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종4

영서 내륙 최고 고찰, 홍천 공작산 수타사(壽陀寺) 원대리 자작나무숲 트레킹을 마치고 홍천 공작산 수타사로 향한다. 공작산(887m)은 산세가 공작이 날개를 펼친 듯한 데서 유래한 이름으로 봄 철쭉, 가을 단풍이 매우 아름답고 너럭바위와 커다란 소(沼), 기암절벽들이 비경을 이루고 있는 12km 길이의 수타사 계곡으로 유명하다.  남은 시간이 많지 않아 수타사 경내를 돌아본 다음 산소길과 수타사 계곡 일부만 걸어보기로 한다.     2024. 11. 16.  홍천   수타사 입구 상가    일제 말기 줄기마다 송진 채취의 커다란 상처가 그대로 남아 있는 아름드리 솔숲   오른쪽으로 수타산 계곡, 잘 여문 늦가을 냇물이 서늘하게 흐르고 있다.     입구에는 홍천 출신 세조비, 정희왕후에 대한 만화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 정희왕후 윤씨(貞熹王后 .. 2024. 11. 25.
창릉과 소나무 서오릉을 산책하다 창릉(昌陵) 앞의 소나무들이 아름다워 사진을 담아 보았다.  창릉은 조선 제 8대 임금인 예종과 그의 부인 안순왕후의 능이다. 서오릉에 조성된 최초의 왕릉이다.(예종의 형 덕종의 무덤이 먼저 들어서기는 했지만 왕릉이 아닌 당시는 세자의 무덤이었다) 예종은 1468년 부왕 세조가 승하하자 19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올랐지만 불과 1년을 겨우 넘긴 13개월만에 승하하였다. 1453년 계유정난을 통해 어린 조카 단종을 제거하고 즉위한 세조, 하지만 1457년 의경세자(덕종 추존)는 20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그 아우 예종도 왕위에 오르자마자 똑 같이 20세의 나이로 요절하고 만다. 단종의 원혼이 두 아들을 거두어간 것이 아닐까 싶다.    2024. 11. 03.  고양 서오릉  입구에서 보.. 2024. 11. 17.
고양 서오릉, 숙종 · 인현왕후 · 장희빈을 만나다 가을이 깊어가는 10월 하순 고양 서오릉을 찾는다. 하늘은 투명하게 높고 푸르고, 흰 구름은 두둥실 여유롭다.  서오릉은 한양 도성의 서쪽에 있는 5릉으로 각각 경릉(敬陵), 창릉(昌陵), 명릉(明陵),익릉(翼陵), 홍릉(弘陵)을 가리킨다. 5릉 외에도 순창원(順昌園), 수경원(綏慶園)의 2원, 대빈묘(大嬪墓)의 1묘가 더 있다. 이곳에는 숙종과 그의 왕비였던 네 여인이 잠들고 있으니 서오릉은 가히 숙종 부부의 묘역이라 할 만하다.     ● 명릉(明陵) :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인원왕후의 능  오른쪽 쌍릉이 19대 임금인 숙종과 둘째 왕비인 인현왕후 민씨의 능, 왼쪽 단릉은 정비인 인원왕후의 능이다.  인현왕후는 숙종보다 한참 먼저 세상을 떠났고, 후에 숙종도 60세를 일기로 승하하면서 그녀 옆에 묻.. 2022. 10. 27.
전주 여행 (7) 조경묘(전주이씨 시조묘), 전주사고, 예종대왕 태실 전주객사에서 나와 충경로 사거리에서 풍남문 방향으로 얼마간 걷다보니 '한국집'이란 식당이 나온다. 거기서 골목으로 들어서니 그곳에서 경기전 뒤편 후원으로 통하는 문이 있어 들어선다. 바로 넓은 경기전 돌담길이 환하게 펼쳐지는데 담장 안으로 경기전 부속채 건물들 뒷모습이 시야를 채운다. 멀리 남쪽으로 전동성당의 첨탑도 보인다. 담장 너머로 제수 음식을 만드는 조병청과 제사를 관장하는 업무실인 전사청, 그리고 방앗간이 옹청(오른쪽)이 보인다. 가운데 문 너머로 어정과 제각인 동재, 서재가 어렴풋... 경기전 뒷모습이다. 정전과 잇달린 익헌의 지붕 윤곽이 드러난다. 후원에는 건물을 짓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것이 아마도 11월에 개관한 어진(御眞) 박물관인 모양이다. ■ 전주 이씨 시조묘 조선 왕조 그리.. 2010.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