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과252 나비나물 꽃과 열매 Vicia unijuga 마주 달린 잎의 모양이 나비를 연상시켜 나비나물이라 한다. 해가 잘드는 산지 가장자리에 잘 자란다. 콩과식물이면서도 순과 꽃봉오리를 나물로 이용하는 귀한 산나물의 하나다. 남한산 열매 ● 나비나물 Vicia unijuga | Pair Vetch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어긋나며 한 쌍의 작은잎으로 .. 2008. 11. 26. 눈비수리 Lespedeza cuneata var. serpens ? 군산 선유도 해안에서 만난 비수리는 줄기가 곧게 서는 비수리와는 달리 한쪽으로 누워 있는 모습이다. 또 하나 눈에 띄는 특징은 보랏빛 무늬가 기판 안쪽에 두 줄로 나 있고 끝부분에도 있는 점. 혹시 비수리의 변종으로 온산 앞바다 목도에 자생하다 사라졌다고 하는 눈비수리와 같은 .. 2008. 11. 23. 돌콩 Glycine soja 붉은 덩굴줄기의 새팥과 엉켜 있는 모습이다. 녹색 덩굴줄기와 잎자루와 긴잎을 가진 것이 돌콩이다. 군산 선유도 ● 돌콩 Glycine soja | Soybean / 콩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 잎은 호생하고 엽병은 길이 7-16cm로서 길며 우상(羽狀)3출복엽이며 짧은 털이 있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3-.. 2008. 11. 23. 개도둑놈의갈고리 가지가 별로 벌지 않고 줄기 아랫부분에만 잎이 모여 있는 것이 애기도둑놈의갈고리와 닮았지만 둥근 잎모양이 다르다. 줄기와 꽃이삭 줄기, 꽃받침 등에 털이 많이 보인다. ※ 군산 선유도 개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podocarpum DC.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호생하며 3출복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소엽은 .. 2008. 11. 23. 여우팥 Dunbaria villosa 선유도 ● 여우팥 Dunbaria villosa / 콩과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잎은 호생하며 3출엽으로서 엽병이 길고 비스듬히 선 짧은 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적갈색 선점이 있고 정소엽은 사각형 비슷하며 길이와 나비가 각 1.5-3cm로서 끝이 뾰족해지다가 둔해진다. 탁엽은 좁은 난상 삼각형이고 끝이 .. 2008. 11. 23. 덩굴팥 ※ 군산 선유도 해안 언덕 2008. 11. 23. 나비나물 꽃과 열매 ※ 남한산 나비나물 열매 2008. 11. 7. 개도둑놈의갈고리(Desmodium podocarpum) 도둑놈의갈고리 종류들 중에서 털이 유난히 많아 털도둑놈의갈고리라고도 불린다. 지역에 따라 된장풀·파파초·쉬풀나무라고도 한다. 산기슭이나 골짜기 주변 덤불에서 자란다. 높이 60∼90cm이다. 뿌리가 딱딱한 목질이며 풀 전체에 털이 많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3장의 작은잎이 달리는데 잎이 비.. 2008. 11. 2. 회화나무 회화나무 Sophora japonica | Chinese scholar tree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낙엽교목 영문명으로 Chinese scholar tree라고도 한다. 높이 25m에 달한다. 가지가 퍼지고 작은가지는 녹색이며 자르면 냄새가 난다. 잎은 어긋나고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의 타원형이며, 뒷면.. 2008. 10. 5. 활량나물(Lathyrus davidii) ↓ 홍릉수목원 ▶ 남한산 활량나물 Lathyrus davidii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이나 들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 80∼120cm이다. 윗부분에 능각이 지고 비스듬히 서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2∼4쌍의 작은잎으로 된 짝수깃꼴겹잎이며, 잎자루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작은잎은 타원.. 2008. 8. 2. 광릉갈퀴 Vicia venosa var. cuspidata 잎은 어긋나고 3-7쌍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짝수깃꼴겹잎으로서 덩굴손이 짧은 돌기같은 흔적으로 남았다. 양평 유명산 골짜기 홍릉수목원 ● 광릉갈퀴 Vicia venosa var. cuspidata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원줄기는 모가 나고 곧게 서며 높이는 80∼100cm이다. 줄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다.. 2008. 7. 22.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콩과 벌노랑이속의 유일한 자생종이다. 다른 콩과 식물들에 비해서 작은잎이 끝에 3장 아래쪽에 2장씩 달리는 점이 특징이고, 꽃이 2~3개만 달리는 점으로 꽃이 4~7개씩 달리는 서양벌노랑이와 구별된다. 남한산성 ● 벌노랑이 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a / 콩과 벌노랑이속 여러해살이풀 길.. 2008. 7. 9. 고삼(느삼, 도둑놈의지팡이) Sophora flavescens 고삼(苦蔘)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땅속 깊히 내린 원주상의 굵은 황갈색 뿌리는 맛이 매우 쓰므로 고삼이라 부르며 약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 ↓ 남한산 ● 고삼(苦蔘) Sophora flavescens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80∼100cm로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빛을 띤다. 줄기는 곧게 서고 잎은.. 2008. 7. 9. 땅비싸리 Indigofera kirilowii. 꽃과 열매 남한산 땅비싸리 열매와 씨앗 ● 땅비싸리 Indigofera kirilowii / 장미목 콩과의 낙엽활엽 관목 높이는 1m 정도이고 뿌리에서 많은 싹이 나온다.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오며 가지에 세로로 된 줄 모양의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1개로 두껍고 원형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길이 2cm 정도의 적자색 꽃이 5∼6월에 피고, 잎 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받침은 길이 3mm 정도이며 기판(旗瓣)의 겉에 털이 있다. 열매는 협과(莢果)로 줄 모양이고 10월에 익는다. 유사종으로 꽃이삭이 잎보다 2배 정도 긴 것을 큰땅비싸리(var. coreana), 잎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민땅비싸리(I. coreana)라고 .. 2008. 7. 8. 완두 Pisum sativum 멘델이 실험에 이용한 식물로 유명한 완두의 원산지는 지중해 연안으로 고대 그리스·로마 시대에 이미 재배되었다. 중국에는 5세기경에 전해졌고 한국에서의 재배 역사는 오래지 않다. ● 완두(豌豆) Pisum sativum | pea / 콩과의 한·두해살이풀 높이 2m 정도이고 잎은 겹잎이며 잎 끝은 덩.. 2008. 6. 24.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