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손등버섯속6

푸른손등버섯 Cyanosporus caesius(Postia caesius) 쌓아놓은 재목의 단면에 발생한 버섯으로 갓 표면에 푸른색 변색이 보이는 점으로 푸른손등버섯으로 추정된다. 기주가 활엽수로 보이는데 침엽수가 일반적이지만 활엽수에도 발생한다고 한다. 조직은 부드러운데 건조하면 무른 코르크질로 변한다. 성숙 후 자실체가 청색을 띠는 것은 포자 색깔 때문이다.  보통 침엽수, 드물게 활엽수의 죽은 나무나 용재에 발생한다. 한국, 일본, 유럽, 북미, 러시아, 호주 등에 분포한다.     2024. 10. 26.  서울          ● 푸른손등버섯 Cyanosporus caesius | blue cheese polypore, conifer blueing bracket  ↘  구멍장이버섯과 손등버섯속 자실체는 폭 1~6cm 굵기 0.5~2cm, 두께 0.5~2cm로 반원형이면.. 2024. 11. 13.
고랑손등버섯(고랑귓등버섯) Postia ptychogaster(Ptychogaster albus) 앞산 고갯길로 내려서는데 리기다소나무 재목 더미에 솜털 뭉치와 같은 독특한 모양의 균류를 만난다. 작년에도 두 번 만난 적이 있는 고랑손등버섯과 유사해 보이는데 솜털 모양이 유난하게 큰데, 외국 자료에서 이런 모습을 담은 사진도 확인된다. (gbif.org/4438778200) 국내에서는 조덕현 도감에서만 기록이 보이는데 '고랑귓등버섯'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다. 속명이 '손등버섯'으로 바뀜에 따라 '고랑손등버섯'으로 표기한다. 침엽수 그루터기와 재목에 달리는 모양이 가루 쿠션과 비슷해 영명은 powderpuff bracket이다. 이명은 Ptychogaster albus. 성장 주기에서 이 모습은 후막포자(chlamydospore) 덩어리이다.  연중 죽은 침엽수에서 발생하는 갈색부후균이다.    202.. 2024. 8. 13.
겹친손등버섯(Postia balsamea) ? 등산로 침엽수로만든 방벽에서 발생한 버섯이다. 활엽수를 기주로 발생하는 아교구멍버섯은 아닌 듯... 겹친손등버섯(Postia balsamea)과 모양과 발생 환경이 유사하다. 2023. 09. 18. 서울 ● 겹친손등버섯 Postia balsamea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손등버섯속 자실체는 반배착생. 균모는 반원형, 폭 2~5cm, 두께 2~5mm 정도의 소형. 다수가 중첩되어 층상을 이룬다. 표면은 백색이나 점차 백갈색-담갈색이 된다. 방사상의 섬유 무늬가 있다. 살은 약간 강인한 육질. 하면의 관공은 백색-탁한 황색, 길이 2~3mm. 구멍은 5~6개/mm, 벽이 얇고 이빨 모양이며 찢어지기 쉽다. 포자는 3~6×2~3μm, 난형-원주형, 작은 돌기가 있으며, 표면이 매끈하고 투명하다. -.. 2023. 11. 11.
점박이손등버섯 Postia guttulata 등산로 옆 방벽으로 쓴 리기다소나무 옹이에 발생한 독특한 모양의 부착 버섯, 버섯 전문 카페에서도 이름을 알아내지 못하다 손등버섯속을 공부하다 답을 찾는다.  흰 자실체는 구멍상이고 편평한 반원형 갓을 형성하는데, 독특한 모양이 되기도 한다. 생육기에 이처럼 표면에 물방울이 생긴다. 자실체는 흰색~크림색이고 섬유상 육질이나 건조하면 가볍고 부서지기 쉬운 코르크질로 표면은 구멍상이며 오래되면 구멍벽이 갈라져 구멍 입구는 톱니 모양이 된다.  연중 침엽수 심재에 침입해서 갈색부후를 일으킨다.    2023. 08. 02, 04.  서울       ● 점박이손등버섯 Postia guttulata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손등버섯속 자실체 형태는 좌생, 반전성, 또는 착생, 갓은 반원형 내지 부채꼴, .. 2023. 8. 10.
고랑손등버섯(고랑귓등버섯) Postia ptychogaster 산책로 언덕 리기다소나무 방벽에 발생한 독특한 형태의 균류. 솜털로 덮인 독특한 모양의 버섯 정체를 잘 몰라 처음에는 코르크흰구멍버섯의 유균인가 추정해 보기도 했는데, 많은 검색 끝에 결국 손등버섯속 버섯 Postia ptychogaster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국내에서는 조덕현 도감에서만 '고랑귓등버섯'이라는 국명을 쓰고 있는데, 속명이 '손등버섯'으로 바뀜에 따라 '고랑손등버섯'으로 표기한다.  침엽수 그루터기와 재목에 달리는 모양이 가루 쿠션과 비슷해 영명은 powderpuff bracket이다. 성장 주기에서 이 모습은 후막포자(chlamydospore) 덩어리이다.  연중 죽은 침엽수에서 발생하는 갈색부후균이다.    2023. 08. 02.  서울      ● 고랑귓등버섯 Postia ptyc.. 2023. 8. 8.
고랑손등버섯(고랑귓등버섯) Postia ptychogaster(Ptychogaster albus) 연일 내리는 비가 그치고 오랜만에 햇살이 비치는 날, 등산로 옆 리기다소나무 방벽에 솜털로 덮힌 독특한 모양의 버섯이 부착되어 발생한 것을 만난다. 처음으로 마나는 이 버섯 이름을 찾는 데 많은 시간이 걸렸다. 침엽수 그루터기와 재목에 달리는 모양이 가루 쿠션과 비슷해 영명은 powderpuff bracket이다. 성장 주기에서 이 모습은 후막포자(chlamydospore) 덩어리이다.  연중 죽은 침엽수에서 발생하는 갈색부후균이다.    2023. 08. 01.  서울       ● 고랑귓등버섯 Postia ptychogaster | powderpuff bracket ↘  구멍장이버섯목 잔나비버섯과 손등버섯속 자실체는 불완전 단계로 연중, 기주에 배착생이다. 신선할 때 유연하고 건조 시에 부서지기 쉽다.. 2023.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