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름나물속12

산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 var. deltoideum 작은잎이 기름나물에 비하여 넓고 넓은 달걀모양 또는 삼각형이며, 밑부분으로 흘러 날개처럼 되며 다시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 동북아시아에 분포한다.    2024. 08. 08.  산청      ● 산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 var. deltoideum  ↘  목련강 장미아강 미나리목 미나리과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식물체는 최대 1.4m까지 자란다. 뿌리는 주근이며, 직경 0.5-1cm이다. 지하경은 근생엽의 엽병이 변형된 형태의 여러 섬유로 덮여 있다. 줄기는 직립하며, 속은 비어 있고, 상부에서 분지한다. 표면에는 세로로 홈이 나 있으며, 무모이다. 잎은 우상복엽이며, 근생 및 경생하고, 엽병이 길게 발달한다. 엽초는 대개 녹색이나 간혹 자주색을 띠기도 한다. 근생엽은.. 2024. 8. 25.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 기름나물 자생 10종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점이 가는기름나물과 비슷한데, 가는기름나물에 비해 대체로 소형이다. 덕유산 이남, 전북 동부와 경남 서부, 전남 남부에 5~6곳의 자생지가 좁게 분포한다.     2017. 10. 22.  주작산               ●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  산형화목 미나리괴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0-60cm이고 원줄기는 녹색이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굵고, 깊게 들어가며 선단에 마른 엽병 흔적으로 덮여 있다. 근생엽은 3회 3출복엽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길이 10~18.6cm이며 엽병은 밑부분이 넓어져 원줄기를 감싸고 열편은 넓은 삼각형이며 2회우상 비슷하게 갈라져서 폭 1-2mm의 최종열편으로 된다. 줄기잎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위로.. 2017. 12. 17.
백운기름나물 열매 Peucedanum hakuunense 잎이 코스모스 잎처럼 가늘게 갈라지는 점에서 가는기름나물과 비슷하나 상대적으로 식물체가 소형인 듯하다. 가는기름나물이 북부지방과 강원도 석회암지대에 분포하는 데 비해 덕유산 이남 남부지방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주작산 ●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 산형화목 산형과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0-60cm이고 원줄기는 녹색이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굵고, 깊게 들어가며 선단에 마른 엽병 흔적으로 덮여 있다. 근생엽은 3회 3출복엽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길이 10~18.6cm이며 엽병은 밑부분이 넓어져 원줄기를 감싸고 열편은 넓은 삼각형이며 2회우상 비슷하게 갈라져서 폭 1-2mm의 최종열편으로 된다. 줄기잎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3개로 갈라진.. 2017. 12. 17.
백운기름나물 잎이 코스모스 잎처럼 가늘게 갈라지는 점에서 가는기름나물과 비슷하나 상대적으로 식물체가 소형인 듯하다. 가는기름나물이 북부지방과 강원도 석회암지대에 분포하는 데 비해 덕유산 이남 남부지방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주작산 ●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 산형화목 산형과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40-60cm이고 원줄기는 녹색이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는 굵고, 깊게 들어가며 선단에 마른 엽병 흔적으로 덮여 있다. 근생엽은 3회 3출복엽으로서 엽병과 더불어 길이 10~18.6cm이며 엽병은 밑부분이 넓어져 원줄기를 감싸고 열편은 넓은 삼각형이며 2회우상 비슷하게 갈라져서 폭 1-2mm의 최종열편으로 된다. 줄기잎은 근생엽과 비슷하지만 위로 갈수록 작아지고 3개로 갈라진.. 2017. 12. 17.
덕우기름나물 Peucedanum insolens 열매 덕우기름나물은 강릉 임계면 덕우산에서 발견되어 이우철에 의해 명명되었다. 산형과 기름나물속이지만 노루오줌을 연상시키는 잎의 모양이나 어수리처럼 크고 융조가 있는 넓적한 열매 등으로 기름나물을 연상하기는 쉽지 않은 모습을 하고 있다. 꽃대가 따로 자라는 모습도 특이하다. 석병산 ● 덕우기름나물 Peucedanum insolens | Deokwoo hogfennel ↘ 산형화목 산형과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근생엽은 3회 3출 우상복엽으로 크고 넓으나 줄기 위쪽의 잎은 작아지며 분지형과 꽃잎의 모양이 P. cervaria라는 유럽종과 유사하다. 그러나, 소엽은 엷고 작은잎자루가 있으며 분과는 아주 편평해서 미성숙 시에는 완전히 2개로 갈라져서 6개로 빽빽하나 유관은 거의 없고 완숙한 과실에는 융조가 동합하여.. 2017. 10. 5.
