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골풀속9

별날개골풀 Juncus diastrophanthus 참비녀골풀이나 날개골풀과는 줄기의 날개가 좁고, 꽃들이 모여 달려 별 모양이며, 화피 길이가 안쪽 것이 바깥쪽 것보다 길어서 구분된다. '넓은잎비녀골'이라고도 한다. 중국 이름도 별꽃 모양인 것을 표현한 '성화등심초(星花灯心草)'이다.  우리나라 거의 전역 논, 수로, 하천과 저수지 주변, 산지의 습지 등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일본, 중국 등에 분포한다.     2024. 07. 07.  고양 서삼릉      ● 별날개골풀 Juncus diastrophanthu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골풀목 골풀과 골풀속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모여나고, 높이 15~40cm이며, 땅속줄기는 짧다. 줄기는 약간 납작하고 너비 1.0~2.5mm이며 매우 좁은 날개가 있다. 아래에는 몇 개의 잎이 달리고, 줄기에는 .. 2024. 7. 19.
길골풀 Juncus tenuis 우리나라 전역 길가와 산지의 응달진 풀밭에 자라는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종 내에서 잎집과 꽃차례 모양에 따른 다양한 변이가 나타난다. '풀골'이라고도 하며 줄기 밑부분에 잎이 있는 점에서 비늘잎으로 구성된 다른 골풀속의 종들과 구별된다. 물골풀(J. gracillimus)과 유사하지만, 화피조각의 끝이 뾰족한 점에서 구별된다.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유럽, 북미, 남미, 남아프리카 등에 분포한다.     2024. 06. 04.  서울      ● 길골풀 Juncus tenuis | slender rush, path rush, field rush, poverty rush, wiregrass  ↘  백합강 닭의장풀아강 골풀목 골풀과 골풀속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는 짧고 때로는 옆으로 뻗는다. 줄기.. 2024. 6. 5.
한국산 골풀속(Juncus) 검색표 골풀과 식물로는 세계적으로 모두 7속 300-400종 가량이 알려져 있다. 대부분 초본이지만, 남아프리카에는 관목 모양인 속도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골풀속(Juncus)과 꿩의밥속(Luzula) 2속이 자생하고 있다. 줄기는 곧게 뻗으며 대부분 가지로 나누어지지 않는다. 잎은 대개 줄기 밑부분에 달리고, 꽃은 방사대칭이며 보통 6개의 작은 꽃덮이조각을 가지고 있다. 수술은 6개 또는 3개이며, 꽃덮이조각과 마주난다. 씨방은 상위로, 1-3개의 방을 가지며 암술머리는 3개가 있다. 열매는 삭과로 그 안에는 3개 또는 여러 개의 씨가 있다. ● 해부학적 형질에 근거한 한국산 골풀속의 검색표 1. 뚜렷한 경생엽이 있으며, 단면엽이다(Subgenus Juncus). 2. 삭과의 횡단면은 원형 또는 아삼각형.. 2017. 8. 18.
길골풀 Juncus tenuis 전국 곳곳 응달이나 풀밭에서 흔히 자라는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6~7월에 가장자리가 흰 엷은 풀색의 꽃이 줄기 끝에 핀다. 물골풀에 비해서 화피 끝이 뾰족한 점이 특징이다.     ↓ 황매산 능선길      ● 길골풀 Juncus tenuis  /  골풀과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편평하며 나비 1mm 정도로 원줄기보다 짧다. 뿌리에서 뭉쳐서 나며 높이 30~60cm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서 갈라진 여러 개의 가지에 작은 담녹색 꽃이 모여 핀다. 꽃차례 밑부분에 고르지 않은 포가 3~4개 있다. 첫째 포는 잎 같으며 길이 5~20cm로서 꽃차례보다 길고 꽃이 1개씩 달린다. 수술은 6개이고 꽃밥은 수술대 길이의 1/2 정도이고 암술 1개이다. 암술대는 깊게 3개로 갈라져 암술머리를.. 2010. 10. 8.
