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비고사리과3

바위고사리 Odontosoria chinensis 전남, 경남, 제주도 산기슭 바위틈이나 바닷가의 풀밭에서 여러해살이풀로 자라는 상록성 양치식물이다. 국내에 분포하는 근연종인 비고사리에 비해 잎이 3~4회 깃꼴로 갈라지고, 열편의 폭이 좁고 쐐기 모양이며, 포자낭군은 잎맥 끝에 1~2개씩 나므로 다르다.  타이완, 인도, 일본, 중국, 남아시아, 폴리네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2017. 01. 13.  제주도        ● 바위고사리 Odontosoria chinensis  ↘  고사리강 고사리목 비고사리과 바위고사리속 뿌리줄기는 짧고 털 같은 갈색 비늘조각이 있다. 잎은 모여나며, 황록색이고 잎자루는 길이 10~40cm이다. 잎몸은 길이 20~60cm, 폭 5~20cm,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3~4회 깃꼴로 갈라진다. 열편은 쐐기 모양이고 다소 .. 2017. 3. 13.
암공작고사리 Adiantum capillis-junonis 석회암지역에 분포하며 습기가 있는 바위 밑이나 담 또는 벽 틈에서 자란다. 자생지 및 개체수가 매우 적다. 중부 이북, 강원도 삼척, 정선에 자생하며 일본, 중국, 몽골, 대만에도  분포한다.    2013. 11. 23.  정선        ● 암공작고사리 Adiantum capillis-junonis  ↘  고사리목 비고사리과 공작고사리속 여러해살이 양치식물털이 없고 식물체가 나약하다. 근경은 짧고 끝에서 잎이 모여나기하며 마른 엽병이 남아 있다. 엽병은 길이 1-7㎝, 지름 0.3-0.5mm로서 흑자갈색의 윤채가 있고 밑에 비늘조각이 있다. 엽신은 길이 6-20㎝, 나비2-3㎝로서 1회우상복엽이며 엽축은 매우 가늘고 자갈색이며 끝부분이 길게 자라서 새싹이 생기기도 함. 우편은 거의 둥글고 지름 7-.. 2014. 12. 2.
바위고사리 Sphenomeris chusana 남쪽 섬의 산기슭이나 바위 틈에서 자라는 비고사리과의 상록초본으로서 비고사리에 비해 잎이 3~4회 우상으로 째지고 열편의 폭이 좁으며 쐐기모양인 점이 다르다. 이끼고사리라고도 한다. 양지쪽 건조한 땅에서 자란다. 한국 및 아시아의 동부·남부의 난대와 열대지방, 마다가스카르.. 2010.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