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버섯, 균류

참부채버섯 Sarcomyxa serotina

by 모산재 2025. 3. 26.

 

야산 정상부에서 내려서는 길에 참부채버섯으로 보이는 마른 버섯을 만난다. 작년 늦가을에 발생한 버섯으로 보인다.

 

부채버섯과 같은 애주름버섯과 부채버섯속 버섯이지만 손톱만 한 부채버섯에 비해 훨씬 커서 갓 지름 10cm쯤이다. 반원형-콩팥 모양의 갓 표면은 탁한 황갈색-황록색이며 가는 털로 덮여 있고 표피 아래에 젤라틴층이 있어서 잘 벗겨진다. 자루는 갓 한쪽으로 붙으며 굵고 짧다.

 

봄이나 가을에 참나무류 등 활엽수의 고사목이나 그루터기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한국, 일본,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2025. 03. 20.  서울

 

 

 

 

 

 

● 참부채버섯 Sarcomyxa serotina | olive oysterling, late fall oyster, late oyster mushroom  ↘  주름버섯강 주름버섯목 애주름버섯과 부채버섯속 


자실체의 갓은 반원형~콩팥형이며, 조직은 부드럽고 연한 육질형이다. 표면은 점성이 있고, 가는 털로 덮여 있으며, 황색~황갈색, 녹색이나 자색을 띠는 것도 있다. 주름살은 빽빽하며 황백색이며, 대의 크기는 1.5~3 × 1.5~4㎝이며 황갈색이고, 원통형으로 굵고 짧으며 짧은 털이 있으며 자루는 편심생 또는 측심생이며 황갈색이다. 턱받이는 없다.

포자는 흰색을 띠며 타원형이고 표면은 평활하고, 크기는 4~5.5 × 1㎛이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 참부채버섯은 애주름버섯과 부채버섯속(Panellus)으로 분류되어 왔지만 최근 Sarcomyxaceae과 Sarcomyxa속으로 재배치되었고 국립수목원에서는 이를 반영하고 있으나 국립생물자원관 등 대부분의 국내 기록은 반영하지 않고 있다. 

 

○ 독버섯인 화경버섯과 형태가 유사하다. 그러나 화경버섯은 잘랐을 때 조직에 검은 반점이 있으며 발생시기가 주로 여름이며, 본 종은 잘랐을 때 조직은 백색이며, 발생시기가 늦가을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참고 : - 고철순 외 <우리 산야의 자연버섯>)

 

○ 위피디어에 따르면 참부채버섯은 Sarcomyxa serotina와 유럽에 알려지지 않은 Sarcomyxa edulis 두 종이 별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연구를 통해 밝혀졌고, 전자는 갓이 녹색을 띠고 맛이 쓰며 후자는 맛이 순하고 중국과 일본에서 식용으로 재배되고 있다고 한다. (아래 '참고 자료' 위키피디어 참조) 갓 색깔로 구별되는 두 종, 우리나라에도 Sarcomyxa edulis가 자생하지 않을까 의심된다.

 

○ 참부채버섯은 식용으로도, 비식용으로도 여겨지며 순한 맛에서 쓴맛까지 맛은 다양하다. 쓴맛은 강한 소스가 잘 어울린다. 식용으로 간주되지만 상당히 질겨서 약한 불에서 오랫동안 조리해야 한다. 

 

 

※ 참고 자료 : wikipedia.org/Sarcomyxa_serotina  inaturalist.org/Sarcomyxa-serotina  gbif.org/species/3318849  wikipedia.org/Sarcomyxa_edulis 

 

 

☞ 참부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63936  https://kheenn.tistory.com/15864015   

☞ 부채버섯 => https://kheenn.tistory.com/15854869  https://kheenn.tistory.com/15858443  https://kheenn.tistory.com/15861602 https://kheenn.tistory.com/15861906  https://kheenn.tistory.com/15862413  https://kheenn.tistory.com/15863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