물골풀 Juncus gracillimus 길골풀과 유사하면서도 다른 모습의 물골풀을 만난다. 길골풀은 회피 조각의 끝이 뾰족한 점으로 구별된다. 골풀과는 열매의 생김새가 다른데, 물골풀은 갯골풀의 열매보다 더 둥글며 꽃줄기의 길이도 더 길다. 전국 각지 습지에서 자란다.      ↓ 2010. 07. 10.  무의도      ● 물골풀 Juncus gracillimus | Slender Rush  ↘  골풀목 골풀과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고 줄기는 곧게 서며 원대는 둥글다. 잎은 편평하고 선형이며 백록색이고 꽃줄기보다 짧으며 잎집 위 끝의 귀 같은 돌기는 작다. 꽃은 5∼7월에 피고 길이 6∼15cm의 취산꽃차례에 1개씩 달린다. 포는 잎처럼 생기고 꽃이삭보다 긴 것도 있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의 2/3길이이다. 열매는 삭.. 2010. 8. 7.
나선골풀(스프링골풀, 등심초) Juncus effusus f. spiralis 나선골풀은 백합목 골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줄기가 스프링처럼 돌돌 말린 형태의 나선형으로 성장을 하는 골풀(Juncus effusus)의 한 품종(f. spiralis)이다. 영명은 Corkscrew rush. 원산지 불명. 번식은 실생이나 포기나누기 등으로도 한다. 관리는 밝은 양지에서 물이 마르지 않도록 관리하며 포트의 방향을 돌려가면서 관리를 해야 전체적으로 균형있고 풍성하게 성장한다. 서울대공원 식물원 전시 2010. 6. 7.
물골풀(개골풀) Juncus gracillimus 골풀과는 열매의 생김새가 다르다. 갯골풀의 열매보다 더 둥글며 꽃줄기의 길이도 더 길다. 전국 각처의 습지에서 자란다.   2008. 07. 05.  홍릉수목원      ● 물골풀 Juncus gracillimus | Slender Rush  /  골풀과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선형이고 편평하며 백록색으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가늘며 윗면이 구부러지고 나비는 1㎜가량이며 엽초 윗부분의 귀같은 돌기는 작다. 높이 40-70cm이고 원줄기가 둥글다.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는다. 꽃은 5-7월에 피고 길이 6-15㎝의 복취산화서에 달리며 포는 잎같고 화서보다 길거나 짧다. 화피열편은 난상 긴 타원형으로서 길이 2㎜가량이며 뒷면은 흑자색이고 양쪽 가장자리는 적갈색이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 길이의 2/3정도이고.. 2008. 7. 25.
길골풀(풀골) Juncus tenuis 우리나라 전역 길가와 산지의 응달진 풀밭에 자라는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풀골'이라고도 하며 줄기 밑부분에 잎이 있는 점에서 비늘잎으로 구성된 다른 골풀속의 종들과 구별된다. 물골풀(J. gracillimus)과 유사하지만, 화피조각의 끝이 뾰족한 점에서 구별된다.     2008. 07. 03.  남한산 골짜기 습한 풀밭     ● 길골풀 Juncus tenuis /  골풀과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편평하며 나비 1mm정도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위로 다소 말리며 귀같은 돌기는 타원형이고 길이 2-3mm로서 회백색이다. 근경에서 총생하며 높이 30~60cm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서 갈라진 여러 개의 가지에 다수의 작은 담녹색 꽃이 모여 핀다. 화서 기부에 고르지 않은 포가 3-4개.. 2008. 7. 24.
길골풀(풀골) Juncus tenuis 우리나라 전역 길가와 산지의 응달진 풀밭에 자라는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풀골'이라고도 하며 줄기 밑부분에 잎이 있는 점에서 비늘잎으로 구성된 다른 골풀속의 종들과 구별된다. 물골풀(J. gracillimus)과 유사하지만, 화피조각의 끝이 뾰족한 점에서 구별된다.     2008. 06. 15.  남한산성 골짜기 그늘지고 습한 등산로     ● 길골풀 Juncus tenuis  /  골풀과 골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잎은 편평하며 나비 1mm정도로서 원줄기보다 짧고 위로 다소 말리며 귀같은 돌기는 타원형이고 길이 2-3mm로서 회백색이다. 근경에서 총생하며 높이 30~60cm이다. 꽃은 6~7월에 피며 원줄기 끝에서 갈라진 여러 개의 가지에 다수의 작은 담녹색 꽃이 모여 핀다. 화서 기부에 고르지 않은.. 2008.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