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038

송이풀 Pedicularis resupinata, 흰송이풀(f. albiflora), 마주송이풀(var. oppositifolia) 그냥 송이풀로 생각하고 담았는데 집에 와서 보니 잎이 어긋난 송이풀, 잎이 마주 난 마주송이풀, 흰 꽃이 피는 흰 송이풀이 모두 담겼다. 마주송이풀은 흰 꽃이다.  송이풀은 깊은 산 숲속에서 자라는 현삼과 송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 한방에서 잎을 '마뇨소(馬尿燒)' 또는 '마선고(馬先蒿)'라고 하여 거풍, 류머티성 관절염, 소변불편, 요도결석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2006. 07. 25.  금대봉   송이풀        흰송이풀     마주송이풀 흰 꽃       ● 송이풀 Pedicularis resupinata  /  현삼과 송이풀속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밑에서 여러 대가 나와 함께 높이 30∼60cm까지 자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거나 마주달리고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 2006. 8. 26.
도둑놈의갈고리 Desmodium oxyphyllum 금대봉 ● 도둑놈의 갈고리 Desmodium oxyphyllum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는 목질(木質)로서 단단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위쪽은 가지를 친다. 높이는 60∼9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줄기 위에 많이 붙으며 작은잎이 3장씩 나온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톱니는 없으.. 2006. 8. 26.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두메고들빼기는 다른 고들빼기와 마찬가지로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고 있는데, 이는 잎자루가 줄기를 감싸지 않는 산씀바귀와 다른 점이다. 잎 모양은 뿌리잎에 가까우면 3각형, 줄기잎은 긴 타원 모양을 하고 있는데, 깊은 결각을 가진 깃꼴 잎도 있어 모양이 다소 다양한 편이다.  꽃잎의 수는 산씀바귀가 8장 내외인 데 비해서 12장 이상으로 많은 편이다.    2006. 07. 25.  금대봉   뿌리에 가까운 줄기잎은 대개 삼각상이다.            윗부분의 줄기잎은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 두메고들빼기 Lactuca triangulata  /  국화과 왕고들빼기속의 두해살이풀 줄기는 곧게 서고 원기둥 모양이며 높이는 1m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심장형이거나 삼각형으로 고르지 못한 톱니.. 2006. 8. 26.
나비나물 Vicia unijuga 금대봉 ● 나비나물 Vicia unijuga / 콩과의 여러해살이풀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네모지며 조금 딱딱하고 뭉쳐나며 곧게 서거나 약간 비스듬히 자라고 높이가 30∼100cm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는 짧다. 잎몸은 작은잎이 2개인 겹잎이며, 작은잎은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끝이 .. 2006. 8. 25.
산꿩의다리 Thalictrum filamentosum 태백 ● 산꿩의다리 Thalictrum filamentosum /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 약 50cm이다. 뿌리줄기가 짧고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굵어진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곧게 선다. 뿌리에 달린 잎은 1개이고 잎자루가 길며 3개씩 2∼3회 갈라진다. 작은잎은 .. 2006. 8. 25.
둥근이질풀 Geranium koreanum ● 둥근이질풀 Geranium koreanum 줄기는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높이는 1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고 뿌리에서 나온 잎은 긴 잎자루가 있으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잎자루가 거의 없거나 짧다. 잎은 3∼5개로 약간 깊게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끝이 뾰족하며 큰 톱니가 있다. 턱잎은 넓은 달걀 .. 2006. 8. 25.
새며느리밥풀 Melampyrum setaceum var. nakaianum 새며느리밥풀은 한국 특산종으로 애기며느리밥풀의 변종이다. 애기며느리밥풀에 비해 잎이 크고 넓으며 포가 달걀 모양이고 붉은 빛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산지의 양지바른 곳에서 자라며, 덕유산·지리산 지역과 강원도 고산지대, 그리고 북부지방에 분포한다. 금대봉 대덕산 ● 새며.. 2006. 8. 25.
금대봉, 대덕산에서 만난 풀꽃들 (3) 금대봉, 대덕산에서 만난 풀꽃들 (3) 대덕산 정상 종덩굴 일월비비추 나도하수오 털중나리 각시취 구슬봉이 돌마타리 하늘나리와 털중나리 털중나리 하늘말나리와 하늘나리 하늘나리 속단 송이풀 산솜방망이 동자꽃 노루오줌 딱총나무 열매 선괭이눈 여우오줌(왕담배풀) 파드득나물 딱.. 2006. 8. 11.
