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바랭이새속3 나도바랭이새 Microstegium vimineum 줄기 높이 40~8cm 정도이고 가늘고 약하며 밑부분은 옆으로 눕고 가지를 많이 치며 무리로 자라는 것처럼 보인다. 가을에 접어들며 줄기 끝에 보통 가지가 1~3개 정도로 꽃이 핀다. 민바랭이새(M. japonicum)에 비해 잎은 선형 또는 넓은 선형이며, 무병소수와 유병소수가 있다. 숲속, 산길 주변 그늘진 습한 풀숲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국립생물자원관에서는 여러해살이풀로 기록하고 있다.) 동북아시아, 남아시아, 카프카즈, 북미 동남부 등에 분포한다. 2024. 10. 08. 서울 2024. 09. 29. 서울 ● 나도바랭이새 Microstegium vimineum | Asian stiltgrass, Nepalese browntop, packing grass ↘ 백합강.. 2024. 10. 22. 큰듬성이삭새 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큰듬성이삭새는 나도바랭이새(Microstegium vimineum)의 변종으로 나도바랭이새와 달리 까락이 있다. 국생정 도감에서는 "까락이 길이 1.5cm이다."라고 기재하고 있는데 까락의 길이가 소수의 길이와 비슷한 정도로 훨씬 짧다. 민바랭이새(Microstegium japonicum)에 비해 잎이 좁고, 한 마디에 달린 두 작은이삭 중 하나는 자루가 없으며, 수술이 세 개다. 낮은 산지나 임도 가장자리에 자란다. 2017. 10. 29. 안면도 ● 큰듬성이삭새 Microstegium vimineum var. imberbe ↘ 화본목 벼과 나도바랭이속 한해살이풀 줄기의 기부가 땅 위를 기며 마디에서 뿌리를 내며 가지친다. 잎은 길이 4~10cm, 나비 5~12mm.. 2017. 11. 16. 민바랭이새 Microstegium japonicum 민바랭이새는 나도바랭이새(M. vimineum)에 비해 가늘지만 잎이 넓고, 화서의 가지는 2~6개로 많고 끝이 드리우고 관절편 양 끝에만 털이 있으며 한 마디에 달린 두 작은이삭은 모두 자루가 있고 수술은 두 개인 점으로 구별된다. 남부 지역, 주로 제주도에서 자란다. 2017. 10. 29. 안면도 ● 민바랭이새 Microstegium japonicum | East Asian glabrate browntop ↗ 화본목 벼과 나도바랭이속의 한해살이풀 높이 20-70cm이고 마디에 털이 없으며 가냘프고 밑이 땅을 기다가 윗부분이 곧게 선다. 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7㎝,나비 7-10㎜이며 가장자리는 작은 톱니처럼 꺼칠꺼칠하고 양면에 털이 없거나 짧은 연모가 있고 때로.. 2017. 11.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