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allus indusiatus2

버섯의 여왕, 망태말뚝버섯(망태버섯, 흰망태버섯) Phallus indusiatus 흔히 '흰망태버섯'이라 불리지만 국생정에서는 말뚝버섯속(Phallus)으로 분류하여 표준명은 망태말뚝버섯이다.(속명 Phallus는 남성의 성기를 뜻하는 말로 버섯의 생김새에서 비롯된 이름이다.) 품종으로 보는 노란망태버섯(Phallus luteus )과 망태버섯속(Dictyophora)으로 따로 분류하여 망태버섯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한다. '버섯의 여왕'이라고도 부르는 화려한 버섯으로 중국에서는 '죽손(竹蓀)'이라 하여 고급 요리에 쓰인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남부지방의 대나무 숲 또는 혼효림의 땅에 홀로 또는 흩어져 자란다.    2017. 07. 23.  담양      ● 망태말뚝버섯 Phallus indusiatus  ↘  말뚝버섯목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갓은 종형이고, 갓 아래 균망이 형성. 자.. 2017. 7. 26.
대나무밭 하얀 면사포를 쓴 망태버섯=망태말뚝버섯 Phallus indusiatus 고향집 뒤안 대밭에서 흰 망태버섯을 만난다. 노란 망태를 두른 노랑망태버섯은 산속 잡목림에서 자라는 데 비하여, 순백의 면사포를 쓴 듯한 망태버섯은 주로 대나무 숲에서 자란다. 말뚝버섯과 말뚝버섯속의 버섯으로 국생정 균류도감에서는 망태말뚝버섯을 표준명으로 정하고 있다.  처음에는 땅속에 지름 3∼5cm의 흰색 뱀알처럼 생긴 덩어리가 생기고 밑부분에 가지친 긴 균사다발이 뿌리같이 붙어 있으며 점차 위쪽 부분이 터지면서 버섯이 솟아나온다.    2010. 08. 11.  합천 가회      버섯대는 주머니에서 곧게 높이 10∼20cm, 굵기 2~3cm로 뻗어 나오고 순백색이다. 버섯대는 속이 비어 있고 수많은 다각형의 작은 방으로 되어 있다. 버섯갓은 주름 잡힌 삿갓 모양을 이루고 강한 냄새가 나는 올리브색.. 2010. 10.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