금대봉, 대덕산에서 만난 풀꽃들 (2) 금대봉, 대덕산에서 만난 풀꽃들 (2) 고목나무샘 금대봉을 지나 대덕산을 향해 가는 골짜기에 있다. 한강의 발원지라고 하는 검룡소보다 위쪽에 있어 한강의 '진짜' 발원지라고 할 수 있다. 산짚신나물 보통의 짚신나물보다 꽃의 수가 많이 적다. 넓은잎잔대? 큰참나물? 광릉갈퀴의 콩꼬투리 참나물? 속.. 2006. 8. 11.
금대봉, 대덕산에서 만난 풀꽃들 (1) 2006. 7. 25. 화요일 태백산 아래에서 1박을 하고 아침 일찍 두문동재(싸리재)를 향해 달렸다. 싸리재를 사이에 두고 함백산과 금대봉 길이 나뉘어진다. 싸리재 오른쪽 아래로 보이는 길이 금대봉 등산로이다. 루드베키아(원추천인국) 싸리재를 넘는 도로변은 원색의 이 꽃들이 점령하고 있.. 2006. 8. 11.
물수세미(앵무새깃) Myriophyllum verticillatum ● 물수세미 Myriophyllum verticillatum / 도금양목 개미탑과 물수세미속 다년생 수초 땅속줄기는 진흙 속에서 옆으로 벋는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고 끝이 물에 뜨며 길이가 50cm에 달한다. 잎은 4개씩 돌려나고 잎자루가 없으며 깃꼴로 잘게 갈라지고, 물 속에서는 갈라진 조각이 털처럼 가늘.. 2006. 8. 10.
부레옥잠 Eichhornia crassipes 원산지가 열대 ·아열대 아메리카인 물옥잠과의 여러해살이 물풀로 연못에서 떠다니며 자란다. ● 부레옥잠 Eichhornia crassipes / 분질배유목 물옥잠과의 여러해살이풀 밑에 수염뿌리 처럼 생긴 잔뿌리들은 수분과 양분을 빨아들이고, 몸을 지탱하는 구실을 한다. 잎은 달걀 모양의 원형으.. 2006. 8. 10.
물상추(물배추) Pistia stratiotes 아프리카 원산의 천남성과 수생식물로 '물배추'라고도 불린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라 온도에 민감해서 자연 상태로 겨울을 나기는 어렵다.    2006. 10. 15.  서울           ● 물상추 Pistia stratiotes | water lettuce  /  천남성과의 수생식물잎은 연녹색 또는 선명한 녹색으로 둥근 부채꼴 모양이며 보송보송한 털이 나 있다. 뿌리는 검은색으로 무성하게 뻗는다. 4월에 새 잎이 돋기 시작해 번식줄기를 내고, 새끼 포기가 생겨 떨어져 나간다. 꽃은 잎 겨드랑이에서 북염포에 싸인 흰색 계열로 여름에 개화한다. 열대식물로 추위에 약하다. 겨울 월동 온도는 20도 이상이고, 잘 자라는 온도는 25-30도, 반양지성 식물로 반그늘에서 잘자란다. 2006. 8. 10.
꽃방동사니(해오라비사초) Rhynchospora colorata(Dichromena colorata) 꽃방동사니는 북미 원산의 사초과 여러해살이풀이다.  흰 잎의 모양이 해오라비난초를 닮았다고 하여 '해오라비사초'라고 하기도 하고, 사초과에 속한다고 하여 '꽃방동사니'라 불리기도 한다. 흰 무늬가 별 모양이라 하여 '스타그라스(Star Grass)'라 불리기도 한다. 꽃잎으로 보이는 하얀 색은 사실은 꽃잎이 아니고 포잎이 변한 것이고 꽃은 그 속에 묻혀 잘 보이지 않는다.     2006. 07. 24.  태백       ● 꽃방동사니 Rhynchospora colorata(Dichromena colorata) | Star Grass, starrush whitetop ↘  사초과 골풀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 풀 높이 60~90cm 정도로 자란다. 땅속에 가는 지하경이 월동하여 6~10월에 꽃을 피운다. 꽃을.. 2006. 8. 10.
솔나리 Lilium cernum 작년 여름 이맘때쯤 중국 운남성 샹그릴라를 여행할 때 샹그릴라(중티엔)에서 멀지 않은 고개에서 처음으로 만났던 솔나리! 그 솔나리를 이 땅에서는 강원도 태백의 산골에서 처음으로 만난다. ● 솔나리 Lilium cernum /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가늘고 단단하며 높이 70cm 정도까지 자.. 2006. 8.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