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과 사초과 골풀과

황새풀 Eriophorum vaginatum

모산재 2008. 6. 3. 19:53

 

↓ 서울대공원


 

 

 

 

 

● 황새풀 Eriophorum vaginatum | Whitebristle Cottonsedge / 벼목 사초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가 무더기로 나와서 높이 30∼60cm로 자라며 3능형이며 털이 없이 반반하다. 뿌리줄기는 짧다. 뿌리잎은 딱딱하고 삼능형이며, 나비 1∼1.5mm로서 끝이 뾰족하고 줄기보다 길고 끝이 뾰족하다. 줄기잎은 1~2개로서 퇴화하여 잎집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꽃줄기 끝에 1개의 꽃이삭이 달린다. 꽃이삭은 꽃이 필 때는 좁은 달걀 모양이며 긴 삼각형의 막질(: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 비늘조각으로 덮여서 잿빛이 도는 검은색이지만 꽃이 핀 다음에는 비늘조각 사이로 길이 2∼2.5cm 되는 흰털 같은 화피갈래조각이 자라나기 때문에 솜뭉치같이 되는데 황새털처럼 보인다고 이름이 붙여졌다. 열매는 수과로 납작한 삼각 모양의 달걀 모양으로 길이 2∼2.5mm이다.

 

강원도 이북 함남·함북의 고원습지에서 자라는데,북한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였다. 북반구 냉대 지역인 중국 동북, 몽골, 일본, 러시아, 유럽에 에 널리 분포한다.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