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송편버섯속29

간송편버섯 Trametes coccinea = (진홍색)간버섯 Pycnoporus coccineus '간버섯' 또는 '진홍색간버섯'으로 불리던 버섯으로 간버섯속(Pycnoporus coccineus)에서 송편버섯속으로 재배치되면서 '간송편버섯'이라 불리게 되었다. 관공이 작아서 육안으로 잘 안 보이지만 비슷한 주걱간버섯(Trametes cinnabarina)은 관공이 몇 배로 커서 육안으로 보인다.  죽은 나무에서 자란 균사는 진한 담홍색을 띤다. 침엽수와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가지에 무리지어 발생하며 목재를 썩힌다.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북미남동부, 라틴아메리카, 오세아니아, 하와이, 아프리카 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3. 10. 28.  서울         ● 간송편버섯 Trametes coccinea | southern cinnabar polypore, scarlet Bracket  ↘.. 2024. 12. 14.
세포 증식 촉진하는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현사시나무 재목 단면에 발생한 버섯이다. 자루 없이 두꺼운 선반 모양으로 자라며, 표면은 벨벳처럼 부드럽고 순백색~황갈색을 띠고, 살은 코르크질이며 자실층은 둥근 구멍이 촘촘하다.  종명 suaveolens는 '달콤한 냄새가 나는(sweet-smelling)'이라는 뜻으로 아니스 향이 나는 이 버섯의 특징을 반영한 이름이다. 그래서 북한 이름은 '흰색향조개버섯', 영어 이름은 'fragrant bracket(향기로운 버섯)'이다.  봄~가을 버드나무나 사시나무 등 죽은 활엽수에 무리로 또는 하나씩 자라며 나무를 흰색으로 부패시키는 백색 부후균이다. 향기는 좋으나 식용은 부적합하며 약용 버섯으로서의 가능성이 크다. 자주색 천연 염료로 활용된다.     2023. 10. 27.  서울      2023. 1.. 2024. 12. 13.
토끼털송편버섯 Trametes trogii 은사시나무 재목 지면 가까운 부분에 배착성으로 넓은 자실체가 발생하고 위쪽으로 거센털로 덮인 좁고 긴 크림색-회갈색 갓이 형성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이전에 보았던 토끼털송편버섯에 비해 배착성이 훨씬 강하고 갓의 회갈색 털이 부드러운 느낌이 들지만 토끼털송편버섯의 특징을 잘 갖춘 것으로 보인다. 이런 특징을 가진 이미지는 유럽 쪽에서 확인된다 (gbif.org/4881885615 gbif.org/4974561115). 국내 기재문에서 배착성에 대한 기록은 없고 '내린주름살형으로 부착'한다 정도로만 기록하고 있다.  봄~겨울 대부분 사시나무속 나무에서 발생되며, 버드나무, 단풍나무, 자작나무, 참나무 등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유라시아, 북미, 남미의 온대~냉대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2024. 10... 2024. 11. 18.
세포증식 촉진하는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현사시나무 재목 단면에 발생한 버섯이다. 자루 없이 두꺼운 선반 모양으로 자라며, 표면은 벨벳처럼 부드럽고 순백색~황갈색을 띠고, 살은 코르크질이며 자실층은 둥근 구멍이 촘촘하다.  종명 suaveolens는 '달콤한 냄새가 나는(sweet-smelling)'이라는 뜻으로 아니스 향이 나는 이 버섯의 특징을 반영한 이름이다. 그래서 북한 이름은 '흰색향조개버섯', 영어 이름은 'fragrant bracket(향기로운 버섯)'이다.  봄~가을 버드나무나 사시나무 등 죽은 활엽수에 무리로 또는 하나씩 자라며 나무를 흰색으로 부패시키는 백색 부후균이다. 향기는 좋으나 식용은 부적합하며 약용 버섯으로서의 가능성이 크다. 자주색 천연 염료로 활용된다.     2024. 09. 10.  서울      2024. 1.. 2024. 9. 29.
주걱송편버섯(Trametes cinnabarina) = 주걱간버섯 Pycnoporus cinnabarinus 길가에 떨어진 나뭇가지에 발생한 아주 작은 버섯. 그런데 멀리에서도 관공이 뚜렷이 보일 정도로 아주 크다. 주변에 상태가 좋은 같은 버섯이 있지 않을까 둘러 보았지만 나무가 별로 없는 길가인지라 더 찾지는 못한다. 관공이 미세하여 육안 관찰이 어려운 간송편버섯(Trametes coccinea=Pycnoporus coccineus)과는 다른 주걱간버섯(Trametes cinnabarina=Pycnoporus cinnabarinus)으로 보여, 다소 부실하지만 흔치 않은 자료라 일단 기록해 두기로 한다.  아주 드물게 관찰되는 종이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한다. 간버섯속에서 송편버섯속으로 이동되었다.    2024. 09. 05.  홍천 미약골      ● 주걱간버섯 Pycnoporus cinnabarinus.. 2024. 9. 24.
