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동남아 풀꽃나무

라오스 위앙짠(비엔티안)에서 만난 풀꽃나무들 Syngonium macrophyllum

by 모산재 2010. 2. 24.

 

여기 소개하는 풀꽃들과 나무들은 라오스 비엔티안(위앙짠)의 거리, 또는 그곳의 사원들을 순례하면서 만난 잡초, 야생화, 조경수들을 담은 것들이다. 천천히 확인되는 대로 정보를 보완해 나갈 것이다.

 

 

 

 

● 독참파(참파꽃) = 플루메리아 루브라 Plumeria rubra

 

라오스 국화로 위앙짠 시내 거리에서 흔히 만날 수 있다. 꽃이 화려하면서도 고상하고 향기는 넋을 놓을 정도로 아름답다. 라오스인들이 부처님께 공양하는 꽃이다.  

 

 

 

 

 

●체이바 펜탄드라 Ceiba pentandra | 영명 : Kapok, Java cotton, Java kapok, silk-cotton, Samauma, or ceiba

 

숙소 근처에서 만난 나무이다. 벽오동 같은 푸른 줄기를 가진 나무에 7갈래의 잎이 인상적이다. 산형으로 달린 꽃송이에 노란 꽃밥을 단 실 모양의 하얀 수술이 아름답다. 멕시코 등 중남미 원산으로 아욱과(Malvaceae)의 교목으로 열매 꼬투리에 솜 같은 털이 많아 동남아시아에서는 재배되었다.

 

 

 

 

 

 

● 프세우데란테뭄 레티쿨라툼 Pseuderanthemum reticulatum

 

화분에 담긴 모습으로 태국 라오스에서 자주 눈에 띈다. 쥐꼬리망초과의 나무. 아직 국명도 유통명도 없다.

 

 

 

 

 

● 에키노도루스

 

숙소 부근에서 만난 택사과의 물풀.

 

 

 

 

 

● 부겐빌레아 Bougainvillea

 

분꽃과의 덩굴성 관목으로 동남아 지역 어디에나 흔하게 만날 수 있는 꽃이다.

 

 

 

 

 

● 공작화 = 케살피니아 풀케리마 Caesalpinia pulcherrima | 영명 : Peacock flower, flame tree, Barbados pride, Gold Mohur

 

'공작꽃', '불꽃나무' 등으로 부른다. 일본에서는 '봉황목'으로 불린다. 인도 서부와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다.

 

 

 

 

 

 

● 칼로트로피스 Calotropis gigantea | 영명 : Giant Calotrope, Giant milkweed, Crown Flower

 

꽃 모양을 보면 박주가리과(Asclepiadaceae)임을 알 수 있다.

 

 

 

 

 

● ?

 

나무 줄기를 타고 오르는 덩굴식물이다.

 

 

 

 

 

● 외풀(Lindernia) 속

 

루앙프라방 거리 나무 그늘 풀밭에서 발견하였다.

 

 

 

 

 

● 홍죽(천년죽) = 코르딜리네 테르미날리스 Cordyline terminalis var. aichiaca | 영명 : Ti plant

 

호 프라께오에서 만난 원예종. 드라세나 종류로 백합목 용설란과로 분류한다. 베트남명 Huyết dụ Ti, Huyết dụ lá lớn. 우리 나라에서는 '홍죽(紅竹)', '천년죽(千年竹)', '드라세나 테르미날리스' 등의 이름으로 유통되고 있다.

 

 

 

 

 

● 두란타 에렉타 Duranta erecta | 영명 : Golden Dewdrop, Sky Flower, Pigeon Berry

 

마편초과의 관목으로 원산지는 중남미.

 

 

 

 

 

● 아메리칸 블루 Evolvulus glomeratus | 영명 : Blue daze

 

봄부터 가을까지 꽃이 핀다. 브라질, 중앙아메리카 원산이 메꽃과 풀

 

 

 

 

 

 

▼ 왓 씨사켓에서

 

 

 

● ?