산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 var. deltoideum 잎에 반들바늘한 기름기가 있어서 기름나물이라 하는데, 그 중 작은잎이 넓은 변종을 산기름나물이라고 한다. "작은잎이 넓다"는 개념이 참으로 모호한데, 국생정 도감 표본을 보면 잎 형태가 기름나물과 구별하기 어려운 것들이어서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북설악 ● 산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 var. deltoideum | Mountain hogfennel ↘ 산형화목 산형과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0-90cm로서 흔히 홍자색이 돌며 가지가 많다. 잎은 엽병이 있으며 길이 5-10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이회삼출겹잎이다. 소엽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밑부분으로 흘러 날개처럼 되며 다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3-5cm로서 결각과 뾰족한 톱니가.. 2017. 9. 19.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기름나물에 비해 잎이 가늘게 갈라진다. 산지의 돌이 많은 경사지 또는 벼랑 등의 풀숲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경남과 전남의 남쪽 지역(거제, 산청, 백운산, 조계산, 진도) 등에 나며, 러시아, 중국 등에 분포한다.     2016. 11. 19.  해남                 ●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  목련강 미나리목 미나리과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곧으며, 윗부분은 잎자루 아래쪽의 섬유로 덮여 있다. 줄기는 높이 40~60cm,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털이 없고 3회 3출겹잎, 잎자루를 포함한 길이는 10~18cm, 잎자루는 밑부분이 넓어져서 원줄기를 감싼다. 갈라진 잎은 넓은 삼각형, 2회 깃꼴로 갈라지고 폭 1~2mm의 얇은 최종 갈.. 2016. 12. 2.
산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 var. deltoideum 산기름나물은 작은잎이 넓은 기름나물의 변종인데, 기름나물과의 구별이 그리 쉬워 보이지 않는다. 남한산성 ● 산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 var. deltoideum / 산형화목 산형과 기름나물속 높이 30-90cm로서 흔히 홍자색이 돌며 가지가 많다. 잎은 엽병이 있으며 길이 5-10cm로서 끝이 뾰족하.. 2016. 9. 24.
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 열매 기름나물은 열매 표면에 털이 없고 2개의 씨방이 융합되어 있는 단면에 기름선이 8개 있는 데 비해, 갯기름나물은 열매 표면에 털이 나 있으며 2개의 씨방이 융합되어 있는 단면에 기름선이 2개 있가 있으므로 구별된다. 천성산 ● 기름나물 Peucedanum terebinthaceum | Terebinthaceous hogfennel ↘ 산형화목 산형과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높이 30-90cm이고 흔히 홍자색이 돌며 비교적 가지가 많다. 끝부분에 가는 털이 난다. 잎은 엽병이 있으며 길이 5-10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이회삼출겹잎이다. 소엽은 넓은 달걀모양 또는 삼각형이고 밑부분으로 흘러 날개처럼 되며 다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길이 3-5cm로서 결각과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윗부분의 .. 2015. 10. 29.
덕우기름나물 잎과 열매 Peucedanum insolens 강원도 덕우산에서 발견되어 유래한 이름으로 얼핏 잎 모양이 노루오줌을 연상시킨다. 잎과 꽃줄기는 따로 자라나는 것이 특이하며 열매는 기름나물에 비해 더 크고 납작하다. 현재 기름나물속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기름나물과는 다른 점이 많아 같은 속으로 볼 수 있는지 의문이 제기.. 2015. 10. 15.
가는기름나물 Peucedanum elegans 잎이 가늘게 갈라지는 점에서 백운기름나물과 비슷하나 대체로 백운기름나물에 비해 대형이다. 강원도 석회암지대 및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동해 ● 가는기름나물 Peucedanum elegans /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가 90cm에 달하고 줄기에 털이 없다. 근생엽은 엽병이 길며 3회 우상으로 완전.. 2015. 9. 28.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고흥 팔영산에서 만난 기름나물은 코스모스처럼 잎이 가늘게 갈라져 있다. 가늘게 갈라진 기름나물로는 백운기름나물과 가는기름나물이 있는데 백운기름나물 잎이 더 가늘다. 백운기름나물은 백운산에서 발견된 한국 특산종으로 남부지방의 산지와 섬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가는기름나물은 압록강과 백두산 지역에서 자라는 것으로 국생정에 기록되어 있는데 강원도에서 비교적 흔히 발견되고 있다.      2012. 07. 25.  고흥 팔영산          ● 백운기름나물 Peucedanum hakuunense  ↘  미나리과 기름나물속 여러해살이풀 산지의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 40∼60cm이다. 뿌리가 굵고 위 끝은 잎자루의 섬유로 덮이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 달린 잎은 잎자루와 함께 길이 10∼18c.. 2012.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