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ola diamantiaca2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금강제비꽃은 잎밑이 위로 말리는 특징이 있어 고깔제비꽃을 연상시키기도 하지만 고깔제비꽃처럼 도르르 말리기보다는 살짝 접히는 수준이다. 금강산·오대산 등 백두대간을 따라 분포하는 금강제비꽃이 천마산에 자생하는 것은 처음 발견한다. 2014. 천마산 ●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으며 꾸불꾸불하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뭉쳐나며 원줄기가 없고 심장형으로 잎자루와 더불어 길이 6.5∼10cm, 나비 6∼11cm로 끝이 점점 뾰족해진다. 표면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연하고 털이 있다. 잎자루에 털이 있고 길이 8∼21cm로 위쪽에 자줏빛의 반점이 있다. 꽃은 폐쇄화이고 6월에 자줏빛으로 피며.. 2014. 5. 11.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강원도 이북 높은 산지에 자생하는 고산성 제비꽃으로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종이다. 심장형으로 생긴 잎이 긴 잎자루 위에 달려 잎밑의 양쪽 가장자리가 위를 향하여 살짝 꼬부라져 있다. 그 아래 하얀 꽃 한 송이... 전형적인 금강제비꽃의 모습이다. 2007. 05. 05. 가리왕산 측판에는 하얀 털이 밀생하고 있다. 그런데, 저렇게 암술이 발달되어 있는데 두산백과사전이나 국생정 기재문에는 모두 폐쇄화(닫힌 꽃)라고 설명하고 있으니, 영문을 모르겠다. 땅 속에 폐쇄화를 또 피운다는 이야기일까... 어린풀의 잎자루와 잎에는 하얀 솜털이 빽빽히 자라고 있다. ● 금강제비꽃 Viola diamantiaca / 제비꽃목 제비꽃과 제비꽃속 여러해살이풀땅속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뻗으.. 2007. 5.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