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색고약버섯과11 가는아교고약버섯 Phlebia rufa 고약 모양처럼 퍼지며 배착성으로 자란다. 자실층면은 흰색-담황갈색이고, 얕은 구멍이나 불연속적인 주름, 불규칙한 돌기가 있는데 건조하면 형태가 불분명해진다. 조직은 유연하지만 건조하면 가죽질~연골질이 되어 쉽게 떨어진다. 썩은 나무나 그루터기 또는 살아 있는 나무껍질에 달라붙어 자란다. 동북아시아, 러시아, 유럽, 호주, 뉴질랜드, 남미 파타고니아 등에 분포한다. 2023. 11. 15. 서울 ● 가는아교고약버섯 Phlebia rufa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아교고약버섯속 자실체 전체가 배착생. 기질에 단단히 부착된다. 다소 둥근점 모양으로 생겨나고 자라면서 서로 융합되어 수십 센티미터로 퍼진다. 표면은 울퉁불퉁하게 주름살이 있고, 불규칙하게 구멍이 뚫린다. 주름살이 방사상.. 2024. 12. 24. 아교구멍버섯 Antrodiella semisupina 잘려진 나무 줄기의 썩어가는 단면에 발생한 버섯이다. 한국야생버섯도감에서 신칭한 '향기아교구멍버섯'(Metuloidea fragrans)과 유사한 면이 있는 버섯이다. 주로 활엽수 고사목에서 발생하나 드물게 침엽수 고사목에서도 발생한다. 식독 불명이나 질겨서 식용에 부적합하다. 2023. 11. 15. 서울 ● 아교구멍버섯 Antrodiella semisupina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아교구멍버섯속 갓은 반구형에서 부채형으로 크기는 폭이 0.5~2cm, 두께는 1~5㎜정도의 소형이다. 자실체 전체적으로 흰색에서 크림색을 띠며 약간의 아교질성의 띠를 가지고 물결모양을 형성한다. 약간 각이 진 관공을 가지며 1㎜ 면적에 5~7개의 관공이 분포한다. 반배착성이거나 자루가 없다... 2024. 12. 23. 보라털방석버섯=종이유색고약버섯=종이성긴고약버섯 Phlebiopsis crassa 배착성 버섯으로 기주 표면에 밀착하여 자라는데 갓이 없는 경우가 흔하다. 갓은 선반 또는 반원형 모양으로 담황색~갈색의 가는 섬모로 덮여 있다. 자실층은 평활~결절형으로 보라색이며 건조하면 옅은 회갈색이 되고 갈라진다. 부생성 버섯으로 활엽수 고사목의 가지나 줄기에서 주로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는 배착 버섯이다. 2023. 11. 09. 서울 ● 보라털방석버섯(종이유색고약버섯) Phlebiopsis crassa | purple crust fungus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좀아교고약버섯속 목재부후균으로 자실체는 배착성이며 두께 1mm까지 자란다. 자실체 조직은 납질이다. 자실층은 보라색을 띠다가 점차 붉은 갈색으로 변한다. 건조하면 갈라지기 시작하며.. 2024. 12. 19. 갈무른구멍장이버섯 = 가죽아교버섯 Meruliopsis taxicola(Gloeoporus taxicola) 주로 소나무의 고목에 발생하는 목재 백색부후균이다. 자실체는 소나무에 완전 배착성으로 불규칙적 구형의 구멍이 1mm 당 2~4개이며 갈색에서 점차 어두운 적갈색으로 된다. 여름∼가을 소나무 등 침엽수 목재의 수피가 있거나 없는 것에 난다. 주로 작은 가지에 나는데, 입목의 고사지나 땅에 떨어진 나무에 난다. 2023. 11. 01. 서울 ● 갈무른구멍장이버섯 Meruliopsis taxicola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가죽아교버섯속자실체의 전체가 배착생. 