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합속19 땅나리 Lilium callosum 고개 숙여 땅을 보고 꽃을 피우는 땅나리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과 들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종소명 callosum은 꽃에 '자색 반점이 있다(callosus)'는 뜻을 나타낸다. 영명은 '줄기가 가는 백합'이란 뜻의 Slimstem Lily이다. 오전에는 꽃봉오리가 뭉쳐 있다가 오후가 되면서 꽃잎이 뒤로 올라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으며, 다른 백합과 종류에 비해 꽃이 작기 때문에 쉽게 구분이 가능한 종이다. 산야지에 넓게 퍼져 자라나 집단성이 없으며, 개발로 인한 자생지 훼손이 심각하여 취약종으로 분류되고 있다. ● 땅나리 Lilium callosum | Slim-stem lily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100cm이다. 비늘줄기는 둥글거나 공 .. 2011. 8. 26.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말나리와 달리 꽃이 하늘을 향해 피어 있는 나리, 하늘나리와는 달리 잎이 돌려나기 하고 있는 나리이다.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풀로 말나리가 고산지에 자라는 데 비해 하늘말나리는 비교적 낮은 산지에서 자란다. 중국에도 분포한다. 2011. 07. 20. 천마산 남한산성 ● 하늘말나리 Lilium tsingtauense ↘ 백합강 백합과 백합속 여러해살이풀줄기는 곧게 서며 거의 털이 없고 높이 1m 정도이다. 비늘줄기는 지름 2∼3cm이고 달걀 모양 구형이며, 비늘조각에 환절(環節)이 없다. 잎은 돌려나거나 어긋나고, 돌려난 잎은 6∼12개로 바소꼴 또는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의 타원형이며, 1개씩 어긋난 잎은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꽃은 7∼8월에 노란빛을 띤.. 2011. 7. 29. 섬말나리 Lilium hansonii 자생 나리류 가운데 가장 일찍 개화하는 종이다. 말나리에 비해 꽃이 황색빛이 더 많고 비늘줄기가 조금 더 크다. 종명은 원예 연구가인 Hanson을 기념하여 붙여졌다고 한다. 울릉도 특산식물로 알려져 있지만 묘향산과 원산, 무산령 등지와 만주 길림성, 아무르,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관상용으로 건너간 것이 귀화하여 널리 자란다. ● 섬말나리 Lilium hansonii | Hanson's lily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 여러해살이풀 몇 층의 윤생엽과 작은 호생엽이 달린다. 윤생엽은 6-10개씩 달리고 길이 10-18cm, 폭 2-4cm로서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호생엽은 윤생엽과 비슷한 크기와 모양에서 점점 작아져 윗부분의 포와 연결된다. 원줄기는 높이 50-100cm이다. 인경은 난.. 2008. 7. 4. 땅나리 Lilium callosum 땅만 바라보고 피는 나리라서 땅나리라 한다. 꽃색이 주황에서도 좀더 붉은 빛인데, 참나리와 중나리처럼 검은 무늬 점들이 거의 보이지 않아 깔끔해 보이는 꽃이다. 줄기가 가늘고 꽃송이도 다른 나리꽃들에 비해 작다. ● 땅나리 Lilium callosum | Slim-stem lily / 백합목 백합과 백합속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30∼100cm이다. 비늘줄기는 둥글거나 공 모양으로서 연한 노란빛을 띤 흰색이고 지름 1.5∼3cm이다. 비늘조각은 적고 털이 없다. 줄기는 곧게 서고 잎은 어긋나고 붙어나며 줄 모양이다. 길이 5∼10cm, 나비 3∼6mm로서 양 끝이 좁아지고 끝은 뭉툭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잎자루가 없고 양 면에 털이 없다. 꽃은 7월에 노란빛이 섞인 붉은색 또는 짙은 붉은색으로 피는데, .. 2007. 7. 16.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