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arex miyabei2

융단사초 열매 Carex miyabei 천마산에서 처음 만나고 두번째로 만나는 융단사초. 긴 이삭은 자루가 거의 없이 줄기 축에 밀착하여 서고, 열매는 침처럼 길고 뾰족한 부리를 가졌다. 때로는 암꽃이삭의 윗부분이 수꽃이삭이 되기도 하며 암술머리는 세 갈래다. 과포에 융단 모양의 털이 밀생하여 융단사초라 부르는 모양이다.  융단사초는 국가표준식물목록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아직도 그 이름이 등재되지 않은 사초다. 제법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도 2008년에야 학계에 보고되었다 한다.     2017. 06. 10.  퇴촌           ● 융단사초 Carex miyabei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가 발달하고 줄기는 세모 기둥 모양이며 키는 30-100cm에 이른다. 밑부분은 단단하고 광택이 있는 검붉은 입집으로 .. 2017. 6. 21.
융단사초 Carex miyabei 천마산 낮은 습지에서 만난 사초는 키도 제법 늘씬하고 튼실하여 자태가 아름다운데, 줄기 끝에 수꽃이삭이 2~3개 달려 있고 그 아래로 또 암꽃이삭이 3~4개 달린 형태만으로도 눈길을 끌었다. 이름이 융단사초란다.  때로는 암꽃이삭의 윗부분이 수꽃이삭이 되기도 하며 암술머리는 세 갈래다. 과포에 융단 모양의 털이 밀생하여 융단사초라 부르는 모양이다.   융단사초는 국가표준식물목록과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 아직도 그 이름이 등재되지 않은 사초다. 제법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도 2008년에야 학계에 보고되었다고 하니 무슨 연유인지...     2015. 05. 02.  천마산          ● 융단사초 Carex miyabei  ↘  사초목 사초과 사초속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줄기가 발달하고 줄기는 세모 기둥 .. 2015.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