흔히 수 센티미터의 막질로 퍼진다. 두께 1~3mm, 기질에 단단하게 붙어 있다. 표면은 쭈글쭈글하고 불규칙한 관공이 안쪽으로 형성된다. 구멍은 불규칙한 원형, 2~3(4)개/mm, 어릴 때는 오렌지 황토색, 이후 오렌지 .. 2024. 12. 17. 큰밀구멍버섯 Ceriporiopsis subvermispora 소나무 가지에 발생한 배착 버섯이다. 흰색∼크림색으로 조직은 부드러우며 관공은 얇은 격막이 있는 각형으로 소나무 줄기나 가지에 난다. 여름~가을 죽은 소나무에 난다. 유럽, 북미에 분포하고 있다. 2024. 07. 17. 서울 ● 큰밀구멍버섯 Ceriporiopsis subvermispora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밀구멍버섯속 자실체는 배착생. 부드러우며 신선할 때는 기질에서 떨어지기 쉽고 건조할 때는 부서지기 쉽다. 두께 1mm 정도. 구멍은 각형이고 얇은 격막이 있다. 3∼5개/mm. 허연색∼크림색. 살 층은 얇고 흰색, 가장자리는 미세하게 섬유상이며 좁고 흰색이다. 포자는 소시지형. 평활, 4.5∼5.5×1∼1.5㎛. http://ydy.kr/xe/mushroom.. 2024. 8. 1. 줄버섯 Bjerkandera adusta 높은 나무 줄기 위에 층을 이루며 잿빛 관공면을 보이고 있는 줄버섯! 자실체는 겹쳐서 발생하여 표면은 흰색~잿빛 갈색의 물결 모양을 이루며 가장자리는 얇고 날카롭다. 버섯갓은 조개껍데기처럼 생겨 단단하며 마르면 가죽처럼 되거나 뻣뻣해진다. 살은 부드러우며 건조하면 코르크질로 변하고 관공은 검은색 또는 회색이고 건조하면 막힌다. 북한명은 '검은구멍버섯'이다. 일 년 내내 죽은 활엽수의 습한 줄기나 그루터기 등에 무리를 지어 반배착하거나 배착하여 자라며 한해살이이다.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줄버섯에는 다용도 페록시다제와 같은 리그닌 분해 효소가 있어 멜라닌 탈색 등 화장품에 응용할 수 있다. 2023. 09. 29. 구리 ● 줄버섯 Bjerkandera adusta | smoky polypore, smoky .. 2024. 1. 16. 너도송편버섯(갈색살송편버섯) Trametopsis cervina 참샘을 향해 내려오는 너덜지대에서 만난 너도송편버섯. 연한 갈색 갓 중간에 희미한 동심원의 흰 선이 있고 가장자리에도 흰 선이 두르고 있다. 자실층은 갓 표면과 같은 갈색이고 관공은 주름상의 톱니 모양으로 미로를 이룬다. 내한성이 좋은 한해살이 배착성 버섯으로 반전하여 흰색-크림색-갈색의 갓을 형성한다. 자실층 표면은 수많은 구멍과 찢어진 미로 모양의 그물 구멍이 촘촘하다. 연중 주로 활엽수, 드물게 낙엽송 등 침엽수 부후목에서 무리지어 난다.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2023. 09. 23. 지리산 ● 너도송편버섯(갈색살송편버섯) Trametopsis cervina | deer-colored tramete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너도송편버섯속 자실체는 어릴 때 완전한 백색, 길이 4~5cm, 폭.. 2023. 12. 7. 너도송편버섯(갈색살송편버섯) Trametopsis cervina 나란히 이어진 갈색의 갓이 얼핏 송곳니기계충을 연상시킨다. 갓을 들치니 놀랍게도 드넓게 펼쳐진 아름다운 관공 자실층이 나타난다. 너도 송편버섯! 내한성이 좋은 한해살이 배착성 버섯으로 반전하여 흰색-크림색-갈색의 갓을 형성한다. 