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쥐방울덩굴과29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족도리풀 중에서 한라산에서 가장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개족도리풀, 한국 고유종으로 잎몸의 윗면에 흰색의 무늬가 또렷한 점이 다른 족도리풀과 다르며 비슷한 무늬가 있는 무늬족도리풀에 비해 잎이 보다 두꺼운 점에서 다르다. 산지의 숲속 수림 밑 반그늘지고 습윤한 부식토가 많은 곳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제주도, 남해안, 서해안 등에 분포한다. ●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 Korean wild ginger ↘ 쥐방울덩굴목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 지상부 줄기는 없으며, 높이 23~30cm까지 자란다. 땅속줄기는 뚜렷한 절과 짧은 절간이 있으며 직경 3~4mm이다. 수염뿌리는 절간에서 발달하고, 직경 약 1mm이며 특히 땅속줄기의 말단 부위에서 많이 발생한다. 잎은 2장이 어긋나고 낙엽성이.. 2022. 6. 3.
황록선운족도리풀(개족도리풀) Asarum sonunsanense var. viriluteolum 서산의 어느 산에서 만난 족도리풀. 황록선운족도리풀로 알려진 것인데, 잎에 무늬가 없고 꽃받침 갈래조각이 뒤로 젖혀지지 않은 모양이 얼핏 금오족도리풀을 연상시킨다. 이영노 선생이 개족도리풀에 비해 잎과 꽃이 크고 꽃받침 갈래조각이 뾰족한 점으로 선운족도리풀(Asarum sonunsanense)이라 명명하고, 다시 꽃받침통이 황록색인 것을 '황록선운족도리풀(var. viriluteolum)이라 명명하였다.  현재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이명으로조차도 등록되지 않은 상태인데, 족도리풀의 품종(A. sieboldii for. sonunsanense)으로 보기도 하고(2008, 소순구, 김무열), 개족도리풀의 이명(A. maculatum)으로 보기도 한다. (2008, 오병운)    2019. 05. 05. 충남 .. 2019. 5. 8.
쥐방울덩굴 Aristolochia contorta 방울 치고도 아주 작은 방울 같은 열매가 달려서 쥐방울덩굴이라 하는데, 한방에서는 말방울이라는 뜻의 '마두령(馬兜鈴)'이라 불린다. 겨울에도 열매가 떨어지지 않고 갈라져 거꾸로 매달린 낙하선처럼 매달려 있는 모습이 독특하다. 꽃은 네펜데스처럼 생긴 통꽃이 피고 작은 벌레가 관 모양의 꽃 속으로 들어가 수정을 시킨다.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속의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과 들, 숲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서울 대모산 ● 쥐방울덩굴 Aristolochia contorta | northern pipevine ↘ 쥐방울덩굴목 쥐방울덩굴과 쥐방울덩굴속 다년생 덩굴식물 길이 1.5m에 달한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가늘고 길며 가지가 갈라지고 다른 물체를 감고 올라간다. 뿌리는 굵으며, '청목향(靑木香)'이.. 2017. 7. 22.
곰배령의 무늬족도리풀 Asarum versicolor 무늬족도리풀은 족도리풀에 비하여 잎에 무늬가 있고 잎이 얇으며 꽃받침통은 길쭉한 통 모양, 꽃받침 열편의 길이와 폭이 작다. 개족도리풀과 잎의 무늬가 비슷하지만 개족도리풀만큼 잎이 두껍지 않다.  꽃은 길쭉한 통모양으로 녹색을 띤 자주색이며 점박이 무늬가 있다. 관찰 경험으로는 골짜기에서 만나는 꽃은 어두운 녹색빛을 띠지만 능선부의 꽃은 밝은 자주색을 띠는 듯하다.    2016. 04. 24.  곰배령         무늬족도리풀 어린 개체        ● 무늬족도리풀 Asarum versicolor | Coloured wildginger  ↘  쥐방울덩굴목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10cm이며 잎은 앞면에 흰색이 무늬가 있으며 앞뒷면의 맥에 털이 많다. 넓은 달걀모양이며 끝은 뾰.. 2016. 4. 28.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족도리풀과 달리 잎에 무늬가 있어서 개족도리풀이라고 한다. 비슷한 무늬가 있는 무늬족도리풀은 녹색을 띤 자주색의 꽃에 점박이 무늬가 있어서 개족도리풀과 구별된다. 우리 나라 특산식물로 제주 한라산과 남부지방의 산지 숲속에서 자란다.     2016. 04. 09.  선운산          ● 개족도리풀 Asarum maculatum  ↘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벋으며 마디에서 흰색 뿌리가 난다. 뿌리줄기 윗부분에는 달걀 모양의 적갈색 비늘조각이 1∼3개 붙는다. 잎은 심장 모양으로 1∼2개 나오고 털이 없으며 길이 8cm, 나비 7cm 정도이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흰색 무늬가 불규칙하게 있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뒷면에 털이 약간 나는 것도 있고 잎자루.. 2016. 4. 12.
무늬족도리풀 Asarum versicolor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족도리풀과는 달리 잎에 무늬가 있고 꽃이 작고 꽃받침 갈래에는 점박이 무늬가 있다. 새 잎에서는 흰 무늬가 나타나지 않지만 꽃이 지고나서부터 흰무늬가 나타난다. 무늬가 있는 잎모양이 개족도리풀과 비슷하나 혁질이 아닌 점으로 구별된다. ● .. 2015. 5. 7.
