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chaptum8 테옷솔버섯 Trichaptum biforme 활엽수 줄기에서 발생하는 일년생 배착 버섯이다. 다양한 모습이나 주로 갓을 형성하며 포개져 나고 드물게 좌생하기도 한다. 자실체는 가죽질로 크림색에서 옅은 황토색 또는 회색을 띠며 표면에 융모가 있다. 자실층은 처음에 보라색을 띠는 관공 모양에서 옅은 갈색으로 변하며 톱니 모양이 된다.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에서 소나무비늘버섯목 (미정) 과로 이동되었다. 2023. 11. 09. 서울 2023. 11. 17. 서오릉 ● 테옷솔버섯 Trichaptum biforme | violet-pored bracket fungus, purple tooth, violet-toothed polypore ↘ 주름버섯강 소나무비늘버섯목 미정과 옷솔버섯속 균모는 자루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 2024. 12. 19. 옷솔버섯(소나무옷솔버섯) Trichaptum abietinum 적송 숲길에 떨어진 작은 가지에서 발생한 버섯이다. 일반적으로 반배착성 버섯이지만 이처럼 갓이 거의 보이지 않는 배착성인 경우도 있다. 자실체 조직은 아주 얇고 아교질을 띤 가죽질이며 옅은 보라색이나 곧 색이 바랜다. 갓은 부채형, 조개껍질형으로 윗면은 회백색에서 갈색이며 자실층은 관공형에서 치아형으로 자색이나 자갈색이다. 일 년 내내 소나무 등 침엽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배착하거나 반배착하여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4. 10. 19. 영흥도 ● 옷솔버섯(소나무옷솔버섯) Trichaptum abietinum | purpleporebracket, violet-toothed polypore ↘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옷솔버섯속 균모는 반원형.. 2024. 11. 6. 테옷솔버섯 Trichaptum biforme 활엽수 줄기에서 발생하는 일년생 배착 버섯이다. 다양한 모습이나 주로 갓을 형성하며 포개져 나고 드물게 좌생하기도 한다. 자실체는 가죽질로 크림색에서 옅은 황토색 또는 회색을 띠며 표면에 융모가 있다. 자실층은 처음에 보라색을 띠는 관공 모양에서 옅은 갈색으로 변하며 톱니 모양이 된다.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에서 소나무비늘버섯목 (미정) 과로 이동되었다. 2024. 08. 25. 서울 ● 테옷솔버섯 Trichaptum biforme | violet-pored bracket fungus, purple tooth, violet-toothed polypore ↘ 주름버섯강 소나무비늘버섯목 미정과 옷솔버섯속 균모는 자루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착한다. 반원형 또는 선반 모양이거나 부착.. 2024. 9. 12. 옷솔버섯(소나무옷솔버섯) Trichaptum abietinum 소나무가 많은 산이어선지 소나무 재목이 많고 곳곳에서 옷솔버섯이 발생하였다. 자실체 조직은 아주 얇고 아교질을 띤 가죽질이며 옅은 보라색이나 곧 색이 바랜다. 갓은 부채형, 조개껍질형으로 윗면은 회백색에서 갈색이며 자실층은 관공형에서 치아형으로 자색이나 자갈색이다. 일 년 내내 소나무 등 침엽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배착하거나 반배착하여 자란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2024. 08. 08. 합천 오도산 ● 옷솔버섯(소나무옷솔버섯) Trichaptum abietinum | purpleporebracket, violet-toothed polypore ↘ 주름버섯강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옷솔버섯속 균모는 반원형-부채꼴, 얇고 편평하다. 