자실층 표면은 수많은 구멍과 찢어진 미로 모양의 그물 구멍이 촘촘하다. 연중 주로 활엽수, 드물게 낙엽송 등 침엽수 부후목에서 무리지어 난다. 식용으로 부적합하다. 2023. 09. 21. 서울 ● 너도송편버섯(갈색살송편버섯) Trametopsis cervina | deer-colored tramete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너도송편버섯속자실체는 어릴 때 완전한 백색, 길이 4~5cm, 폭 1cm, 두께 0.2~0.5cm로 광택이 나고 섬유상이며.. 2023. 11. 21. 보라털방석버섯=종이유색고약버섯 Phlebiopsis crassa 배착성 버섯으로 기주 표면에 밀착하여 자라는데 갓이 없는 경우가 흔하다. 갓은 선반 또는 반원형 모양으로 담황색~갈색 가는 섬모로 덮여 있다. 자실층은 평활~결절형으로 보라색이며 건조하면 옅은 회갈색이 되고 갈라진다. 부생성 버섯으로 활엽수 고사목의 가지나 줄기에서 주로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는 배착 버섯이다. 2023. 09. 17. 서울 ● 보라털방석버섯(종이유색고약버섯) Phlebiopsis crassa | purple crust fungus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좀아교고약버섯속 목재부후균으로 자실체는 배착성이며 두께 1mm까지 자란다. 자실체 조직은 납질이다. 자실층은 보라색을 띠다가 점차 붉은 갈색으로 변한다. 건조하면 갈라지기 시작하며, 미세.. 2023. 11. 5. 끈유색고약버섯(끈뿌리고약버섯) Rhizochaete filamentosa(Phanerochaete filamentosa) 그루터기 아래 흙벽에 방석처럼 크림오렌지색과 오렌지갈색의 자실체가 펼쳐지고 유백색 균사체가 잔 가지를 내며 뻗어나가는 배착성 균류를 만난다. 자실층은 밋밋하며 밝은 오렌지색을 띠나 중앙 부위는 흰색 또는 크림색으로 변하고 건조하면 갈라진다. 생명을 다한 뒤에는 말라서 종잇장처럼 흑벽에서 떨어진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주로 활엽수, 드물게는 죽은 침엽수 목재의 껍질이나 목질 위에 난다. 2023. 08. 01. 서울 2023. 10. 27. 위 버섯의 종잇장처럼 변화된 노균 ● 끈유색고약버섯 Phanerochaete filamentosa ↘ 구멍장이버섯목 유색고약버섯과 유색고약버섯속 자실체는 배착생. 기질에 다소 느슨하게 부착하며 0.5mm 정도 두께의 막편이 수~수십 센티미터로.. 2023. 8. 7. 아교구멍버섯 Antrodiella semisupina 송편버섯속 버섯인 줄 알았더니 자실체가 질기지 않느냐며 은빛피켈 님이 고약구멍버섯인 듯하다고 알려 준다. 살이 질긴 아교질이고 갓 표면이 흰색에서 크림색으로 변하고 불분명한 테무늬와 사마귀가 돌출되어 있으며, 관공이 매우 촘촘하고 자실층이 흰색에서 황적갈색으로 변한다. 주로 활엽수 죽은 나무에 나며, 간혹 침엽수에도 난다. 2022. 10. 24. 서울 ● 아교구멍버섯 Antrodiella semisupina ↘ 구멍장이버섯목 바늘버섯과(유색고약버섯과) 아교구멍버섯속 갓은 2~5cm로 때로 배착하며 갓은 부채꼴∼조개껍질형으로, 갓 표면이 흰색에서 크림색으로 변하고 평활하나 불분명한 테무늬와 사마귀가 돌출되어 있으며, 가장자리는 얇고 물결모양으로 굴곡된다. 살은 질긴 아교질로 관공은.. 2022. 10.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