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ussula kansaiensis3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장맛비를 흠뻑 맞으며 낙엽 속에서 발생한 꼬마무당버섯들이 곳곳에 눈에 띈다. 갓 지름은 1~2cm로 소형이고 깔때기 모양으로 오목한 갓의 중심은 붉은 색깔이 진하고 가장자리는 색깔이 연하다.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류 숲속의 땅 낙엽이 쌓인 땅에 난다. 한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하는 종으로 종명 kansaiensis는 일본 간사이 지방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2024. 07. 23.  서울         ●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1~2cm,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해지며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지고 결국은 얕은 깔때기형이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임이 있으며 붉은색을 띤 포도주색이고 흔히 중앙부가 진.. 2024. 8. 6.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갓 지름은 1~2cm의 소형 버섯으로 갓은 깔때기 모양으로 갓의 중심은 오목하고 붉은 색깔이 진하고 가장자리는 색깔이 연하다. '팥무당버섯'이라고도 한다.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류 숲속의 땅 낙엽이 쌓인 땅에 난다. 한국, 일본 타이완에 분포하는 종으로 종명 kansaiensis는 일본 간사이 지방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2024. 07. 17-29.  서울        ●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  무당버섯목 무당버섯과 무당버섯속 균모는 지름 1~2cm, 둥근 산 모양이다가 차차 편평해지며 중앙부가 약간 오목해지고 결국은 얕은 깔때기형이 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끈적임이 있으며 붉은색을 띤 포도주색이고 흔히 중앙부가 진하다. 오래된 것은 퇴색하여 유백.. 2024. 8. 1.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야산 능선부에서 조금 내려 간 골짜기 주변에서 만난, 갓 지름 1cm쯤의 아주 작은 붉은 버섯이다. 갓 부분만 얼굴을 내밀고 낙엽 속에 거의 묻혀 있으며 낙엽에 눌려 자루가 구부러진 것도 있다. 자루 속이 비고 연약하여 만지면 자루가 부스러진다. 갓버섯 종류일까 했는데 밑부분을 보니 무당버섯속 꼬마무당버섯이다. 깔때기 모양으로 오목한 갓의 중심은 붉은 색깔이 진하고 가장자리는 흰색에 가까운데, 잦은 비로 변색된 영향이 있은 듯하다. 여름~가을 주로 참나무류 숲속의 땅 낙엽이 쌓인 땅에 난다. 일본과 한국에 분포하는 종으로 종명 kansaiensis는 일본 간사이 지방을 나타내는 이름이다.    2023. 09. 03.  서울      ● 꼬마무당버섯(팥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 .. 2023.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