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rewia2

장구밤나무(장구밥나무) Grewia parviflora 피나무과의 관목으로 피나무속(Tilia) 식물들에 비해 열매가 견과가 아니라 장과이고 꽃차례에 포엽이 없고 잎자루가 짧은 점으로 구분된다. 열매의 모양이 장구 같아서 장구밥나무란 이름이 붙여졌다. '장구밥나무'라는 이름으로 통용되어 왔으나 국립수목원에서 표준어인 '장구밤나무'로 변경 등록하였다. 꽃이 양성화라고 설명하고 있으나 아래의 꽃을 보면 암술은 없고 수술만 있다. 자생지에서 암꽃이 피는 나무와 수꽃이 피는 나무가 따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보면 암수딴그루인 가능성을 열어 놓아야 하는 게 아닌가 싶다. 암술 수술이 하나의 꽃에 피는 나무가 있는지도 관찰해 보아야 할 일이다. ↓ 홍릉수목원 ● 장구밤나무 Grewia parviflora 아욱목 피나무과 장구밥나무속 낙엽활엽관목 높이가 2m에 이른다. 줄.. 2009. 7. 27.
장구밥나무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장구밥 나무의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된 장과로, 두 개의 구형 열매가 붙은 듯한 열매의 모양이 장구 같아서 장구밥나무라 부른다.  황해도 이남의 주로 서해안에서 자란다. 국생정에서는 피나무과로 분류하고 있는데,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에서는 "피나무속(Tilia) 식물들에 비해서 열매는 견과가 아니라 장과, 꽃대는 포엽이 없고, 잎자루는 짧으므로 구분된다."고 하여 아욱과로 배치하였다.     2008. 07. 05.  홍릉수목원         ● 장구밥나무 Grewia biloba var. parviflora  /  아욱목 피나무과의 낙엽활엽 관목'잘먹기나무'라고도 한다. 바닷가 산기슭이나 내륙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약 2m이다. 작은 가지는 잿빛 또는 잿빛을 띤 갈색이며 부드러운 털이 난.. 2008. 7. 25.