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풀꽃

실상사의 양지꽃(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모산재 2010. 5. 5. 22:10

 

졸음기 가득 담은 따스한 햇살이 내리는 실상사 경내 빈터에 노란 꽃 방석이 깔렸다. 무슨 꽃이 저리 무더기로 피었누...? 가까이 다가서 보고서야 양지꽃임을 알아본다. 실한 뿌리 하나 땅 속 깊이 내리고 양기란 양기는 온통 다 받아 들였는지 사방으로 한 뼘씩의 가느다란 줄기를 그물처럼 펼쳐 둥그렇게 원을 그리고 불타오르는 양지꽃의 세력은 대단하다.

 

'사랑스러움', 양지꽃의 꽃말이다. 아직 채 겨울울 벗어나지 못한 이른 봄, 마른 풀만 깔려 있는 묏등 언덕에서 가장 먼저 노란 꽃을 피워내는 것이 양지꽃이다. 기는 줄기와 세잎나기 붉은잎을 풀섶에 숨겨 체온을 보존하며 따스한 햇살을 받아들여 꽃자루도 내밀지 못한 움츠린 모습으로 한 송이씩 두 송이씩 꽃을 피워낸다.

 

사방으로 조심스레 줄기를 뻗어가며 꽃망울을 달아가던 어느 날, 바람조차 없는 나른한 햇살이 봄 들판을 마음껏 쏟아져 내리면 양지꽃은 폭죽처럼 꽃봉오리를 터뜨려 황금 꽃방석을 만든다.

 

 

 

 

 

 

 

 

 

 

 

 

 

 

 

 

 

수술이 많고 지름이 2cm 정도로 작은 꽃이지만 피고 지기를 반복해서 여름까지도 함께 할 수 있어서 더욱 좋다. 이름처럼 햇빛을 담뿍 받고 자란 꽃이라서 한방에서 양기를 북돋는 약용으로 쓰이고 얼굴을 환하게 하는 화장품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한다.

 

 

양지꽃은 뿌리에서 난 잎이 사방으로 퍼져 자라며 풀 전체에 가늘고 하얀 털이 많이 난다. 잎은 잎자루에 5에서 10개 가량의 작은 잎이 나 있는 복엽(複葉)이다. 양지꽃의 경우 잎에 따라 소엽의 개수가 다르다. 잎의 맨 위쪽에 나 있는 3장의 소엽은 크기가 일정하고 다른 소엽들에 비해 크며, 아래쪽으로 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진다. 양지꽃은 꽃피는 기간이 약 4개월 정도로 매우 길고 꽃의 수도 많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화단, 정원 등에 심어 기르기에 적합하다. 열매는 아주 작은 딸기 모양이다.

 

한방에서는 '치자연(雉子筵)'이라고 하여 약용으로 쓰인다. 뿌리는 피 속의 독을 제거하고 피를 멎게 하며, 잎과 줄기는 소화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양지꽃을 뱀딸기와 혼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뱀딸기의 꽃받침은 꽃보다 큰 반면 양지꽃의 꽃받침은 꽃보다 작기 때문에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무엇보다 뱀딸기에는 꽃이 진 다음 공 모양의 빨간 딸기 열매가 달리는 점에서 양지꽃과 구별된다.

 

 

 

 

● 양지꽃 Potentilla fragarioides var. major | Cinquefoil   ↘  장미목 장미과 양지꽃속 숙근성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고 높이가 30∼50cm이며 잎과 함께 전체에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비스듬히 퍼지며 잎자루가 길고 3∼9개의 작은잎으로 구성된 깃꼴겹잎이다. 끝에 달린 3개의 작은잎은 서로 크기가 비슷하고, 밑 부분에 달린 작은잎은 밑으로 내려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작은잎은 길이 1.5∼5cm의 넓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 또는 타원 모양이고 맥 위에 털이 많으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턱잎은 타원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6월에 노란 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를 이루며 10개 정도가 달린다. 꽃의 지름은 15∼20mm이고, 꽃받침조각은 5개이며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꽃받침조각 사이에 있는 덧꽃받침은 5개이며 넓은 바소꼴이다. 꽃잎은 5개이고 길이 6∼10mm의 둥근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끝이 오목하다. 수술과 암술은 많으며, 꽃턱에 털이 있다. 열매는 수과이고 길이 2mm의 달걀 모양이며 세로로 잔주름이 있다.

 

 

 

 

 

 

더보기
▶ 전초는 雉子筵(치자연), 根(근)은 雉子筵根(치자연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 雉子筵(치자연)
① 여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② 성분 : 유효성분은 d-catechol이다.
③ 약효 : 中氣(중기)를 補益(보익)하고 陰虛(음허)를 補(보)하는 효능이 있 다. 산기건혈로(혈액순환불량에 의한 만성영양장애를 일으키는 만성병)을 치료한다.
④ 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⑵ 雉子筵根(치자연근)
①연중 수시로 채취하여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주요한 유효성분인 d-catechol을 함유한다.
③약효 : 內服(내복)하면 止血(지혈)의 효능이 있다. 일반적인 婦人科出血((부인과출 혈)-기능성자궁출혈, 子宮筋腫出血(자궁근종출혈), 單純性月經過多(단순성월경과 다), 골반 내의 만성적 염증의 월경과다, 産後惡露不淨(산후악로부정) 등), 폐결핵 의 喀血(객혈)을 치료한다.

 

'우리 풀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주(Atractylodes ovata) 어린풀  (0) 2010.05.24
잔대 새순  (0) 2010.05.24
개불알풀, 봄까치꽃이라고 불러다오  (0) 2010.05.05
왜갓냉이(Cardamine yezoensis) 어린풀, 꽃  (0) 2010.05.05
큰개불알풀  (0) 2010.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