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holiota23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봄부터 늦가을까지 마을 주변 풀밭에서도 어쩌다 만날 수 있는 비늘버섯의 하나이다. 갓은 연한 황갈색인데 환경에 따라 색감이 차이가 많은 듯, 이 버섯은 좀 어두운 색깔이다. 섬유상의 비늘조각이 많이 있는데 갓 끝에는 내피막 일부가 붙어 있다. 자루에도 갈색의 섬유상 비늘조각과 솜털 모양의 내피막 흔적이 있다. 부후성 버섯으로 봄부터 늦가을까지 숲속, 풀밭, 길가 등의 땅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라하는데, 어떤 도감에서는 설사, 구토 등의 증상으로 중독된 예가 있는 독버섯이라고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2023. 10. 27. 서울 ●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2~6cm로 둥근 산 모.. 2024. 12. 12.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봄부터 늦가을까지 마을 주변 풀밭에서도 어쩌다 만날 수 있는 비늘버섯의 하나이다. 갓은 연한 황갈색인데 환경에 따라 색감이 차이가 많은 듯, 이 버섯은 좀 어두운 색깔이다. 섬유상의 비늘조각이 많이 있는데 갓 끝에는 내피막 일부가 붙어 있다. 자루에도 갈색의 섬유상 비늘조각과 솜털 모양의 내피막 흔적이 있다. 부후성 버섯으로 봄부터 늦가을까지 숲속, 풀밭, 길가 등의 땅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라하는데, 어떤 도감에서는 설사, 구토 등의 증상으로 중독된 예가 있는 독버섯이라고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2024. 10. 16. 경기 구리 ●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2~6cm로 둥근 산.. 2024. 11. 3. 검은비늘버섯(chestnut mushroom), 유균 영어 이름이 'chestnut mushroom', 맛보다는 잘 구운 군밤알을 연상시키는 듯한 검은비늘버섯 유균을 만난다. 금빛으로 화려한 성균에 비해 검은빛이구나 싶을 정도로 어두운 적갈색을 띤다. '비늘이 검은 버섯'이 아니라 '검은빛을 띤 비늘버섯'임을 알 수 있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일본, 중국 남서부,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며, 이 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생체 활성 화합물은 약용으로서의 가능성도 크다. 2024. 10. 09. 서울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 chestnut mushroo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름이 5~10cm로 .. 2024. 10. 29.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의 버섯으로, 갓은 황갈색으로 표면은 습하고 점성이 있으며 갓 전면에 삼각형의 흰 비늘조각들이 있고 점차 갈황색으로 변한다. 영어 이름은 'chestnut mushroom'인데 맛보다는 까 놓은 군밤 같은 모양을 표현한 이름인 듯하다. 북한 이름은 '기름비늘갓버섯'이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일본, 중국 남서부,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이다.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며, 이 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생체 활성 화합물은 약용으로서의 가능성도 크다. 2024. 10. 09. 서울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 chestnut mushroom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균모는 지.. 2024. 10. 28. 노란갓비늘버섯 Pholiota spumosa 리기다소나무 숲속, 땅에 묻혀 썩은 나무 줄기와 그 주변 땅에서 흩어져서 난 버섯이다. 갓 가운데는 황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노란색이며 가장자리에 연한 갈색막질 파편이 붙어 있고 자루에 갈색 세로줄이 보이는 등 노란갓비늘버섯의 특징이 나타난다. 오렌지비늘버섯(P. lucifera)과 유사하나, 비늘이 다소 희미한 편이다. 띠비늘버섯(P. multicingulata)과도 유사하나 갓이 더 어두운 갈색이다. 북한 이름은 '노란기름비늘갓버섯'이다. 가을철 산과 들의 땅에 반쯤 묻혀 있는 침엽수의 죽은 나무에 뭉쳐서 자란다. 