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봉황이끼속3

주목봉황이끼 Fissidens taxifolius | 봉황이끼속 자생종 주목봉황이끼인지, 작은봉황이끼인지 동정이 쉽지 않다.  작은봉황이끼는 잎맥이 잎끝까지 있지 않은 데 비해, 주목봉황이끼는 잎맥이 잎끝에서 짧게 돌출하는 점으로 구별된다고 한다.     2017. 089. 17.  남한산성         뽑아보니 전초가 훨씬 길어 보인다.         ● 주목봉황이끼 Fissidens taxifolius  ↘  꼬리이끼목 봉황이끼과 봉황이끼속식물체는 녹색~진한 녹색이다. 줄기는 길이 5~15mm이고 작은 편이며 가지는 기부에서 갈라지는 것이 많다. 잎은 7~15쌍이며 길이 1.5~2.2mm이고 장타원형~혀 모양이다. 잎끝은 둔하거나 약간 둥글며 잎맥은 뚜렷하고 잎끝을 지나 짧게 돌출한다. 가장자리에는 돌기상 미세한 치돌기가 있다. 암수딴그루이지만 간혹 암수한그루도 있다... 2017. 9. 27.
벼슬봉황이끼 Fissidens cristatus 벼슬봉황이끼는 주목봉황이끼에 비해 큰 편이며 잎 끝 가장자리에 벼슬 같은 뚜렷한 치돌기가 있는 점이 특징이다. 전국 각지에 분포하는 비교적 흔하게 자생하는 종이다. 천마산 ● 벼슬봉황이끼 Fissidens cristatus / 꼬리이끼목 봉황이끼과 봉황이끼속 줄기는 길이가 1~2cm이며 가지가 갈라지는 수도 있다. 잎은 15쌍 정도이며 줄기 밑 부분의 잎은 작고 마른 잎은 말린다. 잎은 혀모양 피침형이며 길이가 2.5~3.5mm이고 나비는 0.3~0.5mm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끝과 가장자리에는 비교적 큰 겹톱니가 있어 닭벼슬을 연상시키며 전체적으로 1층의 세포 두께로 되어 있고, 잎 가장자리에는 3~4줄로 된 매끈한 후막 조직들이 있어 뚜렷한 담황색 띠를 만들고 있다. 잎맥은 발달하여 잎 끝까지 도달한.. 2011. 3. 23.
봉황이끼 Fissidens nobilis 남한산성 ● 봉황이끼 Fissidens nobilis / 봉황이끼과 봉황이끼속(Fissidens) 잎은 줄기에 2줄로 붙어 있으며 납작하다. 잎에 있는 복편은 아래쪽 잎부분의 1/2이 두 갈래로 갈라져서 줄기를 싸고 있다. 삭치는 끝이 2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밑부분은 적등색인데 습기가 있으면 안으로 굽어지고, 마.. 2007. 3.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