녹황색송편버섯(돌기가죽질구름버섯) Trametes strumosa(Coriolopsis strumosa) 갓은 소형으로 반원~조개껍질 모양이고 표면은 황록갈색으로 매끄럽고 테 무늬가 있으며 가장자리는 흰색이다. 살은 가죽질이며 관공은 흰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해가며 원형~다각형으로 밀도는 매우 촘촘하며 상처 시 암갈색으로 변한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구멍장이버섯과 가죽질구름버섯속(Coriolopsis)으로 '돌기가죽질구름버섯'으로 기록하고 있다. 송편버섯속(Trametes)으로 이속되었다.  여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나뭇 가지 위에 발생한다. 한국, 일본, 호주 동부, 북미 동부와 남부, 아프리카 중남부에 분포한다.    2024. 08. 22.  서울      ● 녹황색송편버섯 Trametes strumosa  ↘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갓은 지름 3~5㎝정도로 반원모양 내지는.. 2024. 9. 8.
메꽃송편버섯(메꽃버섯부치) Trametes vernicipes(Microporus vernicipes) 한여름 백운산, 무더위에 지친즛 버섯조차 거의 보이지않는데 등산로 계단 주변에 메꽃송편버섯만이 떨어진 가지마다 꽃처럼 무리지어 발생하였다.  부채꼴-반원형 형태의 갓 표면은 황백색-크림갈색으로 희미한 고리 무늬가 있고 짧은 자루는 측생 또는 중심생으로 기주에 넓게 확장되어 붙어 있다. 자실층은 황백색-크림색으로 관공은 아주 미세하여 잘 보이지 않는다.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북한 이름은 '반들부채버섯'이다. 활엽수 죽은 나무 또는 넘어진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우리나라와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열대아프리카에 분포하는 남방계 버섯이다.    2024. 08. 09.  화순 백운산           ● 메꽃송편버섯 Trametes vernicipe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균.. 2024. 8. 28.
메꽃버섯부치(메꽃송편버섯) Trametes vernicipes(Microporus vernicipes) 부채꼴-반원형 형태의 갓 표면은 황백색-크림갈색으로 희미한 고리 무늬가 있고 짧은 자루는 측생 또는 중심생으로 기주에 넓게 확장되어 붙어 있다. 자실층은 황백색-크림색으로 관공은 아주 미세하여 잘 보이지 않는다.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북한 이름은 '반들부채버섯'이다.  활엽수 죽은 나무 또는 넘어진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우리나라와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열대아프리카에 분포하는 남방계 버섯이다.    2024. 07. 31.  경기 구리    2024. 08. 29.  경기 구리     2024. 10. 02.  경기 구리     ● 메꽃송편버섯 Trametes vernicipe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균모는 2~6x1~3cm 크기로 콩팥형-반원형, 단단한 가죽질로 옆에.. 2024. 8. 17.
갈색털송편버섯(갈색구름버섯) Trametes polyzona 살아있는 이팝나무 수피에 층층이 착생하였다. 갈색털송편버섯은 흰구름송편버섯과 이미지가 아주 유사하다. 우리나라에서는 흔치 않은 탓인지 버섯 관련 도감이나 백과사전에 다루어진 기재문이 잘 보이지 않는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송편버섯속으로 분류된 '갈색구름버섯'이라는 국명과 학명만 있을 뿐 기재문이 없다. 네이버 카페 '한국야생버섯분류회'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봄~가을 활엽수 죽은 나무 줄기나 가지에 겹쳐서 발생하며 목재의 백색부패를 일으킨다. 식독 여부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국, 일본에 드물게 관찰되며 동남아시아, 파푸아뉴기니, 호주, 라틴아메리카, 아프리카 중남부 등 주로 남반구에 분포한다.    2024. 07. 01.  서울       ● 갈색털송편버섯 Trametes polyzona  ↘  구멍.. 2024. 7. 5.
시루송편버섯 Trametes orientalis 이름처럼 흰 시루떡 모양으로 생긴 두툼한 송편버섯이다. 흔하다고 하기 어려운 버섯으로 전체 모양은 조개껍질 모양으로 표면은 회색이나 회백색으로 가루 털이 있고 뚜렷하지 않은 고리 무늬가 있다. 살은 희고 코르크질로 단단하며 아랫면은 흰 관공이 촘촘하지만 알맞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참고 : Trametes orientalis (gbif.org) ) 북한 이름은 '재빛조개버섯'이다. 활엽수의 죽은 나무껍질에 무리를 지어 옆으로 달라붙어 자란다.      2023. 10. 10.  서울      2023. 10. 12.  경기구리     ● 시루송편버섯 Trametes orientali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 2024. 2. 22.