유럽과 북미에 널리 분포하고 러시아, 동아시아에 분포한다. 식용 가능하다. 2024. 09. 14. 서울 2024. 07. 28. 서울 ● 노란갓비늘버섯 Phol.. 2024. 10. 3.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어둠이 내리는 하산길에 재목 더미에 무리지어 난 짙은 갈색 갓의 버섯들을 만난다. 살펴보니 띠비늘버섯이지 싶은데 가을이 아닌, 장마철에 때이르게 발생한 것이 놀랍다.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버섯, 갓 표면은 갈색으로 섬유상의 인편이 있으며 가운데는 어두운 갈색 가장자리는 연한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띠 모양을 이룰 때가 많다. 주름살은 붙은형으로 크림색~연한 갈색으로 촘촘한 편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남서부, 호주와 뉴질랜드 남부와 칠레 등 남반구 태평양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죽은 나무 그루터기나 재목, 가지, 땅에 묻힌 나무에 다발로 나거나 무리지어 난다. 2024. 07. 21. 서울 ●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갓.. 2024. 8. 5. '비늘버섯아재비' Pholiota sp. 비늘버섯과 아주 유사한 모습으로 비늘버섯이 나무 그루터기에 발생하는 데 비하여 이 버섯은 풀밭이나 이끼밭 등의 땅에 발생한다. 에서 '비늘버섯아재비'라 붙인 신칭으로 우선 기록해 둔다. 2024. 05. 12. 경기 구리 2023. 10. 24. 경기 구리 ● 솔 ↘ 목높이 ※ 참고 : ☞ 더 보기 => 2024. 5. 21. 검은비늘버섯 Pholiota adiposa 어둠이 내리는 숲, 쓰러져 고사한 현사시나무 줄기에 무더기로 발생한 싱싱한 검은비늘버섯을 만난다.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의 버섯으로, 갓은 황갈색으로 표면은 습하고 점성이 있으며 갓 전면에 삼각형의 흰 비늘조각들이 있고 점차 갈황색으로 변한다. 영어 이름은 'Chestnut Mushroom'인데 맛보다는 까 놓은 군밤 같은 모양을 표현한 이름인 듯하다. 북한 이름은 '기름비늘갓버섯'이다. 봄~가을에 활엽수의 죽은 가지나 그루터기에 뭉쳐난다. 일본, 중국 남서부, 유럽, 북미, 호주 등에 분포한다. 식용 버섯으로 활엽수 톱밥으로 인공 재배가 가능하며, 이 버섯으로부터 추출된 생체 활성 화합물은 약용으로서의 가능성도 크다. 2023. 10. 06. 서울 ● 검은비늘버섯 Pholiota .. 2024. 2. 13. 비늘버섯 Pholiota squarrosa 장터목에서 백무동으로 하산하는 등산로 옆 나무 밑동에 무리로 난 비늘버섯을 만난다.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갓 표면은 비늘로 덮여 있고 자루에도 비늘조각이 촘촘하고 위쪽에 양털 같은 턱받이가 있다. 늦봄~늦가을에 활엽수나 침엽수의 고사목 또는 그루터기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한다. 식용하는 버섯이지만 사람에 따라 구토와 복통, 설사를 일으키기도 한다. 북한명은 '비늘갓버섯'이다. 2023. 09. 23. 지리산 장터목 하산길 ● 비늘버섯 Pholiota squarrosa | shaggy scalycap, shaggy Pholiota, scaly Pholiot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11cm이며 종 모양 또는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편평형으로 되지만 .. 2023. 12. 4. 흰비늘버섯 Pholiota lenta 돼지령 능선에서 운해의 장관을 감상하고 난 다음 등산로 곁에서 여명 속에서 처음으로 흰비늘버섯을 만난다. 전체적으로 흰빛이 감도는 속에 갈색의 갓에는 흰비늘이 있다. 다행히 어린 버섯과 어른 버섯을 함께 만나 관찰이 용이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 동아시아와 유럽, 북미에 분포하는 비늘버섯속 버섯이다. 소나무 숲이나 참나무 숲속의 땅 또는 썩은 고목에 적은 수로 무리지어 나거나 뭉쳐 난다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다. 2023. 09. 22. 지리산 ● 흰비늘버섯 Pholiota lenta | Slimy scalycap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의 지름은 3~9cm의 둥근 산 모양에서 차차 평평하게 펴진다. 표면은 현저히 끈적기가 있고 황토 백색-백색이며 중앙은 회갈색으로 진하다. 백색 솜털 .. 2023. 11. 22.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가을이 오면서 띠비늘버섯이 소나무와 활엽수를 가리지 않고 자주 발견된다.