해 생육 속도가 느린 편이다. ●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 Jejudo barberry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높이가 2m에 달하고 일년생가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가 크며 3출하고 길이 1-2cm이다. 잎은 새가지에서는 어긋나기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기한 것처럼 보이며 거꿀피침모양이고 둔두 또는 예두이며 예저이고 길이 1.. 2022. 5. 24.
매발톱나무 열매 Berberis amurensis 산기슭 탁 트인 양지를 좋아하는 매발톱나무, 함백산의 매발톱나무도 볕이 잘 드는 고산 능선에 맘껏 가지를 뻗고 자라 풍성한 열매를 달았다. 함백산 ● 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 Amur barberry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관목 높이가 2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암회색이며 가지는 회색이고 털이 없다. 일년생가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1~2cm이다. 나무껍질은 암회색이며 가지는 회색이고 털이 없다. 일년생가지에 구(溝)가 있으며 2년지는 회황색 또는 회색이고 가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1~2cm이다. 잎은 새가지에서 어긋나기하고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기 한 것처럼 보이며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2016. 10. 10.
매자나무 열매, 줄기, 잎 Berberis koreana 매자나무는 한국 특산종으로서 경기도 이북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변종으로 잎이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인 좁은잎매자(var. angustifolia), 열매가 긴 타원형인 연밥매자(var. ellipsoidea)가 있다. 매발톱나무에 비해 줄기가 가늘고 휘어지며, 열매는 매발톱나무가 긴 원기둥형인데 비해 구형이나 구형에 가까운 난형이다. 양재동 줄기와 잎 ●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 Korean Barberry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관목 높이 약 2m이다. 가지를 많이 치며 2년생 가지는 빨간색이거나 짙은 갈색이다. 줄기에 가시가 있으며 가시 길이는 5∼10mm이다. 잎은 약간 두껍고 마디 위에 모여나며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거나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 2015. 7. 26.
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금대봉과 대덕산의 매발톱나무는 잎이 둥글고 큰 변종인 왕매발톱나무와 그리 달라 보이지 않는다. 특히 정상보다는 낮은 곳에 있는 매발톱나무는 울릉도의 왕매발톱나무처럼 잎이 둥글고 잎무늬도 비슷해 보인다.( ☞=> https://kheenn.tistory.com/15857031)  거기에 비해 대덕산 정상 부근의 매발톱나무는 왕매발톱나무로 보기에는 키가 낮고 잎이 작으며 꽃차례는 빈약하고 작다. 아마도 생태적 차이에 의해 나타난 모습일 것이다.   2015. 05. 16.  대덕산          ● 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 Amur Barberry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관목 줄기는 높이 2-3m다. 2년생 가지는 잿빛이고 가시는 3갈래로 갈라지며 길이 1-3c.. 2015. 5. 25.
왕매발톱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왕매발톱나무가 주렁주렁 노란 꽃차례를 늘어뜨리고 화려하게 꽃을 피웠다. 왕매발톱나무는 울릉도와 강원도에 자생하는 매자나무과의 관목, 기본종인 매발톱나무(Berberis amurensis)에 비해 잎이 둥근 것이 특징이다. 홍릉수목원 ● 왕매발톱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 Ulleungdo barberry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관목 높이 약 2m이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오며 길이 1~2cm의 예리한 가시가 3개로 갈라져 턱잎과 함께 있다. 2년생 가지는 회색 또는 노란빛을 띤 회색이며 작은 가지에는 홈이 있다. 잎은 새로 난 가지에서는 어긋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는 것처럼 보인다. 길이 3~8cm로 둥글거나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바늘 .. 2015. 4. 30.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매자나무는 경기도 이북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는 한국 특산종이다. 매발톱나무 종류와 비슷해 보이는데, 매발톱나무에 비해 꽃차례를 달고 있는 꽃 줄기가 길고 아래로 쳐지는 점과 잎의 톱니가 작고 고른 점 등으로 구별된다. 왕매발톱나무에 비해 개화 시기가 늦다. ●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 Korean Barberry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관목 높이 약 2m이다. 가지를 많이 치며 2년생 가지는 빨간색이거나 짙은 갈색이다. 줄기에 가시가 있으며 가시 길이는 5∼10mm이다. 잎은 약간 두껍고 마디 위에 모여나며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거나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뒷면은 주름이 많으며 잿빛을 띤 녹색이다. 길이 3∼7cm이며 가을에 빨간색으로 물든.. 2015. 4. 30.
자엽일본매자나무 Berberis thunbergii f. atropurpurea 홍릉수목원에 '양매자나무'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는 일본매자나무. 붉은잎을 단 일본매자나무 품종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 자엽일본매자나무('Atropurpurea') 라는 국명으로 등록되어 있다. 원산지는 일본과 동아시아로 중국과 북아메리카에 널리 퍼져 있으며, 영명은 Thunberg's barberry, or Red barberry. ● 자엽일본매자나무 Berberis thunbergii f. atropurpurea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 관목 높이 2m 정도 자라는 낙엽성 소관목으로 많은 가지가 분지한다. 가지는 능조(稜條)가 있고 갈색이다. 가시는 1개 또는 3개가 있고 길이는 5∼18㎜이다. 잎은 새로 나오는 어린 가지에서 호생하며 도란형 또는 좁은 도란형으로 적동색을 띤다. 꽃은 황색.. 2015. 4. 30.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왕매발톱나무는 본종인 매발톱나무(B. amurensis)에 비해 잎 모양이 둥근 것이 특징으로 강원도 및 울릉도에 분포한다. 매발톱나무는 잎이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울릉도를 제외한 내륙 지역에 분포한다. 울릉도 ●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매자나무속의 낙엽관목 낙엽관목으로 높이 2m에 달하고 작은가지에 홈이 있으며 2년지는 노란빛을 띤 회색이고 가시는 3개로 갈라지며 길이 1∼2cm이다. 잎이 원형 또는 둥그달걀형이며, 새가지에는 어긋나고 짧은 가지에서는 모여나는 것 같이 보이며 3∼8cm이고, 규칙적인 바늘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은 주름이 많고 연한 녹색이다. 꽃은 4∼5월에 황색으로 피고 짧은 가지.. 2007. 12. 13.
뿔남천 Berberis japonica(Mahonia japonica) 일본 곳곳 정원에서 만날 수 있는 뿔남천은 원산지가 중국이라고 한다. 종소명으로 보면 일본산으로 오해하기 쉽지만 일본에는 야생하는 뿔남천이 없다고 한다. 매자나무과의 늘푸른 떨기나무로 '대만남천죽'이라고도 한다. 노란 꽃은 매자나무과의 특징이 잘 보이며 깃 모양 겹잎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점이 특징적이다.     2006. 01. 13.  교토 고후쿠지     교토 료안지    ● 뿔남천 Mahonia japonica  ↘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뿔남천속의 상록관목높이 1∼3m이다. 다소 가지가 갈라지고 나무껍질은 코르크질이다. 잎은 어긋나지만 가지 끝에 모여 달리고 1회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딱딱하고 가장자리에 바늘같이 뾰족한 톱니가 있다. 또한 표면은 녹색으로 윤기가 .. 2006. 1.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