 

  

 

 

 

 

 

Desmodium triflorum (Meibomia triflora) | 영명 : Threeflower Ticktrefoil

 

풀밭에 자라는 아주 작은 콩과식물. 덩굴이 포복성으로 가늘고 작으며 작은잎이 셋 달린다.

 

 

 

 

 

Bidens ?

 

국화과 비덴스속(Bidens)이 아닐까 싶다. 도깨비바늘과 느낌이 비슷한 아주 작은 꽃이 핀다.

 

 

 

 

 

● 나도사프란

 

멕시코가 원산지인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 천심련 = 안드로그라피스 파니쿨라타 Andrographis paniculata

 

현삼과의 한해살이풀로 인디아와 스리랑카 원산의 쥐꼬리망초과 풀이다. 중국명은 천심련(穿心蓮). 라오스 말로는 라사비(La-Sa-Bee). 쓴 맛이 강한 풀로 항염 항암 효과가 있어 약용으로 재배한다고 한다.

 

 

 

 

 

● ?

 

벼과로 보이는 특이한 열매의 풀

 

 

 

 

 

●우망국(羽芒菊) Tridax procumbens | 영명 : Coat Button

 

메콩강 주변 열대, 아열대지역에 흔히 보이는 국화과의 풀. 별꽃아재비를 닮은 꽃이 꽃대 끝에 한 송이만 달리는 것이 특징이다.

 

 

 

 

 

● 멜라포디움

 

열대와 아열대 아메리카 원산인 Melampodium paludosum일까. 영명으로 butter daisy, gold medallion flower라고 부르는...

 

 

 

 

 

● 복건차(福建茶) Carmona retusa(Ehretia microphylla, Carmona microphylla)

 

방콕, 위앙짠 등의 거리에서 흔히 보이는 지치과의 관목. 중국명으로 흔히 '복건차(福建茶)라 부르고 '小葉厚殼樹'라고도 한다.

 

 

 

 

 

Lagerstroemia floribunda | 영명 : Kedah Bungor, Crepe Myrtle

 

우리 나라 배롱나무와 비슷한 나무이다. 부처꽃과(Lythraceae)로 태국 사라부리주의 주화이다. '열대배롱나무'라 부를까...

 

 

 

 

 

● 헤미그라피스 Hemigraphis glaucescens

 

조경수로 심어진 쥐꼬리망초과(Acanthaceae)의 관목. 베트남 이름은 Hoàn ngọc dương, cây lá khỉ, Bán tự mốc

 

 

 

 

 

● 익소라 Ixora coccinea yellow? Ixora chinensis var. lutea ?

 

붉은 색 계통의 익소라에 비해서는 잎과 꽃이 훨씬 크고 시원스럽다. 익소라는 열대지방에 약 150종이 분포하는 높이 1m 정도의 상록성 관목이다.

 

 

 

 

 

● 열대아몬드 = 테르미날리아 카타파 Terminalia catappa

 

열매의 모양과 맛이 아몬드와 비슷하여 '열대아몬드'라 부르는데, 열대지역의 온난다습한 해변 모래밭에 잘 자라기 때문에 sea almond, beach almond라 불리기도 한다. 분포지가 넓어서 인디아아몬드, 자바아몬드, 말라바아몬드, 싱가포르아몬드 등 여러 지역명이 붙은 아몬드로 불리고 있다. 베트남어 이름은 방(Bàng).

 

 

 

 

 

 

● 쥐눈나무 = 오크나 세룰라타 Ochna serrulata(또는 Ochna atropurpurea)?

 

가로수로 심어진 나무. 영명은 mall-leaved plane, carnival ochna, Bird's Eye Bush or Mickey Mouse bush. 중국명은 서안목(鼠眼木). 열매가 쥐눈을 닮았다.

 

 

 

 

 

● 시수스속 Cissus verticillata ?