전후 1~2cm, 두께 1.. 2024. 8. 23. 테옷솔버섯 Trichaptum biforme 활엽수 줄기에서 발생하는 일년생 배착 버섯이다. 다양한 모습이나 주로 갓을 형성하며 포개져 나고 드물게 좌생하기도 한다. 자실체는 가죽질로 크림색에서 옅은 황토색 또는 회색을 띠며 표면에 융모가 있다. 자실층은 처음에 보라색을 띠는 관공 모양에서 옅은 갈색으로 변하며 톱니 모양이 된다.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에서 소나무비늘버섯목 (미정)과로 이동되었다. 2024. 07. 28. 서울 2024. 10. 23. 경기 구리 ● 테옷솔버섯 Trichaptum biforme | violet-pored bracket fungus, purple tooth, violet-toothed polypore ↘ 주름버섯강 소나무비늘버섯목 미정과 옷솔버섯속 균모는 자루가 없이 기물에 직접 부.. 2024. 8. 13. 옷솔버섯(소나무옷솔버섯) Trichaptum abietinum 자실체는 반배착성이고 반원형~부채형으로 조직은 아주 얇고 아교질을 띠며, 옅은 보라색이나 곧 색이 바랜다. 자실층은 짧고 이빨 모양이며, 담홍색~담자색을 띤다. 연중 소나무, 가문비나무 등 침엽수의 생목, 고목, 마른 가지 위에 겹쳐서 발생하며, 목재 부후균이다. 항암 작용이 있는 등 약용 버섯으로 이용된다. 2022. 11. 07. 북한산 둘레길 ● 옷솔버섯 Trichaptum abietinum ↘ 소나무비늘버섯목 (미정)과 옷솔버섯속 균모는 반원형-부채꼴, 얇고 편평하다. 전후 1~2cm, 두께 1~1.5mm 정도의 극소형이며 다수가 중첩해서 층으로 난다. 가로로 이어져 선반 모양이 되기도 한다. 유연한 가죽질인데 건조하면 강하게 수축되어 안쪽으로 굽는다. 표면은 유백색-회백색, 말류가 덮여 녹색을 .. 2022. 11. 9. 테옷솔버섯 Trichaptum biforme 구름송편버섯(운지버섯)과 흰구름송편버섯이 자라는 나무 그루터기 한켠에 함께 자라고 있는 테옷솔버섯. 두 버섯과 마찬가지로 구멍장이버섯과 송편버섯속의 버섯으로 분류되어 왔는데, 옷솔버섯속으로 분리되었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죽은 활엽수나 그루터기에 무리 지어 자라며 흰색 부패를 일으킨다. 서울 수서동 아파트 ● 테옷솔버섯 Trichaptum biforme ↘ 구멍장이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옷솔버섯속 버섯갓은 폭 1~6㎝, 두께 1~2㎜이고 반원 모양, 부채 모양, 국자 모양이다. 갓 표면은 잿빛 흰색 또는 나무색 바탕에 고리무늬가 있고 털이 촘촘하게 나 있다. 살은 흰색의 가죽질이다. 자실층막에는 얕은 구멍이 생기지만 구멍벽이 무너져 이빨처럼 생긴 바늘로 변하며 처음에는 자주색이지만 누런 갈색으로 변한다. ☞.. 2016. 11. 1. 기와옷솔버섯(보라색조개버섯) Trichaptum fuscoviolaceum 구멍장이버섯과 옷솔버섯속 버섯으로 갓이 조개 모양이고 밑면이 보라색이어서 '보라색조개버섯'이라고도 한다. 일 년 내내 전나무류, 솔송나무류 등의 죽은 침엽수에서 자란다. 목재부후균으로 나무에 흰색 부패를 일으킨다. ↓ 2009. 09. 26. 남한산성 ● 기와옷솔버섯 Trichaptum fuscoviolaceum ↘ 구멍장이버섯과 구멍장이버섯과 옷솔버섯속 자실체는 폭 1~4㎝, 두께 1~3㎜이다. 버섯갓은 반원 모양으로 얇고 여러 개가 기왓장처럼 겹쳐 있거나 반배착하고 있다. 갓 표면은 흰색 또는 회색이고 거친 털로 덮여 있으며 고리 무늬가 있다. 자실체는 아교질의 가죽질이며 가장자리는 톱니처럼 생겼다. 축축하면 부드러우며 건조하면 단단하다. 살은 두께가 약 1㎜이다. 갓 아랫면은 연한 홍자색 또는 연한.. 2009. 10.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