메꽃송편버섯(메꽃버섯부치) Trametes vernicipes(Microporus vernicipes) 남방계 버섯이라는데 경기도에서도 종종 발견되니 신기한 일이다.  부채꼴-반원형 형태의 갓 표면은 황백색-크림갈색으로 희미한 고리 무늬가 있고 짧은 자루는 측생 또는 중심생으로 기주에 넓게 확장되어 붙어 있다. 자실층은 황백색-크림색으로 관공은 아주 미세하여 잘 보이지 않는다. 비슷한 부채메꽃버섯(Microporus affinis) 표면은 적갈색, 자갈색, 흑갈색 등 색깔이 짙고 고리 무늬는 폭이 좁다.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북한 이름은 '반들부채버섯'이다. 활엽수 죽은 나무 또는 넘어진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우리나라와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열대아프리카에 분포하는 남방계 버섯이다.    2023. 10. 09.  남한산성       ● 메꽃송편버섯 Trametes vernicipes  ↘  .. 2024. 2. 20.
송편버섯 Trametes suaveolens, 달콤한 아니스 향 죽은 활엽수에 자루 없이 두꺼운 선반 모양으로 자란다. 표면은 벨벳처럼 부드럽고 순백색~황갈색을 띠며, 살은 코르크질이며 자실층은 둥근 구멍이 촘촘하다. 종명 suaveolens는 '달콤한 냄새가 나는(sweet-smelling)'이라는 뜻으로 아니스 향이 나는 이 버섯의 특징을 반영한 이름이다. 그래서 북한 이름은 '흰색향조개버섯', 영어 이름은 'Fragrant bracket(향기로운 버섯)'이다.  봄~가을 버드나무나 사시나무 등 죽은 활엽수에 무리로 또는 하나씩 자라며 나무를 흰색으로 부패시키는 백색 부후균이다. 향기는 좋으나 맛은 없으며 약용할 수 있다. 자주색 천연 염료로 활용된다.    2023. 09. 25.  서울   2024. 04. 02.  위와 같은 장소      ● 송편버섯 Tra.. 2023. 12. 18.
흰구름송편버섯 Trametes hirsuta 살아 있는 이팝나무 줄기 밑동의 수피에 발생하였다. 갓은 반원형 또는 조개껍질형으로 옅은 황갈색이 도는 흰색이고 부드러운 솜털이 있으며 자실층은 관공형으로 흰색-회갈색이다. 목재 부생성 버섯으로 여름~가을 죽은 두릅나무나 참나무 등 활엽수의 고사목 줄기나 가지에서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3. 09. 24. 서울 ● 흰구름송편버섯 Trametes hirsuta | hairy bracket, hairy turkey tail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자실체는 일년생에서 다년생이고, 좌생하거나 반전하여 갓을 형성한다. 갓은 반원형에서 부채꼴이고 길이 7cm에 이르며 기질에서 5cm 정도 돌출한다. 갓의 표면은 흰색에서 옅은 황토색이며 부드러운 솜털이 있다. 동심원 모양의.. 2023. 12. 12.
메꽃송편버섯(메꽃버섯부치) Trametes vernicipes(Microporus vernicipes) 부채꼴-반원형 형태의 갓 표면은 황백색-크림갈색으로 희미한 고리 무늬가 있고 짧은 자루는 측생 또는 중심생으로 기주에 넓게 확장되어 붙어 있다. 자실층은 황백색-크림색으로 관공은 아주 미세하여 잘 보이지 않는다. 비슷한 부채메꽃버섯(Microporus affinis) 표면은 적갈색, 자갈색, 흑갈색 등 색깔이 짙고 고리 무늬는 폭이 좁다.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으로 북한 이름은 '반들부채버섯'이다. 활엽수 죽은 나무 또는 넘어진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우리나라와 일본, 동남아시아, 인도 열대아프리카에 분포하는 남방계 버섯이다. 2023. 09. 23. 지리산 독특하게 원형의 갓 중심에 자루가 이어진 형태도 있다 ● 메꽃송편버섯 Trametes vernicipe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 2023. 12. 9.
시루송편버섯 Trametes orientalis 이름처럼 흰 시루떡 모양으로 생긴 두툼한 송편버섯이다. 흔하다고 하기 어려운 버섯으로 전체 모양은 조개껍질 모양으로 표면은 회색이나 회백색으로 가루 털이 있고 뚜렷하지 않은 고리 무늬가 있다. 살은 희고 코르크질로 단단하며 아랫면은 흰 관공이 촘촘하지만 알맞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우리나라와 일본, 대만,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참고 : Trametes orientalis (gbif.org) ) 북한 이름은 '재빛조개버섯'이다. 활엽수의 죽은 나무껍질에 무리를 지어 옆으로 달라붙어 자란다.      2023. 09. 17-18.  서울       ● 시루송편버섯 Trametes orientalis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 균모는 자루가 없고 기물에 직.. 2023. 1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