 

등나무처럼 차양용으로 심어 놓은 덩굴나무.

 

 

 

 

 

 

Cyanthillium cinereum | 영명: Little Ironweed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중남미의 열대지역에 분포하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 알테르난테라 덴타타 Alternanthera dentata | 영명: Calico plant, Copperleaf, Bloodleaf, Joyweed, Parrot leaf

 

천일홍을 연상시키는 풀이다. 비름과의 풀로 베트남명은 Dệu cảnh.

 

 

 

 

 

● 무사엔다 Mussaenda philippica | 영명 : White Mussaenda, Tropical Dogwood, Virgin Tree

 

꼭두서니과의 관목으로 베트남 이름은 Bướm Bạc Philippine.

 

 

 

 

 

● 스테모디아 베르티실라타 Stemodia verticillata

 

얼핏 현삼과의 한해살이풀. 개불알풀로 보였는데, 확인해보니 개불알풀속(베로니카속)과는 거리가 있다. 질경이과(Plantaginaceae)로 되어 있다.

 

 

 

 

 

● 백화사설초

 

여러 개의 꽃이 달리는 모습이 백화사설초로 보인다. 우리나라에서 이것이 백운풀 대용 약용식물로 들어와서 백운풀로 행세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여행지 곳곳에서 흔히 볼 수 있다.

 

 

 

 

 

● 열매안개 = 탈리눔 파니쿨라툼 Talinum paniculatum | 영명 : Jewels of Opar , Fame flower, Talinum patents.

 

어느 담장 밑에서 자라는 풀. 꽃은 아주 작다. 베트남 이름은 Sâm đất, Thổ Nhân Sâm, Sâm Thổ Cao-ly. 현재 '자금성' '열매안개' 등의 이름으로 원예화하여 유통되고 있다 한다. 옛날 중국에서는 '토인삼(土人蔘)'으로 불려 뿌리가 약재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 야스미눔 디코토뭄 Jasminum dichotomum | 영명 : Rose Bud Jasmine, Everblooming Jasmine

 

물푸레나무과(Oleaceae) 재스민속의 관목으로 아주 향기가 좋으며 희귀한 재스민이라고 한다. 꽃은 연중 핀다.

 

 

 

 

 

● 오렌지재스민, 무라야 파니쿨라타 Murraya paniculata

 

 

 

 

 

● ?

 

 

 

 

 

● 산호유동(珊瑚油桐) = 야트로파 포다그리카 Jatropha podagrica | 영명 : Buddha belly plant

 

대극과 식물이다.

 

 

 

 

 

Tabernaemontana divaricata | 크레이프재스민(crape jasmine), 핀휠재스민(pinwheel flower)

 

인도 원산으로 동남아에서 널리 기른다. 협죽도과의 관목으로 1.5~1.8m 로 자라고 가지는 둘로 나뉜다. 줄기 끝에서 피는 바람개비 모양의 흰 꽃은 같은 협죽도과 덩굴 관목인 마삭줄 꽃과 아주 비슷하다.

 

 

 

 

 

● 자메이카체리 = 문정과(文定果) = 문팅기아 칼라부라 Muntingia calabura

 

느티나무처럼 생긴 나무에 이런 꽃이 피고, 꽃이 지면 붉은 열매가 달린다. '자메이카체리', 또는 '서인도앵도(西印度櫻桃)'로 불리기도 한다.

 

 

 

 

 

● 클레오메 루티도스페르마 Cleome rutidosperma

 

풍접초 식구의 야생 풀꽃이다.

 

 

 

 

 

● 파장화 Pyrostegia venusta | 영명 : Flame vine. Orange trumpet creeper. Golden shower

 

중국 이름으로는 포장화. 남미 원산의 능소화과 덩굴나무이다.

 

 

 

 

 

Syngonium macrophyllum(Syngonium angustatum)

 

육수꽃차례로 꽃을 피운 천남성과의 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