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버섯으로, 갓 표면은 갈색으로 섬유상의 인편이 있으며 가운데는 어두운 갈색 가장자리는 연한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띠 모양을 이룰 때가 많다. 주름살은 붙은형으로 크림색~연한 갈색으로 촘촘한 편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남서부, 호주와 뉴질랜드 남부와 칠레 등 남반구 태평양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죽은 나무 그루터기나 재목, 가지, 땅에 묻힌 나무에 다발로 나거나 무리지어 난다. 2023. 09. 19. 서울 ●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갓은 어린 시기에는 종형 또는 평반구형이며 성숙하면 중고편평형으로 지름 1.5~4.5.. 2023. 11. 16.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기주는 소나무와 활엽수를 가리지 않고 같은 시기 같은 장소에 발생하였다.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버섯으로, 갓 표면은 갈색으로 섬유상의 인편이 있으며 가운데는 어두운 갈색 가장자리는 연한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띠 모양을 이룰 때가 많다. 주름살은 붙은형으로 크림색~연한 갈색으로 촘촘한 편이다. 대는 원통형으로 위쪽은 크림색, 아래쪽은 옅은 갈색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남서부, 호주와 뉴질랜드 남부와 칠레 등 남반구 태평양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죽은 나무 그루터기나 재목, 가지, 땅에 묻힌 나무에 다발로 나거나 무리를 지어 난다. 2023. 09. 17. 서울 ●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갓은 어린 시기에는 종형 또는 평반구형이며 성숙하.. 2023. 11. 5.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버섯으로, 갓 표면은 갈색으로 섬유상의 인편이 있으며 가운데는 어두운 갈색 가장자리는 연한 갈색이고 가장자리는 띠 모양을 이룰 때가 많다. 주름살은 붙은형으로 크림색~연한 갈색으로 촘촘한 편이다. 대는 원통형으로 위쪽은 크림색, 아래쪽은 옅은 갈색이다. 우리나라와 중국 남서부, 호주와 뉴질랜드 남부와 칠레 등 남반구 태평양 지역에서 보고되고 있는 종이다. 죽은 나무 그루터기나 재목, 가지, 땅에 묻힌 나무에 다발로 나거나 무리를 지어 난다. 2023. 09. 07. 서울 ● 띠비늘버섯 Pholiota multicingulata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갓은 어린 시기에는 종형 또는 평반구형이며 성숙하면 중고편평형으로 지름 1.5~4.5cm이며 표면은 옅은 갈색이며 중앙은 .. 2023. 10. 13.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아파트 단지 주변 길가 언덕에서 만난 땅비늘버섯, 봄부터 늦가을까지 마을 주변 풀밭에서도 어쩌다 만날 수 있는 비늘버섯의 하나이다. 갓은 연한 황갈색이고 섬유상의 비늘조각이 많이 있는데 갓 끝에는 내피막 일부가 붙어 있다. 자루에도 갈색의 섬유상 비늘조각과 솜털 모양의 내피막 흔적이 있다. 부후성 버섯으로 봄부터 늦가을까지 숲속, 풀밭, 길가 등의 땅에 뭉쳐서 자라거나 무리를 지어 자란다. 식용 가능한 버섯이라하는데, 어떤 도감에서는 설사, 구토 등의 증상으로 중독된 예가 있는 독버섯이라고 소개하고 있기도 하다. 2023. 07. 18. 서울 2023. 07. 29. 서울 ● 땅비늘버섯 Pholiota terrestris ↘ 주름버섯목 포도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는 지름이 2~6.. 2023. 7. 22. 금빛비늘버섯 Pholiota aurivella 갓 표면은 끈적기가 있으며 마르면 광택이 나고 황금색에서 녹슨 황색으로 된다. 탈락성인 갈색의 삼각형 인편이 동심원으로 덮이고 중앙부에 몰려 있다. 인편이 눈물방울 모양인 '눈물방울형'도 있다. 봄~가을 활엽수 고목에 무리지어 발생한다. 식용 버섯이다. 2022. 10. 29. 서울 ● 금빛비늘버섯 Pholiota aurivella ↘ 주름버섯목 독청버섯과 비늘버섯속 균모는 섬유상 육질이며 지름이 6~12cm로 둥근 산 모양에서 편평형으로 되며 중앙부는 둔하게 돌출한다. 표면은 습기가 있고 끈적거리며 마르면 광택이 나고 황금색에서 녹슨 황색으로 된다. 탈락성인 삼각형의 인편이 동심원의 테로 덮이고 중앙부에 몰려 있으나 가장자리로 가면서 점점 적어진다. 가장자리는 처음에 아래로 감기며 섬유상 피막의 잔사가.. 2022. 11. 1.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