서울족도리풀(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A. mandshuricum)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뿌리를 생약으로 쓰는데 '세신(細辛)'이라 부른다.  서울족도리풀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등재되어 있지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빠져 있어 기재문이 없다. 천마산을 비롯하여 서울 주변의 산에 널리 분포하는 족도리풀로 잎 전체에 털이 있고 꽃통 입구에 흰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 뚜렷한 특징이다.    2015. 04. 11.  천마산            ● 서울족도리풀(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족도리풀과 비슷하지만 전체에 털이 있는데, 잎자루에 꼬부라진 잔털이 나 있고 잎의 뒷면에는 보통 비교적 긴 털이 밀생하고 있다. 꽃통 위쪽 3갈래로 갈라진 갈래조각이 뒤쪽으로 .. 2015. 4. 14.
무늬족도리풀(민무늬족도리풀) Asarum versicolor 지리산에서 만난 무늬족도리풀은 화경이 유난히 길다. 잎에 무늬는 없지만 점무늬가 있는 독특한 꽃 모양에서 무늬족도리풀임을 알 수 있다.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족도리풀과는 달리 잎에 무늬가 있고 꽃이 작고 꽃받침 갈래에는 점박이 무늬가 있다.  무늬가 있는 잎 모양이 개족도리풀과 비슷하나 혁질이 아닌 점으로 구별된다.    2012. 05. 27.  지리산          ● 무늬족도리풀 Asarum versicolor  ↘  쥐방울덩굴과 족도리풀속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10cm이며 잎은 앞면에 흰색이 무늬가 있으며 앞뒷면의 맥에 털이 많다. 넓은 달걀모양이며 끝은 뾰족하고 기부는 심장모양이다.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길이는 5.5~8.5cm이며 잎자루에 털이 .. 2012. 6. 29.
무늬족도리풀 Asarum versicolor 무늬족도리풀은 산지의 습한 곳에서 자라는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족도리풀과는 달리 잎에 무늬가 있고 꽃이 작고 꽃받침 갈래에는 점박이 무늬가 있다. 새 잎에서는 흰 무늬가 나타나지 않지만 꽃이 지고나서부터 흰무늬가 나타난다. 무늬가 있는 잎모양이 개족도리풀과 .. 2012. 5. 12.
서울족도리풀(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서울족도리풀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는 등재되어 있지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는 빠져 있어 기재문이 없다. 천마산을 비롯하여 서울 주변의 산에 널리 분포하는 족도리풀로 잎 전체에 털이 있고 꽃통 입구에 흰 테두리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 뚜렷한 특징이다. ● 서울족도리풀(털.. 2012. 5. 11.
서울족도리풀(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쥐방울덩굴과의 여러해살이풀. 족도리풀이란 이름은 작고 동그란 자줏빛 꽃 모양이 시집갈 때 색시가 머리에 쓰는 족두리 비슷하게 생긴 데서 유래한다. 서울족도리풀은 잎에 털이 있고 꽃부리 테두리가 흰 선의 무늬가 두렷한 것이 특징이다. 털이 없는 만주족도리풀과 함께 털족도리.. 2012. 4. 30.
족도리풀(Asarum) 자생종, 검색표 ● 족도리풀(Asarum) 자생종 : 국가표준식물목록 족도리풀 Asarum sieboldii Miq. 영종족도리풀(이명) Asarum sieboldii var. mandshuricum f. viride Y.N.Lee => 만주족도리풀 뿔족도리풀(이명) Asarum sieboldii var. cornutum Y.N.Lee 서울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seoulense (Nakai) Kitag. 만주족도리풀 Asarum heterotropoides var. mandshuricum (Maxim.) Kitag. 금오족도리풀 Asarum patens (K.Yamaki) B.U.Oh : 화주 돌기 길이가 길어 결실기에 화통 밖으로 돌출 자주족도리풀 Asarum koreanum (J.. 2012. 3. 10.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 꽃과 열매 쥐방울덩굴은 꽃 모양이 독특한데, 색소폰처럼 생긴 통꽃이 피고 중간이 공모양으로 부풀어 있다. 작은 벌레가 관 모양의 꽃 속으로 들어가 수정을 시킨다. 같은 쥐방울덩굴과인 등칡도 꽃 모양이 비슷하다. 방울처럼 둥근 열매를 마도령(馬兜鈴)이라 하는데 수박과는 다른 독특하고 섬세한 한 무늬가.. 2010. 8. 7.
쥐방울덩굴 열매 Aristolochia contorta 꽃 모양이 독특한데, 색소폰처럼 생긴 통꽃이 피고 중간이 공모양으로 부풀어 있다. 작은 벌레가 관 모양의 꽃 속으로 들어가 수정을 시킨다.같은 쥐방울덩굴과인 등칡도 꽃 모양이 비슷하다. 방울처럼 둥근 열매를 마두령(馬兜鈴)이라 하는데 수박과는 다른 독특하고 섬세한 한 무늬가 .. 2009. 9. 28.
쥐방울덩굴 Aristolochia contorta 나팔처럼 생긴 꽃부리와 공 모양으로 생긴 꽃 밑부분이 독특한 모습인데, 작은 벌레가 관 모양의 꽃 속으로 들어가 꽃가루받이를 시킨다. 겨울철에도 열매가 떨어지지 않고 낙하산처럼 매달려 있는 모습도 눈길을 끈다. 등칡(A. manshuriensis)과 함께 자생하는 쥐방울덩굴과속의 둘밖에 없는.. 2009.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